'Computing..'에 해당되는 글 188건

  1. 2007.08.18 버퍼와 캐시
  2. 2007.08.17 메모리와 DOS, Config.sys 설정 외..
  3. 2007.08.16 데이터베이스의 관계 유형
  4. 2007.08.16 데이터베이스 정규화 예
  5. 2007.08.13 교착상태(Dead Lock)를 잘 표현한 그림.. 1
  6. 2007.08.06 DOS 주요 명령어
  7. 2007.08.05 광섬유 개요
  8. 2007.08.05 DBA (database administration)
  9. 2007.08.04 PSW (Program Status Word)
  10. 2007.08.03 전기 용어 사전..ㅊ-ㅎ
  11. 2007.08.03 전기 용어 사전.. ㄱ-ㅁ
  12. 2007.08.03 전송 선로 관련 1, 2차 정수
  13. 2007.08.01 Alter Table 구문
  14. 2007.07.31 데이터 독립성(data independence)..
  15. 2007.07.21 하드디스크 관련 이미지 및 기능 상세 설명
  16. 2007.07.20 채널과 DMA방식의 차이점..
  17. 2007.07.17 화면 캡처 프로그램 Snagit 8 강좌 소개
  18. 2007.07.10 네이버 카페에 자동 로그인하기..
  19. 2007.07.06 UML 강좌 21회분
  20. 2007.07.05 액세스에서 만든 폼을 독립 실행 하는 방법
  21. 2007.07.01 ctfmon.exe 삭제 방법
  22. 2007.06.28 TFT-LCD에 대한 궁금증 15가지
  23. 2007.06.28 질병 관련 사이트 모음
  24. 2007.05.26 글꼴 보기 및 관리 "NexusFont"
  25. 2007.05.26 폴더안의 JPEG 파일의 이름을 일괄 변경 "Rename JPEG Images" v1.2
  26. 2007.05.26 파일의 전체 경로를 클립보드에 복사 "WoLoSoft CopyPath" v1.2
  27. 2007.05.17 너무나도 잘 정리된 UNIX 자료
  28. 2007.05.09 PROJECT 개발 방법론 –아이디어를 문서화 시켜라!
  29. 2007.05.07 인터넷 보안
  30. 2007.05.07 전자상거래의 보안기술 및 암호알고리즘

버퍼와 캐시

Computing.. 2007. 8. 18. 10:26
버퍼속도 차이가 있는 하드웨어 장치들, 또는 우선 순위가 다른 프로그램의 프로세스들에 의해 공유되는 데이터 저장소를 말한다. 버퍼는 각 장치나 프로세스가 상대방에 의해 정체되지 않고 잘 동작할 수 있도록 해준다. 효율적인 버퍼를 만들기 위해서는, 버퍼의 크기를 상황에 맞게 잘 설계하고, 데이터를 버퍼로 집어넣거나 빼내기 쉽도록 우수한 알고리즘을 개발하는 것이 중요하다.

 "데이터의 중간 저장소"라는 측면에서 버퍼는 캐시와 마찬가지이지만, 캐시가 어떤 작업의 속도를 증진시키기 위해 존재하는데 비해, 버퍼는 개별 작업들 간의 협동을 지원하기 위해 존재한다는 차이가 있다.

이 용어는 프로그래밍과 통신, 하드웨어 분야 모두에 사용될 수 있다.

반응형

'Computing..' 카테고리의 다른 글

Swapping..  (0) 2007.08.18
메모리와 DOS, Config.sys 설정 외..  (0) 2007.08.17
데이터베이스의 관계 유형  (0) 2007.08.16
Posted by 따뜻한 세상
,
메모리의 역할

메모리가 하는 일이 과연 무엇일까? 문자 그대로 이해하자면 무엇인가를 기억하는 장치이다. 그러면 하드디스크나 플로피디스크도 데이터를 기억하는 장치인데 과연 무엇이 다른가 하는 의문이 생길 것이다.

컴퓨터를 하나의 공장으로 본다면 하드디스크는 물건을 쌓아놓는 창고라고 할 수 있다. 그러나 메모리는 창고가 아닌 CPU라는 중앙처리장치가 일을 하기 위해 물건을 올려놓는 작업대와 같다. 그러므로 하드디스크와 같이 많은 데이터를 저장하지 못하지만 컴퓨터가 작업을 편하게 하기 위해선 없어서는 안될 중요한 장치이다.

결국 메모리는 하드디스크에서 필요한 데이터를 가져오기도 하고 작업을 수행한 결과로 생긴 데이터를 다시 하드디스크에 저장하기도 한다. 물론 속도는 하드드라이브에 비해 메모리가 수천배 빠르다. 자동차나 비행기도 그러하듯 속도가 빠르면 비싸기 마련이다.

그러므로 메모리는 하드드라이브와 같은 보조기억 장치보다 훨씬 비싸다. 그래서 가난한 게이머의 메모리 양은 항상 모자라지 않는가.
 

메모리의 주소란?

도스는 메모리 하나하나에 주소를 할당한다. 그 이유는 간단하다. 프로그램이 실행되기 위해서는 프로그램이나 데이터가 메모리에 일정부분이 올려져야 한다. 그리고 프로그램 자신이 필요한 부분이 메모리의 어디에 있는지 알게 하려면 그 프로그램이 있는 곳의 위치를 기억하고 있어야 한다. 프로그램에게 위치를 기억하게 하는 방법은 위치마다 서로 구분될 수 있는 중복되지 않는 특정한 값을 주어 그 값을 기억하게 하면 될 것이다.

이 중복되지 않는 특정한 값을 바로 '주소(Address)'라 한다. 쉽게 생각해서 행정구역에 우편번호와 주소가 존재하듯이 컴퓨터의 메모리에도 주소가 존재하는 것이다. 마치 우체부가 배달할 우편물의 주소가 있어야 그 우편물을 전달할 수 있듯 메모리마다 주소를 할당해주는데 이것을 '어드레싱'한다고 한다.
 

메모리의 종류

여기서 말하고자 하는 메모리의 종류는 흔히 시스템 메모리가 8Mb니 16Mb닌 하면서 말하는 메모리의 위치와 역할에 따른 분류이다. 즉 하나의 메모리도 위치에 따라 그 하는 일이 다르기 때문이다.
 

1. 기본 메모리(Base Memory)

도스에는 640Kb 크기로 한계지어진 기본메모리가 있다. 이 기본메모리는 도스와 도스응용 프로그램이 실행되는 메모리로 메모리의 맨 처음부터 640Kb까지의 상용메모리(Conventional Memory)를 말한다. 또 도스상에서 대부분의 프로그램이 사용되고 있기 때문에 도스 메모리라고도 하며 특별한 메모리 관리자가 없이 사용자가 사용하기 때문에 사용자 메모리(User Memory)라고도 한다.

이렇게 640Kb의 한계가 지어진데는 컴퓨터가 발전하는 속도를 과거에 충분히 예측치 못한 연유에서다. 지금은 윈도우95의 등장으로 16Mb의 메모리도 많은 것이 아니라고들 하지만 처음 도스가 등장했을 때만 해도 설마 컴퓨터가 1Mb 이상의 메모리를 사용할 일이 있으리라고는 상상을 못했다. 그때의 프로그램들은 커봐야 70~80Kb 정도를 넘어가지 않았으므로 그 10배 이상을 설정한 것은 그때의 사정으로는 그리 잘못된 판단도 아닌 듯 하다.

결국 초기 CPU 모델인 8086CPU가 어드레싱할 수 있는 최대 크기인 1Mb에 맞추고 운영체제인 도스 역시 여기에 맞춰 1Mb만 관리할 수 있도록 설계된 것이다. 더군다나 메모리는 당시에 상당히 고가의 부품이었기도 했었다. 사실 누가 개인용 컴퓨터 산업이 이런 엄청난 속도로 발전할 줄 알았겠는가. 여하간 이런 배경에서 마이크로소프트사는 애초에 도스가 다룰 수 있는 메모리 크기의 한계를 1Mb로 설정하고 도스를 설계했고 1Mb중 아래쪽의 640Kb를 기본 메모리로 프로그램들이 이용하게 했다.
 

2. 상위메모리(UMA: Upper Memory Area)

이러한 기본메모리 외에도 도스가 사용하는 메모리는 640Kb와 1024Kb(=1Mb) 사이의 384Kb가 더 있다. 이 메모리는 기본메모리 위에 위치하며 비디오나 디스크 컨트롤러 등 여러 가지 구동장치를 쓸 수 있는 메모리 공간으로 이미 예약이 된 메모리이기도 하다. 이러한 예약된 공간을 상위메모리 영역(UMA: Upper Memory Area)이라고 하며, 이를 메모리 블럭이라는 구조적 관점에서 볼 때는 상위메모리 블럭(UMB: Upper Memory Block)이라고 혼용하여 말하기도 한다. 이 상위메모리 블럭은 하드웨어적인 확장을 위해 비워두었기 때문에 이 공간은 사용자의 환경에 따라 비어있는 메모리 블럭이 많으며 단일 연속공간에 위치하는 것이 아니라 다수의 불연속적인 공간을 사용하고 있어 메모리 최적화에 있어 중요한 곳이기도 하다.

도스 버전 5.0 이전까지는 이 비어있는 공간을 활용하지 못하다가 도스 5.0의 출현과 함께 386 이상의 CPU에서 이 공간도 활용할 수 있게 됨으로써 보다 많은 기본 메모리를 확보할 수 있는 길이 열렸던 것이다. CONFIG.SYS의 DOS=UMB 구문은 바로 이 UMB 메모리 부분을 활용하기 위한 것이다.
 

3. 연장메모리(Extended Memory)

연장메모리는 1Mb(1,024byte) 이상에 위치한 메모리로 286 이상의 기종에서 사용할 수 있다. 이 연장메모리를 사용하기 위해서는 도스나 도스 응용 프로그램이 보호모드로 전환한 후 데이터를 연장메모리에 저장하거나 읽어오고 다시 리얼모드로 돌아오게 된다.

이 연장메모리는 기본메모리보다는 못하지만 유용하며 SMARTDRV.EXE 파일이 연장메모리 영역에 자리잡고 드라이브의 구동을 돕게 된다.

이 연장메모리는 HIMEM.SYS에 의해서 관리되어지는데 HIMEM.SYS는 상위메모리를 포함한 640Kb 이상의 메모리를 관리하며 2개의 프로그램이 동시에 같은 주소상에 메모리를 사용할 수 없도록 교통정리를 하여준다.

이 HIMEM.SYS에 의해서 관리되어지는 메모리를 XMS(Extended Memory Specification) 메모리라 한다.
 

4. 하이메모리(HMA: High Memory Area)

기본메모리는 0~640번지까지의 주소를 할당받는다. 그리고 전술한 상위메모리 영역(UMA)은 641~1024번지까지의 주소를 할당받는다. 이후 1Mb의 메모리 한계를 넘어 연장 메모리가 시작되기 전에 1025~1088번지 사이의 첫 64Kb가 미사용 영역으로 존재하는데 이를 하이메모리 영역(HMA)이라고 한다.

HMA는 도스가 직접 액세스할 수 있는 1024K 주소 밖에 위치하나 21번째 주소 라인(A20 line)을 활성화시키는 특정기법에 의해 도스의 리얼모드에서 사용할 수 있다.

이 HMA를 직접 사용하는 프로그램은 거의 없으나 DOS=HIGH 문은 바로 이 영역에 도스 일부를 이동시켜 대략 40Kb~50Kb 정도의 기본 메모리를 더 확보하게 한다.
 

5. 확장메모리(Expended Memory)

요즘에 나오는 게임을 실행하려면 EMS 메모리를 더 요구하거나 아니면 EMS 메모리를 제거하라는 메시지를 보는 경우가 있다. 또 EMS 메모리보다는 XMS 메모리를 더 요구할 때도 있다. 바로 EMS 메모리는 확장메모리를 말하는 것이다. 이 확장메모리를 사용하려면 16Kb 크기를 가진 4개의 메모리 블럭으로 구성된 64Kb 크기의 페이지 프레임을 통한 스와핑 기법을 이용하여 시스템에 부가된 메모리를 도스가 액세스할 수 있는 1,024byte 이내의 주소로 매핑(Mapping)하여야 한다. 이 확장메모리는 LIM EMS(Lotus, Intel, Microsoft Expended Memory Specification) 규격에 따르는 메모리이다. 이 EMS는 EMS 3.2와 EEMS, EMS 4.0 등이 있으며 EMS 3.2는 8Mb 램을 사용할 수 있고 4.0은 32Mb 램을 사용할 수 있다.
 

메모리의 한계는 왜 생겼는가?

메모리의 한계란 도스나 도스 응용 프로그램이 기본메모리인 640Kb 내에서만 실행되는 것을 말한다. 이 한계는 마이크로 프로세서 즉 CPU의 어드레싱 능력에 의해서 생겨난 것이다.

마이크로 프로세서는 읽고 쓸 수 있는 메모리의 크기를 어드레스 라인(Address Line)으로 결정하는데 이 어드레스 라인은 마이크로 프로세서 칩과 데이터 버스간의 연결통로를 말한다. 하나의 어드레스 라인은 1비트(bit)의 어드레스를 처리할 수 있으며 마이크로 프로세서가 처리할 수 있는 메모리의 바이트(byte) 수는 2n(n은 라인의 수)이다. 즉 20개의 어드레스 라인을 가진 마이크로 프로세서는 220인 1,048,576(1Mb)바이트를 처리할 수 있다. 만약 20개가 넘는 어드레스 라인을 처리하려면 마이크로 프로세서는 보호모드를 사용하는데 도스는 보호모드에서는 작동을 할 수 없으므로 리얼모드로 전환되어야 한다. 결국은 도스가 처리할 수 있는 메모리는 1Mb가 되며 이는 도스가 영원히 풀지 못하는 문제로 남게 되었다.

그래서 요즘에 나오는 윈도우95는 이러한 도스의 한계를 없애버려 차세대의 운영체제로 각광을 받고있는 이유 중의 하나인 것이다.
 
 

메모리에 관한 용어들
 

1Kb
메모리에서의 1Kb는 1,000바이트가 아니고 1,024바이트이다. 그리고 바이트(byte)는 컴퓨터가 이해할 수 있는 가장 작은 단위인 비트(bit)를 8개 묶은 것을 말한다.

XMS(eXtened Memory Specification, 연장메모리 규격)
LIM(Lotus, Intel, Microsoft)에 의해 제정된 메모리 관리 규약으로 XMS는 EMS처럼 페이지 방식을 이용하는 것이 아니라 필요한 만큼 메모리를 할당하여 사용하기 때문에 특히 대용량의 크기를 갖는 프로그램을 사용하는 경우 EMS보다 우수한 성능을 발휘한다. 윈도우 3.×용 응용 프로그램들이 XMS를 지원하고 있기 때문에 사용자들은 보다 쉽게 많은 메모리 영역에서 작업할 수 있다.

EMS 3.2
로터스, 인텔, 마이크로소프트 3개의 회사가 최초로 만든 확장메모리에 관한 규격이다. 그래서 LIM Standard라고도 하며 UMB 영역에 위치한 페이지 프레임을 통하여 한 번에 64Kb의 메모리를 처리할 수 있다.
EEMS
Enhanced EMS의 약자로 AST, Quardram, Ashton Tate 3개 회사에 의해서 개량되어진 EMS 규격이다. 특징은 기본메모리 영역에 페이지 프레임을 설치할 수 있고 단일 REAL ALTERNATE MAP을 지원한다.

EMS 4.0
EMS3.2와 EEMS 규격을 통합한 확장메모리 규격이다. 복수의 REAL ALTERNATE MAP을 지원한다.

HIMEM.SYS
연장메모리를 관리하는 프로그램으로 응용 프로그램들이 동시에 같은 영역의 연장 메모리를 사용하지 못하게 한다.

SMARTDRV.EXE
디스크 캐시 프로그램으로 메모리(RAM)와 디스크 간의 속도 차이를 극복하기 위하여 메모리의 일부를 임시 기억장소로 할당하여 전체적인 시스템의 속도를 향상시키는 일련의 기능을 수행하는 프로그램이다.

매핑(Mapping)
물리적인 메모리의 주소에 가상 메모리 주소를 배정하는 기법

스와핑(Swapping)
가상 기억장치나 보조 기억장치에서 새로운 페이지를 가져와 주기억 장치내에 있는 페이지를 바꾸는 것

페이지 프레임
EMS를 사용하는 프로그램이 매핑을 하기 위해 처리하는 메모리 영역으로 16Kb 크기를 가진 4개의 영역으로 구성하는 것

보호모드
286 이상의 기종에서 연장메모리를 직접 처리할 수 있는 모드

리얼모드
모든 인텔 프로세서가 일반적으로 지원하고 있고 도스가 유일하게 직접 지원할 수 있는 모드

데이터 버스
시스템의 각 장치 사이에 데이터를 주고받는 통로를 말한다. 예를 들면 CPU와 하드디스크나 아니면 VGA카드와 모니터간의 데이터를 주고받는 데이터 통로 등이다
 

EMM386 잘 사용하기
 

메모리 확보의 기초

메모리 관리를 위해 386Max 혹은 QEMM386 같은 메모리 관리 프로그램을 많이 스지만 도스에서 기본으로 제공하고 있는 메모리 관리자들만 잘 활용해도 사실 웬만한 메모리 문제는 모두 해결 가능하다. 자 그럼 도스에서 기본 메모리를 확보하기 위해 어떻게 해야 하는지 몇가지 용어와 파일의 기능에 대한 개념을 386 이상의 CPU에서 MS DOS 6.2 버전을 중심으로 정리해 보자.
 

HIMEM.SYS와 EMM386.EXE

컴퓨터의 눈부신 발전으로 기존 도스에서 요구하는 RAM 1Mb 가지고는 프로그램 구동의 한계를 느끼자 그 이상의 메모리를 쓰기 위해 인텔, 로터스, 마이크로소프트사가 만나 EMS(Extended Memory System: 연장메모리)라는 규약을 정하게 되었고 이 규약에 따라 도스에서는 메모리를 늘려 쓸 수 있게 해주는 HIMEM.SYS와 EMM386.EXE라는 메모리 관리자를 도스 5.0부터 제공하기 시작했다.

그렇다면 이들의 역할은 무엇인가. 1Mb 이상의 메모리를 사용하기 위해서는 그 메모리를 인식하여 활용할 수 있도록 규약에 따라 만들어진 프로그램의 도움이 필요하다. 아무리 16Mb를 설치하더라도 이들 프로그램의 도움없이는 설치된 메모리를 인식하지 못하는 것이다. 연장 메모리 관리자인 HIMEM.SYS는 연장메모리의 한 블럭을 정해진 규약인 64Kb 크기로 나누어 같은 블럭을 서로 다른 2개의 프로그램이 동시에 차지하고서도 충돌하지 않도록 정리하는 역할을 한다.

그리고 EMM386.EXE의 역할은 무엇인가. 기본 메모리에서 우편번호를 매기듯 메모리 번지를 할당하는 것처럼 연장메모리 역시 나름대로 메모리 관리 방식이 있어야 할 것이다. 페이지 프레임이라고 불리는 64Kb의 메모리 구역을 16Kb 크기의 블럭으로 잘라 순차적으로 나누어주는 방식을 사용한다. 이런 일을 매핑(mapping)이라고 하는데 바로 EMM386.EXE의 역할이다.

더 이상은 필요 이상의 전문적인 내용이라 여겨지므로 그 역할에 관해서는 그만 다루기로 하고 마지막으로 이 명령어들이 CONFIG.SYS에서 기본적으로 어떻게 구현되는지 알아보자.

우선 DEVICE=C:DOSHIMEM.SYS라는 문장이 모든 DEVICE 구문에 앞서서 위치하도록 해야 한다. 그래야 다른 디바이스들이 연장메모리를 이용할 수 있기 때문이다.

그렇다면 디바이스란 무엇인가. 컴퓨터에는 사운드 카드라던가 CD-ROM 드라이브 같은 여러 가지 주변기기들이 설치된다. 이들 장치는 하드웨어이고 이들 하드웨어를 움직이게 하기 위해서는 하드웨어 장치에 적절한 규칙들을 주고 이에 따르도록 해야 할 것이다. 이 역할을 하는 소프트웨어가 바로 디바이스들이고 이런 디바이스는 반드시 DEVICE 구문에 의해 실행된다.

그 다음으로는 EMM386.EXE를 설치해야 한다.

DEVICE=C:DOSEMM386.EXE라고 CONFIG.SYS에 써주면 된다.

자 이렇게 하면 메모리 관리의 기본은 끝나게 된다. 즉
 

DOS=HIGH, UMB
DEVICE=C:DOSHIMEM.SYS 
DEVICE=C:DOSEMM386.EXE 
 

이렇게 간단한 3줄의 문장을 CONFIG.SYS에 추가 입력함으로써 기본 메모리를 보다 많이 확보하고 기본메모리 외에 연장메모리를 활용할 수 있는 바탕을 마련한 것이다. 이것들의 스위치와 여타 구문들을 살펴서 메모리를 마지막까지 짜내보도록 하자.
 

메모리 짜내기

자 그럼 이제 HIMEM.SYS와 EMM386의 스위치들을 알아보고 이들을 활용해 어떻게 보다 많은 메모리를 확보할 수 있는지 알아보자.

HIMEM.SYS는 메모리와 관련된 중요한 스위치가 별로 없는데 그중에 /MACHINE: xxxx 스위치는 컴퓨터가 'HMA' 영역을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요소인 'A20 handler'를 시스템에 따라 지정하는 스위치이다. 만약 HIMEM.SYS를 설치하고 난 뒤에 'A20 handler' 에러가 발생하면서 설치가 되지 않는 경우는 각 시스템에 맞는 값을 적어서 재설치하면 된다. 각 시스템에 따른 정보는 도스 도움말의 'HIMEM.SYS' 항목을 보면 된다.
 

또한 메모리 확보와는 상관이 없으나 부팅시 속도를 조금이라도 올리고 싶다면 HIMEM.SYS에 'TESTMEM:OFF' 스위치를 주고 부팅시 메모리 검사를 하지 않고 빠르게 부팅할 수 있으며 'SWITCHES=/F'를 주면 부팅시 대기 시간을 줄여 부팅을 빠르게 한다.

자 이젠 EMM386.EXE의 스위치 중에서 'NOEMS'의 역할은 무엇인지 알아보자. 이는 EMS 메모리를 사용치 않고 XMS 메모리만 사용할 경우의 옵션인데 XMS가 더 빠르기도 하고 요즘 대부분의 프로그램은 EMS를 사용치 않는다. 그리고 나서 자신의 비디오가 컬러라면 뒤에다 'I=B000-B7FF'를 추가한다. 이 스위치는 단색 텍스트를 위해 예약된 버퍼의 주소인데 이를 컬러에서는 사용치 않는다. 이 스위치를 써주면 쓰지 않고 있는 메모리 공간을 쓸 수 있는 메모리라고 컴퓨터에게 알려준다. 이 옵션의 한가지 단점은 도스의 프로그램에서 슈퍼 VGA 모드를 사용하지 못하는 것이다. 즉 표준 VGA 모드만 사용가능하다. 허큘리스 카드 사용자라면 'I=B800-BFFF'를 스위치로 덧붙인다.
 

이와는 반대로 'X=????-????' 스위치가 있는데 이것의 역할은 기본적으로 포함되는 메모리 영역을 지정하여 컴퓨터로 하여금 쓰지 않고 예약해 두어 다른 프로그램이 쓰도록 하는 것이다.

그 외의 옵션으로는 'HIGHSCAN'이 있다. 'HIGHSCAN' 스위치가 사용되면 시스템 롬을 메모리 주소 F000:000부터 검색해서 시스템 롬이 중복되어 있으면 '32Kb'의 상위메모리를 더 확보한다.

그러나 이 스위치는 'EMM386.EXE'로 하여금 'UMB' 영역을 공격적으로 검색해 확보하려 하므로 이때 무리가 발생할 수가 있어 다른 응용 프로그램들과 충돌이 발생할 소지가 많다.
 

데이터 베이스 프로그램이나 스프레드 시트 중에 그런 프로그램이 많은데 만약 자신의 응용 프로그램중에 EMS 메모리를 요구하는 것이 있다면 'NOEMS' 대신에 'RAM' 스위치를 추가해야 한다. 이 스위치의 단점은 EMS 메모리를 위해 64Kb의 페이지 프레임 영역을 사용하기 때문에 NOEMS 스위치보다 64Kb이 적은 메모리 영역을 제공하게 된다. 그러니까 이 스위치를 추가하면 기본 메모리 위쪽에 활용가능한 공간이 64Kb만큼 줄어드는 것이다. 그러나 응용 프로그램이 요구하면 어쩔 수 없다.

이때 응용 프로그램이 활용가능한 EMS 메모리를 직접 수치로 지정해놓아도 되지만 'AUTO'라는 스위치를 주면 EMM386.EXE가 응용 프로그램이 요구할 때마다 자동으로 XMS를 EMS로 전환해주므로 일일이 지정해 줄 필요없이 편하다.

그외에 'MIN=?'라는 스위치가 있는데, 이 스위치는 '?'에 부분에 지정한 만큼 항상 EMS가 쓰도록 예약해두게 하는 스위치다. 이 스위치에 최소값 '0'을 지정하면 EMS를 위해 아무런 메모리도 예약해두지 말라는 스위치가 되므로 EMS와 XMS를 둘다 사용하면서 가장 많은 XMS를 확보하고 싶을 때 유용한 스위치가 되겠다.
 

그외에는 'FRAME=????' 형식의 스위치가 있는데 전술했듯이 EMS를 쓰면 64Kb의 페이지 프레임 영역을 사용하게 되는데 이 영역이 보통 D00h 주소부터 시작된다. 일반적으로 개인용 컴퓨터에서 E00h 부분부터는 사용되지 않는 공간이다. 이 공간에다 페이지 프레임을 옮겨주면 64Kb를 다시 쓸 수 있다. 그러나 이는 시스템마다 다르므로 만약 'WARNING: Option ROM or RAM detected within page frame'이라는 에러 메시지를 만나면 제거해야 한다.
자 이정도면 중요한 스위치는 다 검토한 것 같다.

이들 스위치를 적절히 사용하면 PC마다 조금씩 차이가 나겠지만 기본 메모리가 610Kb 이상은 나올 것이다. 이 정도라면 게임을 실행시키는데 충분하다.
 

만약 여기에서 좀더 메모리를 짜내고 싶다면 도스에서 제공하는 'MSD'를 이용할 수 있다. MSD를 실행시켜 Memory 항목을 보면 'Possibly Available'이란 영역이 있다. 원래는 예약된 공간인데 실제로는 사용되지 않고 있는 것처럼 보이는 공간이란 의미이다. 이 영역이 있다면 그 옆에 표시된 주소를 확인해 EMM386.EXE에다 'I=xxxx-xxxx' 스위치를 사용해서 추가한다. 초기메뉴 중에 'Utilities'를 선택한 후 'Memory Block Display...' 항목을 보면 보다 자세하게 알 수 있을 것이다.

자 이제 이렇게 해서 나온 CONFIG.SYS의 결과물들을 몇가지 예로 들어보자.
 

DEVICE=C:DOSHIMEM.SYS /TESTMEM: OFF
DEVICE=C:DOSEMM386.EXE RAM 2048 MIN=0
DEVICE=C:DOSEMM386.EXE RAM 2048 FRAME=E000
DEVICE=C:DOSEMM386.EXE NOEMS I=B000-B7FF HIGHSCAN
 

메모리배신의 끝

이제 마지막으로 HIMEM.SYS와 EMM386.EXE 이외의 구문으로 기본 메모리를 확보하는 방법을 알아보자.

우선 'BUFFER' 항목을 줄이자. 버퍼 하나당 차지하는 기본 메모리 양은 512바이트이다.

디스크 캐시 프로그램을 설치해서 사용한다면 이 값을 5~6 정도로 줄인다. 버퍼가 하는 일이나 캐시가 하는 일이 중복되기 때문이다. 'FILES 구문은 한거번에 열어놓고 사용할 수 있는 파일의 개수를 설정하는 것인데, 데이터베이스를 관리하는 특별한 경우가 아니라면 한꺼번에 40개 이상의 파일을 열어놓을 일이 별로 없으므로 그 이상을 설정할 필요가 없다. FILE 하나당 50바이트의 메모리를 차지한다.

그리고는 'FCBS=1.0'과 'STACKS=0.0'이라는 구문을 추가한다. 파일 제어 블럭과 하드웨어 인터럽트를 관리하기 위한 메모리 할당에 관련된 명령인데 이것이 어떤 역할을 하는 것보다 중요한 것은 이것 역시 메모리를 잡아먹는다는 사실이다. FCBS는 과거 도스버전에서 사용되던 자료구조를 위한 구문이고 STACK 구문 역시 현재 별반 필요없다. 설치하고 'Stack overflow' 에러가 나는 경우가 아니라면 문제없다.

이렇게 함으로써 STACK 구문에서 약 2Kb, FCBS 구문에서 약 500 바이트의 메모리를 더 확보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LASTDRIVE' 구문에서 자신의 마지막 드라이브가 D라면 'LASTDRIVE=D'를 써준다. 컴퓨터가 아무것도 써주지 않으며 알아서 E를 잡는데 이렇게 함으로써 E가 아니라 D라고 지정해줌으로써 176 바이트를 절약할 수 있다.

이런 세팅이 끝났다면 모든 'DEVICE' 명령을 'DEVICEHIGH' 명령으로 고쳐서 기본메모리 위의 상위 메모리로 디바이스가 올라가도록 하고 AUTOEXEC.BAT에서는 모든 램상주 프로그램 앞에 'LOADHIGH'를 붙인다. 램상주라는 말은 프로그램의 일부 또는 전부가 메모리상에 항상 올라가서 실행되는 프로그램을 말한다.

이때 상주 크기가 큰 프로그램부터 설치하는 것이 좋다. 실제 프로그램의 크기가 크더라도 반드시 상주 메모리의 크기가 큰 것은 아니므로 상주 크기는 도스 6.x 버전부터 제공하고 있는 'MEMMAKER.EXE'를 실행하면 'MAMMAKER.STS'라는 아스키 문서파일이 생성되는데 'MaxSize='이라는 항목이 있다. 이 부분이 바로 상주시 최대크기를 나타내주는 것이므로 이 부분을 확인하여 큰 것부터 설치하면 된다.

이렇게 생성된 config.sys의 예를 들어보자.
 

CONFIG.SYS 예

SWITCHES=/F 
DOS=HIGH, UMB
DEVICE=C:DOSHIMEM.SYS/TEXTMEM:OFF 
DEVICE=C:DOSEMM386.EXE NOEMS I=B000-B7FF HIGHSCAN

혹은

DEVICE=C:DOSEMM386.EXE RAM 2048 MIN=0
DEVICEHIGH=C:WINDOWSMOUSE.SYS 
DEVICEHIGH=C:DOSANSI.SYS 
STACKS=0,0 
FCBS=1,0 
BUFFERS=5,0 
FILES=40 

이제 MEM/C/P로 자신의 메모리를 확인해보라.

도스의 배신은 대부분 여기서 끝나는 것이다. 다시는 도스에게 배신당하지 않을 것이다. 그리고 게이머들은 메모리 때문에 골치아픈 일은 없을 것이다.

컴퓨터의 구조

컴퓨터의 구조는 생각 외로 아주 간단하다.

'CPU'라 불리우는 중앙 처리 장치가 있고 CPU에게 데이터를 직접적으로 전해주는 '메모리'라는 것과 이 메모리를 통해 CPU와 데이터를 주고받고자 하는 '입출력 장치'(하드디스크, 프린터, 모니터, 마우스 등)가 있다. 여기서 중요한 일반적 사실은 CPU는 메모리가 전해주는 데이터만을 이용한다는 것이다. 즉, 메모리는 CPU에게 데이터를 주고 CPU가 처리한 데이터를 가지고 있으면서 필요로 하는 주변 장치들에게 데이터를 제공하는 역할을 하는 것이다.
 

메모리의 종류

그러면, 이제부터 본격적으로 메모리의 종류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자. 밑에 설명된 용어와 그 뜻들은 반드시 알아야 하는 것들은 아니고 참고로 알아두면 좋을 것이다.
 

RAM(Random Access Memory: 임의 액세스 기억장치)

우리가 흔히 '램'이라고 부르는 것이다. 데이터를 읽고 쓸 수 있지만 전원이 끊기면 저장된 내용도 모두 사라지므로 전원이 끊기기 전에 저장된 내용을 하드디스크 등의 보조 기억 장치에 저장해야 한다.

ROM(Read Only Memory: 읽기 전용장치)

롬은 위의 램과는 달리 한번 기록한 데이터는 전원이 끊겨도 지워지지 않는 특성이 있다. 그러나 램과 롬의 장점을 모두 살려서 쓰고 읽을 수 있어서 전원이 끊겨도 기록한 데이터가 지워지지 않는 것도 있다.
 

기본 용어의 개념 잡기

컴퓨터와 메모리는 취급할 수 있는 데이터의 형태가 '0'과 '1' 뿐이라는 사실은 이미 널리 알려진 사실이다. 엄밀히 말해서 0과 1은 전압의 높고 낮음의 차이로 표현된다. 하나의 0 또는 1을 '비트(bit)'라고 하며 8개의 비트를 '바이트(byte)'라고 한다.

메모리는 주소 또는 '어드레스(address)'라는 단위로 나뉘어져 있어서 데이터를 쓰고 읽을 때는 언제나 '주소'를 사용한다. 여기서는 메모리를 어떻게 나누며(나뉘어지는 주소), 그 명칭은 어떻게 다르게 불리우는가에 주의를 하며 보는 것이 좋다.
 

기본 메모리(Conventional Memory)

메모리의 0Kb부터 640Kb까지의 부분, 필수적인 DOS 프로그램들과 사용자가 사용하면서 실행시키는 프로그램들이 들어간다.
 

상위메모리(Upper Memory)

640Kb부터 1024Kb(1Mb)까지의 DOS가 사용하는 부분. 보통 여러가지 장치 구동 파일(마우스 등)을 넣어둔다.
 

연속확장 메모리(Extended Memory 또는 XMS)

메모리의 1Mb 이상의 부분. 메모리가 8Mb라면 7Mb(8-1=7)가 연속 확장 메모리인 것이다.
 

중첩확장 메모리(Expanded Memory 또는 EMS)

메모리의 1Mb 이상의 부분. 위의 연속 확장 메모리와 같은 영역을 말하는 것이지만 메모리를 사용하는 방법이 연속확장 메모리에서와는 다른 방법을 사용하기 때문에 구별하기 위해서 '중첩확장 메모리'라는 다른 이름을 쓰는 것이다.
 

하이메모리 영역(High Memory Area 또는 HMA)

1Mb 이상의 부분에서 처음 64Kb의 부분. 즉, 1024Kb부터 1088Kb까지의 부분이다.
 

* 메모리의 종류에 관한 자세한 내용은 뒷부분에서 설명하겠습니다.
 

MEM의 사용

여기서 컴퓨터의 현재 메모리 상태가 어떤가 보는 방법 하나를 소개하겠다. DOS 프로그램 중에 MEM이라는 것이 바로 그것이다. 또 그외에 사용가능한 옵션은

C:>MEM/P: 현재 메모리에 들어가 있는 프로그램들을 출력한다.

C:>MEM/D: 프로그램과 함께 설치된 장치구동 파일들을 출력한다.

C:>MEM/C: 기본 메모리에 들어가 있는 프로그램들과 XMS, EMS 메모리들의 상태 등이 출력된다.

처음부터 마지막 5번째 줄까지 내용은 기본 메모리 640Kb 안에 들어가 있는 프로그램들의 이름과 크기, 그리고 남은 메모리의 크기를 알려준다.

그리고, 마지막 4줄은 연속 확장 메모리인 XMS의 크기 (EMM386.EXE를 사용해 중첩 확장 메모리를 사용했다면 EMS의 크기도 나타날 것이다)와 HMA가 존재하는지를 알려준다.
 

용어 ABC
 

PROM(Programmable ROM)

공장에서 제품으로 출하된 후 최초의 한 번만 램처럼 그 내용을 기록할 수 있고 기록 후에는 롬처럼 내용을 변경할 수 없는 ROM.

EPROM(Erasable and Programmable ROM)
강한 자외선을 쬐거나(UV-EPROM), 전기적으로(EEPROM) 기록된 내용을 지울 수 있는 롬. 전원이 끊겨도 그 내용은 유지된다.

SRAM(Static RAM)
한 번 기록된 데이터에 대하여 전기공급이 계속되는 한 재생작업(refresh: 내용을 보존하기 위해 일정시간마다 메모리의 모든 부분에 전기적 자극을 주는 것)이 필요없이 그 내용을 유지하는 램.

DRAM(Dynamic RAM)
기록된 데이터에 대해 일정시간 간격으로 재생작업을 해주어야 하는 램. SRAM보다 집적도(일정한 넓이에 얼마나 많은 회로를 넣었는가)가 크고 속도가 빠르다.

추가적으로 메모리와 관련된 몇 가지의 용어에 대해 더 알아보도록 하자.

TTL(Transister Transistor Logic)
반도체 제조공법에 따른 종류의 하나로, 속도가 빠르고 외부의 전기 충격에 강한 장점을 가지고 있다.

CMOS(Complementary Metal Oxide Semiconductor)
반도체 제조공법에 따른 종류의 하나로 TTL보다 동장속도는 늦으나 집적도가 높고 소비전력이 낮은 장점을 가지고 있다.

바이오스(BIOS: Basic Input Output System)
흔히 롬 바이오스(ROM BIOS)라 부르는 것이 있다. 이것은 컴퓨터가 원초적으로 입출력을 행할 때(모니터, 프린터, 디스크와의 입출력 등) 필요한 일련의 절차들을 미리 정의해 롬 속에 담아두고 있는 것을 말한다. 컴퓨터는 전원을 켤 때나 입출력을 행할 때 롬 바이오스 속에 정의된 절차를 수행하며 롬 바이오스의 일부를 메모리에 넣어둔다.

캐시 메모리(Cashe)
하드디스크와 일반적인 램의 속도차이는 세발자전거와 자동차의 차이라 할 수 있다. 그러나 일반적인 램의 속도도 CPU의 속도에 비하면 자동차와 비행기만큼의 차이가 난다. 아주 속도가 빠른 램을 사용하면 CPU와의 속도차를 줄일 수는 있으나 이러한 램의 가격은 속도가 빠를수록 비싸서 8메가니 16메가니 하는 주기억장치의 양을 채우기에는 그 비용이 만만치 않다. 그래서 고안해낸 것이 CPU와 주기억장치인 일반 메모리 사이에 존재하는 캐시 메모리인 것이다. CPU의 속도에 비해 느린 메모리의 속도를 보완하기 위해 CPU보다 느리고 일반 메모리보다는 빠른 적은 양의 캐시 메모리를 이용하여 데이터의 처리속도를 향상시킨 것이다.

버퍼(Buffer) 
메모리를 사용하는 방법의 일종으로 속도가 빠른 장치(CPU, 램 등)와 상대적으로 속도가 느린 장치(프린터, 모니터 등) 사이에 존재하여 속도가 빠른 장치에서 데이터가 처리되는 시간을 기다리는 것을 최소화하는 방법이다. 대표적인 예로 프린터 내에 존재하는 버퍼를 들 수가 있다. 10장의 문서를 프린트할 때 CPU는 프린터에게 프린팅 명령을 주게 되는데, 이때 버퍼가 없다면 CPU는 문서 10장의 프린팅 명령을 문서 한장한장이 프린트될 때까지 기다렸다가 프린터에게 명령을 주어야 하지만, 버퍼가 있을 경우 10장의 프린팅 명령을 한번에 프린터 버퍼에 넣고 다른 작업을 수행할 수가 있으니 더 효율적인 것이다.

쉐도우 램(Shadow RAM)
컴퓨터가 켜지고 난 후 주 메모리의 일부를 쉐도우 램으로 지정하고 속도가 느린 롬의 내용을 쉐도우 램에 담아 처리속도의 향상에 도움을 주는 방법이다.

레지스터(Register) 
CPU 내부에 존재하는 아주 작은 크기의 메모리라고 생각하면 된다. CPU가 여러 가지 계산의 중간 결과값을 가지고 있거나 프로그램을 실행하면서 다음에 실행할 곳의 위치를 기억하는 등의 중요한 역할을 한다.
 
 
 

CONFIG를 내손으로 주무르자!

CONFIG.SYS 

DOS란 운영체제의 하나로 개인용 컴퓨터를 작동시키는데 없어서는 안될 프로그램들의 집합이다. 컴퓨터가 작동하기 위해서 필수적으로 IO.SYS와 MSDOS.SYS, COMMAND.COM 등의 파일이 있어야 한다. 앞으로 나오는 CONFIG.SYS 파일이나 AUTOEXEC.BAT 파일은 없어서는 안되는 파일은 아니지만 사용자의 컴퓨터를 가장 알맞은 환경으로 꾸며주는 중요한 파일이다. 위의 파일들은 모두 C:라는 루트 디렉토리 밑에 존재한다. 이중에서 IO.SYS와 MSDOS.SYS 파일은 파일의 속성이 감추어져 있으므로 일반 dir 명령으로는 볼 수가 없고, dir /a:h란 추가적인 옵션을 주어야 모니터에 출력된다.

부팅(Booting) 
컴퓨터를 켜면 사용자가 사용할 수 있는 DOS 프롬프트 화면이 나오기 전까지 컴퓨터 혼자 열심히 무언가를 하는 것을 볼 수 있다. 이 과정을 '부팅'이라 한다.
 

부팅 디스켓 만들기
메모리를 최상의 상태로 만들기 위해서는 CONFIG.SYS 파일과 AUTOEXEC.BAT 파일을 바꾸면서 컴퓨터를 재부팅시켜야 하는데, 이때 조금이라도 잘못이 있어서 컴퓨터가 켜지지 않는 경우가 생길 수 있다. 이때를 대비하여 플로피 디스켓에 부팅할 때 필요한 DOS 파일을 넣어서 디스켓으로 부팅을 할 수 있는 것이 부팅 디스켓이다.

부팅 디스켓을 만드는 가장 기본적인 방법은 디스켓을 드라이브에 넣고 시스템 디스크로 포맷을 하는 것이다. 명령은 'C:FORMAT A:/S'이다. 이때 나오는 화면에서 System Transferred라는 메시지가 출력된 것을 볼 수 있다. 이 과정에서 부팅에 필요한 IO.SYS와 MSDOS.SYS, COMMAND.COM 3개의 파일이 디스켓으로 복사되는 것이다. CONFIG.SYS와 AUTOEXEC.BAT 파일은 디스켓에는 없다. 이 2개의 파일은 포맷이 끝나고 사용자가 직접 작성하거나 복사를 해 넣어야 한다.

롬 바이오스
롬 바이오스라는 것에 대해 간단히 언급하고 계속 내용을 이어나가는 것이 좋을 것 같다. 컴퓨터를 켰을 때 '뜨뜨뜨뜨…'하는 메모리 검사 소리 후 화면에 'Press <DEL> if you want to run setup/extd setup'이라는 메시지가 뜨는 것을 본 기억이 있을 것이다. 이때 <DEL>키를 누르면 롬 바이오스의 메뉴 화면이 나타난다. 자세한 메뉴 화면은 롬 바이오스를 제작한 회사에 따라 틀리기 때문에 공통적인 기능만 언급하도록 하겠다.

우선, 컴퓨터 시스템이 가지고 있는 정보를 변경할 수 있는 STANDARD SETUP이 있다. 시스템의 날짜, 시간, 총 메모리, 디스크 드라이브의 정보 등이 있고 변경할 수가 있다. 갑자기 그 내용이 바뀌지 않는 이상 변경할 필요가 없다.

다음으로 조금더 자세한 사항을 변경할 수가 있는 ADVANCE SETUP이 있다.

주로 시스템이 작동하는 방법에 대해 변경할 수 있는데, 컴퓨터가 부팅될 때 부팅 디스크를 A: -> C: 순으로 찾을 것인가 아니면 C: -> A: 순으로 찾을 것인가 등의 각종 선택사항이 있다.

이것 역시 특별한 일이 아니면 바꾸지 않는 것이 좋고 필요하다면 주위에 아는 사람의 도움을 받는 것이 좋다. 다음은 ADVANCE SETUP의 간략한 내용이다.
 

ABOVE 1MB MEMORY TEST 
1MB 이상의 메모리를 테스트할 것인가를 결정
MEMORY TEST SOUND
메모리 테스트시의 소리 설정
<DEL> MESSAGE
부팅시 <DEL> 키를 누르라는 메시지의 출력 여부 결정
NUMERIC PROCESSOR TEST
수치프로세서 검사
FLOPPY SEEK AT BOOT
부팅시 A: B: 등의 플로피 디스크 드라이브를 검사할 것인가를 결정
BOOT UP SEQUENCE
부팅시 드라이브를 검색하는 순서
BOOT UP CPU SPEED
부팅시 CPU 속도 설정

다른 하나의 BIOS 기능은 Hard Disk Utility이다. 이곳에서는 하드 디스크의 포맷과 하드 디스크의 Interleave라는 값을 자동으로 설정하고 하드 디스크의 상태를 분석한다. 하드 디스크가 정상으로 작동하고 있는데 이곳에서 설정을 바꾸면 하드 디스크를 못읽는 경우가 생길 수 있으니 조심해야 한다. 이외에도 BIOS에 들어갈 경우 비밀번호를 설정할 수 있고 각종 칩들의 설정을 행할 수 있다.

다시한번 말하지만 '롬 바이오스'는 컴퓨터 시스템이 가지고 있어야 할 기본적이고 중요한 내용을 담고있는 곳이기 때문에 함부로 건드린다면 컴퓨터가 작동하지 않는 사태(?)도 감수해야 할지 모른다.

CONFIG.SYS 파일과 다중 부팅(MULTI BOOTING)
CONFIG.SYS 파일은 사용자가 컴퓨터를 사용하기에 앞서 무엇을(주로 메모리를) 어떻게 사용할 것인가를 결정해 주는 파일이다. 마우스를 사용하려면 마우스 구동 파일을, 메모리를 EMS로 쓰려면 EMM386.EXE 파일을 컴퓨터에게 알려준다. 아무리 메모리가 32Mb나 된다고 해도 이 파일의 설정상태에 따라 실행이 안되는 프로그램이 생길 수도 있으니 간단히 넘길 파일은 아니다. 그러나 CONFIG.SYS 파일은 컴퓨터가 부팅되면서(켜지면서) DOS의 로더에 의해 실행되는 것으로 사용자가 DOS 프롬프트 상에서 실행시킬 수 없다. 그래서 CONFIG.SYS 파일을 변경한 후에 그 결과를 알기 위해서는 컴퓨터를 다시 부팅시켜야 한다.

항상 다시 부팅시켜야 하는 불편을 조금이나마 줄여주는 것이 바로 '다중 부팅'이다. 이것은 컴퓨터를 켰을 때 미리 정해놓은 몇가지의 설정중에서 하나를 골라 부팅시키는 것이다.
 

다중 부팅 CONFIG.SYS 파일의 예
 

[MEMU] 
MENUITEM=LAN 
MENUITEM=WINDOWS 
MENUITEM=EMM 
MENUCOLOR=15, 1
MENUDEFAULT=WINDOWS, 5
 

[COMMON] 
DOS=HIGH, UMB
FILES=100 
BUFFERS=50 
DEVICE=C:WINDOWSHIMEM.SYS 
SHELL=C:COMMAND.COM/P 
LASTDRIVE=C 
 

[LAN] 
DEVICE=C:WINDOWSEMM386.EXE 1024 RAM
DEVICE=C:LANPROTMAN.DOS/I:C:LAN 
DEVICEHIGH=C:LANUBLOOP.DOS 
DEVICEHIGH=C:LANELNK3.DOS 
DEVICEHIGH=C:LANUBTPS.DOS 
INSTALL=C:LANNETBIND.EXE 
 

[WINDOWS] 
DEVICE=C:WINDOWSEMM386.EXE NOEMS
DEVICEHIGH=C:WINDOWSMOUSE.SYS 

[EMM] 
DEVICE=C:WINDOWSEMM386.EXE 2048 RAM

CONFIG.SYS 파일의 명령어들
CONFIG.SYS 파일을 이해 못하더라도 이제부터 설명된 내용을 보고나면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MENU] 문단
메뉴를 정하는 부분으로 이곳의 메뉴 이름과 [메뉴 이름]은 같아야 한다. 메뉴색을 정할 수 있고 MENUDEFAULT를 지정을 통해 아무 선택도 없으면 여기서 지정된 기본 설정 메뉴를 실행한다.

[COMMON] 문단
이곳에 지정된 것은 메뉴에서 무엇을 선택하더라도 실행된다. 즉, 모든 메뉴에서 공통으로 실행하는 사항이다.

DOS=HIGH, UMB

DOS가 HMA와 UMB를 최대한 활용하도록 한다. 기본 메모리에 들어갈 DOS를 HMA에 올리고 여러 가지 구동파일과 메모리 상주 프로그램을 비어있는 UMB에 올린다. 여기서 HMA를 사용하기 위해서는 HIMEM.SYS가 필요하고 UMB를 사용하기 위해서는 'EMM386.EXE'가 필요하다.

FILES=파일수 
한 프로그램에서 동시에 취급할 수 있는 파일의 수를 지정한다. 너무 많은 수를 지정하면 기본메모리가 감소하는데 보통 30에서 40으로 하는 것이 적당하다.

BUFFERS=버퍼크기 
메모리를 버퍼로 사용하며 그 크기를 지정한다. 이것도 너무 큰 크기를 지정하면 기본 메모리가 감소하므로 보통 20에서 30으로 한다.

SHELL=C:COMMAND.COM /P /E: 크기

사용자가 입력하는 명령을 도맡아 해석할 명령 해석기를 저정한다. 주로 DOS의 COMMAND.COM이 지정되는데, NDOS 등의 다른 명령 해석기를 지정할 수도 있다. /P 옵션은 명령 해석기를 항상 사용하겠다는 의미이고, /E: 크기옵션은 명령 해석기가 필요로 하는 공간을 지정한 크기만큼 주겠다는 뜻이다. DOS 프롬프트상에서 COMMAND/?를 입력하면 도움말이 출력된다.

LASTDRIVE=C 

드라이브명으로 사용할 이름이 C:까지라고 알려준다. 즉, A: B: C: 라는 3개의 드라이브명이 존재하게 되는 것이다. 드라이브나 CD-ROM을 더 장착한다면 Z까지 써도 관계없다.

DEVICE=C:DOSHIMEM.SYS 

가장 중요할지도 모르는 명령으로 1Mb 이상의 메모리(HMA 포함)를 사용자가 사용할 수 있게 하는 명령어이다. CONFIG.SYS 파일내에서 다른 어떤 'DEVICE=…' 명령보다 먼저 설정해야 한다.

VICEHIGH=C:DOSEMM386.EXE 1024 RAM

UMB를 사용할 수 있게 하면서 XMS를 1024Kb만큼 EMS로 사용하겠다는 뜻이다. 1024 RAM 대신에 NOEMS를 써넣으면 UMB만을 사용하고 EMS는 사용하지 않겠다는 명령이 되니 적절히 사용하는 것이 좋다.

STACKS=스택 수, 스택 크기
컴퓨터가 프로그램을 실행하다가 잠깐씩 다른 일을 해야하는 경우가 있다. 이때를 대비한 공간이 스택으로 그 수와 크기를 지정하는 명령이다.

CONFIG.SYS 파일의 설정과 결과
CONFIG.SYS 파일을 다음과 같이 설정했을 경우와 이때의 메모리 결과를 보도록 하자.
NOEMS 옵션에 의해 EMS가 사용되지 않은 것을 볼 수 있다. 위에서 6번째 줄에 있는 SMARTDRV.EXE라는 프로그램은 디스크 캐시 프로그램으로 최대 1024Kb에서 최소 512Kb를 메모리에 할당하라는 명령이다.

위에서 설명된 CONFIG.SYS 파일의 명령들과 그 결과를 비교해 보기 바란다. 컴퓨터 내의 모든 변화에는 반드시 그 원인이 존재하기 마련이고, 그것을 어떻게 알아내느냐가 중요하다고 할 수 있다.

config.sys 예

DOS=HIGH, UMB
FILES=30 
BUFFERS=20 
DEVICE=C:WINDOWSHIMEM.SYS 
DEVICE=C:WINDOWSEMM386.EXE NOEMS
DEVICE=C:WINDOWSSMARTDRV.EXE 1024 512
DEVICE=C:MOUSE.SYS /Y
DEVICE=C:DOSSETVER.EXE 
SHELL=C:DOSCOMMAND.COM C:DOS /P
STACKS=9, 256
AUTOEXEC.BAT 파일이란
AUTOEXEC.BAT 파일에 대해 알아보기에 앞서 상식적으로 알아둘 것은 ***.SYS로 이름이 붙여진 파일은 직접 DOS 프롬프트에서 키보드의 입력으로 실행되는 것이 아니라 프로그램에 의해 간접적으로 실행되는 파일이며 ***.BAT으로 이름이 붙여진 파일은 DOS 프롬프트에서 키보드의 입력으로 실행되는 파일이다.

여기에서 BAT는 영어로 BATCH라는 단어의 줄임말로 그 뜻은 [해야할 일들을 '한번에 몰아서 한다'는 뜻]이다. 배치 파일은 다른 실행 파일(***.EXE나 ***.COM으로 이름붙여진 파일)과는 다르게 그 내용이 문자로 구성되어진 문서 파일(보통 '텍스트 파일'이라고 부르는)과도 같은 구조로 되어있다. 그 내용은 DOS에서 사용자가 키보드로 입력할 내용들이다.

즉 사용자가 항상 DOS 프롬프트 상에서 키보드로 입력하는 명령들을 한번의 배치파일 실행 명령으로 수행하여 명령들을 일일이 입력해야 하는 번거로움을 줄인 것이다.

배치파일을 만드는 방법은 간단하다. DOS의 'EDIT.EXE'나 HWP에서 다음을 입력해보자.

md temp
cd temp
copy c:*.*
dir/w 

모두 입력한 후에 TEST.BAT라는 이름의 파일로 저장을 한다. HWP와 같은 워드프로세서의 경우는 저장방식을 ASCII 방식으로 해야 한다. 저장이 끝나면 TEST.BAT라는 파일이 생겼을 것이다.

이제 DOS 프롬프트에서 test라고 입력하고 <엔터>키를 치면 컴퓨터 혼자 무언가를 할 것이다. 만일 C:DOS 디렉토리에서 이 파일을 저장하여 실행했다면 TEMP라는 이름의 디렉토리를 DOS 디렉토리 밑에 하나 만들고 C: 디렉토리에 있는 모든 파일들을 TEMP 디렉토리로 복사하며 dir/w 명령을 실행할 것이다.

AUTOEXEC.BAT 파일의 역할
AUTOEXEC.BAT 파일은 한마디로 말하면 사용자가 컴퓨터와 작업을 할 때 조금이라도 더 편하게 할 수 있도록 하는 파일이다. 가령 사용자가 컴퓨터를 켜고나면 매번 바이러스 검사 프로그램을 실행한다고 하자. 검사가 끝나고 나면 NCD를 쳐 HWP 디렉토리로 이동하여 HWP를 실행하여 일기를 작성한다고 할 때 이를 컴퓨터가 켜지면서 저절로 바이러스 검사를 하고 HWP를 실행하여 준다면 좋을 것이다. 이렇게 하기 위해서는 AUTOEXEC.BAT 파일의 끝부분에 다음의 내용을 추가하면 된다.

cd virus
v3 c:
scan c:
cd 
cd hwp
hwp 

AUTOEXEC.BAT 파일의 명령어들
이제는 AUTOEXEC.BAT 파일에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명령어 몇가지를 알아보자.

@ECHO OFF

@ECHO ON 또는 $ECHO OFF를 쓸 수 있다. OFF를 하면 이후에 실행되는 명령어들이 화면에서는 글자가 보이지 않으면서 실행되고 ON을 하면 화면에 보이면서 실행한다.

즉 ON을 하고나서 v3res를 실행할 때는 화면에 C:>v3res라고 입력되는 것이 표시되고 OFF를 하고나서 v3res를 실행할 때는 화면에 입력되는 것이 표시되지 않은 채 v3res가 실행되는 것이다.

SET PROMPT $P$G

DOS 프롬프트의 표시형식을 지정하는 것이다. 일반적으로 가장 많이 사용하는 것이 '$P$G'인데, 이것은 현재 드라이브명과 디렉토리 경로를 표시하고 끝에 '>' 기호를 첨가한다. 이 결과로 'C:DOS>'나 'C:WINDOWSSYSTEM>'이 프롬프트로 표시되는 것이다. 이것은 프롬프트에서 'prompt $p' 'prompt $g'를 타이핑 해보면 알 수 있다. $p$g외에도 사용자가 임의로 정의해서 쓸 수 있다. 그 예로 prompt $p[CHJ]$g를 입력해보자. 그러면 화면의 프롬프트가 C:[CHJ]>로 바뀌어 있는 것을 볼 수 있을 것이다. 이 명령은 컴퓨터의 기능에 전혀 영향을 미치지 않으므로 마음놓고 이것저것 입력해보면서 자신만의 프롬프트를 정해서 쓰는 것도 재미있을 것이다.

CLS 

화면을 모두 지우는 DOS 명령어이다.

SET PATH=C:;C:DOS...;

AUTOEXEC.BAT 파일의 중요한 기능 중의 하나이다. PATH는 이어지는 통로라는 의미로서 사용자가 입력한 명령이 어느 통로를 통해 실행될 것인가를 지정하는 것이다. DOS는 사용자가 입력한 명령이 DOS의 내부 명령이 아니라면 현재 위치한 디렉토리내에서 그 명령 파일을 찾을 것이다. 현재의 디렉토리에 그 명령 파일이 없으면 화면에는 Bad command or file name라는 메시지가 표시될 것이다. 이것이 DOS가 명령을 실행하는 기본 원칙이다.

그러나 아마도 여러분의 컴퓨터에서는 NCD를 치면 언제나 NCD 화면이 뜨게 되어있을 것이다. 이것은 바로 SET PATH=... 명령에 NCD.EXE 실행 파일이 들어있는 C:NORTON: 등의 디렉토리가 포함되어 있기 때문이다. 즉 DOS는 명령이 입력되면 SET PATH=디렉토리; 디렉토리; 디렉토리;... 등으로 설정된 디렉토리를 찾아다니며 입력된 명령 파일을 찾는 것이다. 여기서 ;(세미콜론)은 디렉토리를 구분하는 기호이다. 사용자가 명령을 입력했을 경우 앞에서 나온 AUTOEXEC.BAT 파일의 경우에는

DOS 내부명령 -> 현재의 디렉토리 -> C:(루트 디렉토리) -> C:DOS -> C:VIRUS -> C:NU -> C:COMPRESS -> C:UTILITY -> C:WINDOWS의 순서로 명령 실행파일을 찾는다.

추가로 알아야 할 것은 PATH로 지정하는 디렉토리들도 메모리를 차지하며 기본적으로 할당된 메모리의 크기는 128바이트이다. 이것은 PATH=뒤에 쓸 수 있는 글자의 수가 128개라는 이야기이다. 이 크기를 늘리려고 한다면 CONFIG.SYS 파일내에 SHELL=C:COMMAND.COM /P /E:256이라는 명령 옵션을 추가해야 하지만 가능하면 크기는 늘리지 않고 필요한 디렉토리만을 지정하는 것이 좋다.

SET... 

DOS에게 PATH 이외의 설정을 알려주는 것이다.

AUTOEXEC.BAT 파일의 설정
AUTOEXEC.BAT 파일이 메모리에 주는 영향은 대부분 메모리 상주 프로그램들이다. 메모리 상주 프로그램이란 항상 메모리에 존재하여 언제라도 실행이 가능한 프로그램을 말한다. 그러므로 메모리 상주 프로그램을 많이 띄우면 띄울수록 메모리의 크기는 감소하는 것이다. 다음은 모두 메모리 상주 프로그램들이다.

SMARTDRV 
디스크 캐시를 해주는 프로그램이다. 디스크를 읽고 쓰는 속도를 소프트웨어적으로 향상시켜주지만 그만큼 메모리를 차지하므로 득과 실이 있다. 메모리가 충분하다면 사용하는 것이 좋다.

V3RES 
대표적인 메모리 상주 바이러스 예방프로그램이다. 이런 프로그램들은 항상 메모리에 존재하여 다른 프로그램들이 실행될 때마다 바이러스의 존재여부를 검사하므로 사용하는 것이 좋을 것이다. 하지만 여러 종류의 바이러스 예방 프로그램들을 모두 사용하는 것보다는 예방 바이러스의 개수가 가장 많은 프로그램 하나를 사용하는 것이 좋다.

DOSKEY 
DOS에서 제공하는 프로그램으로 사용자가 입력했던 명령들을 기억했다가 다시 실행시켜주는 프로그램이다. 사용자가 컴퓨터를 사용함에 있어서 편리함을 주는 프로그램이므로 메모리가 충분할 때에만 사용하는 것이 좋다. 사용상의 편리냐 메모리의 확보냐 하는 문제는 사용자의 선택에 달려있다.
AUTOEXEC.BAT 파일이 메모리를 차지하는 비중은 얼마나 많은 메모리 상주 프로그램을 실행하였느냐에 달여있으므로 적절한 메모리 상주 프로그램을 사용할 때 메모리의 크기를 확인해가면서 각 사용자 나름대로 연구해야 할 것이다.

컴퓨터 사양별 메모리 설정 2(386, 8Mb~16Mb)
한마디로 몇가지의 프로그램을 제외하고는 쓰기에 그리 큰 무리는 없다고 할 수 있다.

속도 
CPU의 속도는 별 무리없이 사용가능하다. 기타 주변장치중에서 하드디스크, 비디오 카드와 입출력 카드가 변수지만 요즘같은 그래픽 환경에서는 비디오 카드의 기능이 가장 중요하다고 할 수 있다. 그리고 이에 따라 버스방식이 중요할 것이다. GAME을 할 때나 WINDOWS를 사용할 때, 비디오 카드와 버스 방식에 따라 그 차이가 많이 날 수도 있으므로 관심을 둘 필요가 있다.

자세한 속도와 용량 드의 사항은 앞서 언급한 예와 그리 다를 것이 없으므로 생략하고 설정의 한 예를 들어 설명하도록 하겠다. 메모리를 사용하는 방법에는 XMS와 EMS의 2가지가 있으므로 기본적으로는 2가지의 설정이 있을 수 있다. 여기에 CD-ROM과 기타 GAME을 위해 필요한 메모리 설정이 추가될 수 있다.

DOS의 내부 명령과 외부 명령

내부 명령
DOS가 기본적으로 지원하는 명령으로 그 대표적인 예로 DIR을 꼽을 수가 있다. DIR은 DIR.COM이나 DIR.EXE 등의 실행파일이 존재하는 것이 아니다. 이것은 COMMAND.COM에서 기본적으로 지원하는 명령어이기 때문에 언제 어디서나 실행 가능하다. DIR 이외에도 COPY, RENAME, TIME, DATE, VER 등의 명령이 있다.

외부명령 
COMMAND.COM이 지원하지 않는 명령으로 DOS 디렉토리 내에 실행파일로 존재한다. 지금 바로 DOS 디렉토리의 내용을 보면 알 수 있다. FORMAT, XCOPY, MEM 등이 있다. 이러한 외부 명령들이 언제 어디서나 실행가능하려면 AUTOEXEC.BAT 파일내의 PATH=... 명령에 DOS 디렉토리가 포함되어 있어야 한다.

자료펌) http://blog.empas.com/ptc730930/22915483
반응형

'Computing..' 카테고리의 다른 글

버퍼와 캐시  (0) 2007.08.18
데이터베이스의 관계 유형  (0) 2007.08.16
데이터베이스 정규화 예  (0) 2007.08.16
Posted by 따뜻한 세상
,
비교적 설명이 잘된 것 같군요...
 

데이터베이스의 관계


▪일 대 일(1:1) 관계 : 두 개의 테이블에서 서로 관련된 필드가 기본키로 중복됨 없이 한 레코드에만 일치하는 관계


▪일 대 다(1:n) 관계 : 한쪽 테이블만이 기본키이고 상대 테이블에는 해당키와 관련된 필드인 외래키를 갖고 있는 경우의 관계


▪다 대 다(n:m)관계 : 두 개의 일 대 다 관계가 모여서 구성되며, 제 3의 테이블이 필요한 관계
 

요것도 비교적 정의가 잘 됬네요..
 

참조 무결성(Referential Integrity) : 기본 키는 널(Null)값이어서는 안 된다는 무결성 원칙


개체 무결성(Entity Interity) : 외래 키 값은 널(Null)값이거나, 참조 릴레이션에 있는 기본 값과 같아야 한다는 원칙

반응형
Posted by 따뜻한 세상
,
원래 정규화란 중복성을 최소화하고 정보의 일관성을 보장하기 위한 관계형 데이터 베이스에서 제일 중요한 개념인데요
 
제1정규화는
여러 값을 가진 컬럼이 존재할 수 없다. 즉 반복되는 그룹이 존재해서는 안 된다. 각 행과 열에는 하나의 값만이 올수 있다.
예를 들면
 
고객번호(P.K) 고객명  취미       
1                   이윤호영화 여행
2                   이민호  등산
 
이런 테이블이 있을수는 없고 이걸 수정한다면
 
고객번호(P.K)  고객명
1                    이윤호
2                    이민호  하고 또하나
 
고객번호(P.K) 일련번호(P.K) 취미
1                   1                   영화
1                   2                   여행
2                   1                   등산
 
이런식으로 두개로 분리해야 한다는거죠
 
제2정규화
모든키가 아닌 컬럼은 기본 키 전체에 의존적이여야 한다. 기본키의 일부분에 의존적이어서는 안 된다.
 
예를 들어
사번(p.k)    프로젝트번호(p.k)   부서   프로젝트역할   고과율
1                a                         전산    팀장               A
1                b                         전산    조원               C
1                c                         전산    부팀장            B
2                c                         경리    팀장               A
3                c                         기획    팀장               A
 
이 테이블의 기본키는 사번과 프로젝트번호인데 부서 컬럼은 사번에만 의존적이다.
이것은 2정규화를 거치면
 
사번(p.k) 프로젝트번호(p.k) 프로젝트역할 고과율
1             a                        팀장             A
1             b                        조원             C
1             c                        부팀장          B
2             c                        팀장             A
3             c                        팀장             A
 
요렇게 하고 부서 테이블을 다시 따로 때네서
 
사번   부서
1        전산
2        경리
3        기획
요렇게 해서 릴레이션을 걸면 됩니다.
 
제3정규화
키가아닌 컬럼은, 다른 키가 아닌 컬럼에 의존적일어서는 안된다.
예를 들어
 
사번(p.k) 프로젝트번호(p.k) 프로젝트역할 고과율
1            a                        팀장              A
1            b                        조원              C
1            c                        부팀장           B
2            c                        팀장             A
3            c                        팀장              A
 
요 테이블을 다시 보면 고과율은 프로젝트 역할에 의존적인걸 알수 있습니다.
 
이것을 또 3정규화 거치면
사번(p.k) 프로젝트번호(p.k) 프로젝트역할
1             a                        팀장
1             b                        조원
1             c                        부팀장
2             c                        팀장
3             c                        팀장
 
프로젝트역할   고과율
팀장               A
조원               C
부팀장            B
 
요렇게 또 따로 때네줘야 합니다
 
BCNF 정규화는
3정규형에서 BCNF 정규형이 되려면 비결정자에의한 함수종속을 제거해야 하는것을 알고계시죠..
비결정자에 의한 함수종속을 제거해서 분해된 BCNF정규형
결과적으로 모든 속성들이 후보키로서 사용이 가능한 형태로 분해됩니다.
다시 말해 분해된 테이블의 모든 결정자들이 후보키이면
BCNF정규형이라 말합니다
 
제4정규화는
2정규화 된 테이블은 다대다 관계를 가질수 없다.
이건 따로 예를 안들어도 되겠죠?ㅋㅋ
 
제5정규화는 실무에서 정말 안쓴다고 알고 있습니다.

자료 펌) http://blog.empas.com/nnicool/
반응형

'Computing..' 카테고리의 다른 글

데이터베이스의 관계 유형  (0) 2007.08.16
교착상태(Dead Lock)를 잘 표현한 그림..  (1) 2007.08.13
DOS 주요 명령어  (0) 2007.08.06
Posted by 따뜻한 세상
,
교착상태(Dead Lock)를 잘 표현한 그림이군요..

살아가면서 이런 경우를 많이 접하게 되지요?
하지만 누군가 먼저 한발 빼서 양보하면 소통이 원할해집니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사용자 삽입 이미지
사용자 삽입 이미지
사용자 삽입 이미지
사용자 삽입 이미지
사용자 삽입 이미지
반응형

'Computing..' 카테고리의 다른 글

데이터베이스 정규화 예  (0) 2007.08.16
DOS 주요 명령어  (0) 2007.08.06
광섬유 개요  (0) 2007.08.05
Posted by 따뜻한 세상
,

DOS 주요 명령어

Computing.. 2007. 8. 6. 15:23
ASSOC 파일 확장명 연결을 보여주거나 수정합니다.
AT 명령어와 프로그램의 실행을 스케줄합니다.
ATTRIB 파일 속성을 표시하거나 바꿉니다.
BREAK 확장된 CTRL+C 검사를 설정하거나 지웁니다.
CACLS 파일의 액세스 컨트롤 목록(ACL)을 표시하거나 수정합니다.
CALL 한 일괄 프로그램에서 다른 일괄 프로그램을 호출합니다.
CD 현재 디렉터리 이름을 보여주거나 바꿉니다.
CHCP 활성화된 코드 페이지의 번호를 표시하거나 설정합니다.
CHDIR 현재 디렉터리 이름을 보여주거나 바꿉니다.
CHKDSK 디스크를 검사하고 상태 보고서를 표시합니다.
CHKNTFS 부팅하는 동안 디스크 확인을 화면에 표시하거나 변경합니다.
CLS 화면을 지웁니다.
CMD Windows 명령 인터프리터의 새 인스턴스를 시작합니다.
COLOR 콘솔의 기본색과 배경색을 설정합니다.
COMP 두 개 또는 여러 개의 파일을 비교합니다.
COMPACT NTFS 분할 영역에 있는 파일의 압축을 표시하거나 변경합니다.
CONVERT FAT 볼륨을 NTFS로 변환합니다. 현재 드라이브는 변환할 수 없습니다.
COPY 하나 이상의 파일을 다른 위치로 복사합니다.
DATE 날짜를 보여주거나 설정합니다.
DEL 하나 이상의 파일을 지웁니다.
DIR 디렉터리에 있는 파일과 하위 디렉터리 목록을 보여줍니다.
DISKCOMP 두 플로피 디스크의 내용을 비교합니다.
DISKCOPY 플로피 디스크의 내용을 다른 플로피 디스크로 복사합니다.
DOSKEY 명령줄을 편집하고, Windows 명령을 다시 호출하고, 매크로를 만듭니다.
ECHO 메시지를 보여주거나, 명령어 반향을 켜거나 끕니다.
ENDLOCAL 일괄 파일에서 환경 변경의 지역화를 끝냅니다.
ERASE 하나 이상의 파일을 지웁니다.
EXIT CMD.EXE 프로그램(명령 인터프리터)을 마칩니다.
FC 두 파일 또는 파일의 집합을 비교하여 다른 점을 표시합니다.
FIND 파일에서 텍스트 문자열을 찾습니다.
FINDSTR 파일에서 문자열을 찾습니다.
FOR 파일 집합에서 각 파일에 대해 지정된 명령을 실행합니다.
FORMAT Windows에서 사용할 디스크를 포맷합니다.
FTYPE 파일 확장 연결에 사용되는 파일 형식을 표시하거나 수정합니다.
GOTO Windows 명령 인터프리터가 일괄 프로그램에서 이름표가 붙여진 줄로 가게 합니다.
GRAFTABL Windows가 그래픽 모드에서 확장 문자 세트를 표시할 수 있게 합니다.
HELP Windows 명령어에 관한 도움말을 제공합니다.
IF 일괄 프로그램에서 조건 처리를 수행합니다.
LABEL 디스크의 볼륨 이름을 만들거나, 바꾸거나, 지웁니다.
MD 디렉터리를 만듭니다.
MKDIR 디렉터리를 만듭니다.
MODE 시스템 장치를 구성합니다.
MORE 출력을 한번에 한 화면씩 표시합니다.
MOVE 하나 이상의 파일을 한 디렉터리에서 다른 디렉터리로 옮깁니다.
PATH 실행 파일의 찾기 경로를 보여주거나 설정합니다.
PAUSE 일괄 파일의 처리를 보류하고 메시지를 보여줍니다.
POPD PUSHD 명령으로 저장된 디렉터리로 바꿉니다.
PRINT 텍스트 파일을 인쇄합니다.
PROMPT Windows 명령 프롬프트를 바꿉니다.
PUSHD 현재 디렉터리를 저장한 후 디렉터리를 바꿉니다.
RD 디렉터리를 지웁니다.
RECOVER 불량이거나 결함이 있는 디스크에서 읽을 수 있는 정보를 복구합니다.
REM 일괄 파일 또는 CONFIG.SYS에서 주석을 기록합니다.
REN 파일 이름을 바꿉니다.
RENAME 파일 이름을 바꿉니다.
REPLACE 파일을 대체합니다.
RMDIR 디렉터리를 지웁니다.
SET Windows 환경 변수를 보여주거나, 설정하거나, 지웁니다.
SETLOCAL 일괄 파일에서 환경 변경의 지역화를 시작합니다.
SHIFT 일괄 파일에서 바꿀 수 있는 매개 변수의 위치를 바꿉니다.
SORT 입력을 정렬합니다.
START 지정된 프로그램이나 명령을 별도의 창에서 시작합니다.
SUBST 경로를 드라이브 문자로 지정합니다.
TIME 시스템 시간을 보여주거나 설정합니다.
TITLE CMD.EXE 세션에 대한 창의 창 제목을 설정합니다.
TREE 드라이브 또는 경로의 디렉터리 구조를 그래픽으로 화면에 표시합니다.
TYPE 텍스트 파일의 내용을 보여줍니다.
VER Windows 버전을 보여줍니다.
VERIFY 파일이 디스크에 올바로 쓰였는지 검증할지 여부를 지정합니다.
VOL 디스크 볼륨 이름과 일련 번호를 보여줍니다.
XCOPY 파일과 디렉터리 트리를 복사합니다.
---------------------------
 Ulinux / dos  명령어 비교

list 보기                                ls     /          dir
디렉토리 생성                       mkdir       /          mkdir , md
디렉토리 삭제                       rmdir       /          rmdir , rd
디렉토리 트리                       ls -R       /          tree
파일 삭제                              rm       /          del , erase
파일 복사                              cp       /          copy
파일 이동                              mv       /          move
이름 변경                              mv       /          rename
change directory                   cd           /          cd
현재 디렉토리 표시                 pwd          /          cd
화면 정리                              clear    /          cls
명령어 해석기                    sh, csh, bash  /          command.com
파일 내용 표시                      cat         /          type
도움말, 메뉴얼                      man         /          help
쉘 종료, 도스창 종료               exit         /          exit
시간 표시                             date      /          time
그대로 출력                          echo       /          echo
환경변수 표시                     set,env       /          set
경로 보기                        echo $PATH     /          path
버전 정보                         uname -a      /           ver

 network 관련 프로그램 >
사용자 정보 출력                         finger    /      finger
ping                                      ping     /       ping
라우팅 테이블                            route -n  /       route print
네임서버 쿼리 툴                      nslookup   /       nslookup
telnet                                telnet        /      telnet
ftp                                      ftp         /       ftp
네트워크 경로 trace              traceroute     /       tracert

< 파일, 디렉토리 , 문자열 관련 >
파일 안의 문자열 찾기                     find    /      find
파일 안의 문자열 찾기                      grep  /      findstr
긴 화일 한 화면씩 출력                     more  /       more
2개 파일 내용 비교                      diff       /       fc, comp
라인 에디터                                ed      /       edlin
문자열, 라인별 정렬                        sort   /       sort
하위 디렉토리까지 복사                   cp -R   /       xcopy
file 속성 표시                       lsattr         /       attrib
현재 경로를 저장 후 이동                pushd   /        pushd
pushd로 저장한 경로로 이동             popd   /        pupd화일 감추기                                        

압축                             tar , zip          /          pkzip

< 시스템 관련 >
프로세스 정보                           ps, top    /       taskmgr
컴퓨터 호스트명                     hostname       /       hostname
scheduling                             at, cron    /       at
프로세스 종료                        kill , killa  /       tskill
시스템종료            shutdown, halt, init 0       /       shutdown

file system 관련                        mke2fs     /       format
ip표시,interface표시, 설정            ifconfig     /       ipconfig
fdisk                                  fdisk       /       fdisk디스크검사                                             
free memory 보기                    free, top      /       mem
scandisk                            fsck, debugfs  /       scandisk

< 기타 >
파일 인쇄                                 lpr      /       print
프린트 큐 보기                            lpq      /       print

반응형

'Computing..' 카테고리의 다른 글

교착상태(Dead Lock)를 잘 표현한 그림..  (1) 2007.08.13
광섬유 개요  (0) 2007.08.05
DBA (database administration)  (0) 2007.08.05
Posted by 따뜻한 세상
,

광섬유 개요

Computing.. 2007. 8. 5. 17:50

광섬유 개요

 

1. 광섬유란

광통신을 가능하게 하는 저변에는 저손실 특성의 광섬유가 있다. 광섬유는 광을 전송하기 위한 전송로가 된다. 광섬유를 사용한 통신 케이블을 광섬유 케이블이라 한다. 광섬유 케이블은 광 신호가 전파되는 코어(core)를 둘러싸고 있는 클래드(clad)를 기본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이를 다시 피복재로 감싸고 있다(그림 1 참조). 코어는 클래드보다 굴절률이 큰 물질로 이루어져 있다.

광섬유 케이블은 기존의 메탈 케이블에 비해 고속/광대역 전송이 가능하고, 전송 도중의 데이터 손실이 현저히 적다(예를 들어, 광 해저 케이블의 경우 손실은 0.19 dB/km)는 특장점을 가지고 있다.

2. 광섬유의 분류

광섬유는 용도나 재질에 따라 분류되는데, 용도를 기준으로 하면 전송용(선로용) 광섬유, 증폭기용 광섬유, 격자(grating)용 광섬유로 분류되며, 재질을 기준으로 하면 석영계 광섬유(Silica Optical Fiber)와 비석영계 광섬유로 구분되는데, 비석영계 광섬유에는 합성유리 광섬유, 플라스틱 광섬유(POF : Plastic Optical Fiber), 다성분계 광섬유 등이 있다.

이중 광통신에서는 석영계 광섬유가 주로 이용되는데, 석영계 광섬유는 다시 광의 전파 모드와 굴절률 분포에 따라 다중 모드 광섬유와 단일 모드 광섬유로 구분된다. 또한 다중 모드 광섬유는 다시 SI형(St ep Index Multi-mode)과 GI형(Graded Index Multi-mode)으로 구분된다. 이를 간략히 정리하면 <표 1>과 같다.

3. 광섬유의 크기1)

광섬유 크기에 대한 국제 표준은 단일 모드 광섬유의 경우 코어의 직경은 8~10㎛, 클래딩의 직경은 125㎛, 그리고 코팅까지의 직경은 245㎛로 표준화 되어 있다. 멀티 모드 광섬유의 경우 코어의 직경이 50~62.5㎛로 차이가 있을 뿐 나머지 규격은 단일 모드 광섬유와 같다. 이 표준은 동 산업계에서 사용되는 커넥터, 스플라이스 및 기타 툴간의 호환성 확보를 위해 매우 중요하다.

 

4. 석영계 광섬유

석영계 광섬유는 투명성이 극히 우수하여 전송 손실이 적고, 기계적 강도 또한 뛰어나 통신용 전송로로서 요구되는 기본적인 특성을 갖추고 있다.

석영계 광섬유는 크게 광이 통과하는 경로가 하나이며 코어의 직경이 가는 단일 모드 광섬유와 광이 통과하는 경로가 복 수이며 코어의 직경이 큰 다중 모드 광섬유로 대별된다.

 

. 멀티 모드 광섬유

 

전술한 바와 같이 멀티 모드 광섬유는 광의 전파 모드와 굴절률 분포에 따라 SI형 멀티 모드 광섬유와 GI형 멀티 모드 광섬유로 구분된다.

SI형 멀티 모드 광섬유에서는 빛이 코어와 클래딩의 경계에서처럼 굴절률이 다른 경계면에 도달하면 일부는 투과되고 나머지는 반사된다. 그러나 굴절률이 높은 코어 부분으로부터의 빛의 진로가 경계면과 이루는 각도가 어떤 임계각보다 작아지면 빛은 클래딩 부분으로 투과되지 않고 모두 반사된다. 이런 현상을 전반사라고 한다. 이 원리에 의해 광섬유 코어 부분에 일정한 각도 이내의 빛이 입사되면 코어 안에서 전반사를 계속하면서 진행된다.

광섬유가 급격하게 구부러지면 광 경로가 경계와 이루는 각도가 임계각 이상으로 커질 수 있으므로 빛이 클래딩 쪽으로 새어나가 손실이 증가하게 된다. 이런 SI형 멀티 모드 광섬유에서는 직진하는 광선과 큰 각도로 전반사하는 광선이 도파되는 경로 차이가 크므로 이에 비례해 출력단에 도착되는 시간 차가 생겨 수십 MHz/km 이상의 정보 전송이 어렵다. 이런 현상을 모드 분산(mode dispersion)이라 한다

이런 시간 차를 줄일 수 있도록 설계된 것이 GI형 멀티 모드 광섬유이다. 이 광섬유는 코어 중심의 굴절률이 가장 크고, 클래딩쪽으로 갈수록 굴절률이 조금씩 줄어들어 언덕 모양의 굴절률 분포를 이룬다. 이렇게 되면 먼 경로로 구부러지는 빛의 속도는 굴절률의 감소에 의해 증가하므로, 직진하는 빛과 거의 같은 시간에 출력단에 도착하게 된다. 이 경우, 전술한 SI형 광섬유보다 100배 이상의 속도로 정보를 전송할 수 있게 된다.

. 단일 모드 광섬유

전술한 멀티 모드 광섬유(SI형 및 GI형 광섬유)에서는 각도가 다른 수백 개의 광선이 동시에 도파된다. 그런데 광섬유 코어의 지름을 더 줄이고, 코어와 클래딩 간의 굴절률의 차이를 줄이면 직진하는 빛만 도파되도록 할 수 있다. 이런 광섬유를 단일 모드 광섬유라 하는데, 이 경우에는 각각의 진행 각도 차이로 인해 생기는 시간차가 없으므로 100GHz/km 이상의 넓은 전송 대역폭을 갖는다.

 

5. WDM용 광섬유

. EDF(Erbium-Doped Optical Fiber)

오늘날 광통신망이 지향하는 바는 대개 고속화, 대용량화, 장거리화라는 3가지로 집약할 수 있다. 이중 대용량화 기술로 최근 각광 받고 있는 것이 WDM(wavelength division multiplexing) 기술이다. WDM은 하나의 광섬유 내에 파장이 다른 다수의 광신호를 전송함으로써 용량을 증대시킬 수 있다.

WDM은 1가닥의 광섬유에 파장이 다른 다수의 광신호를 동시에 전송할 수 있게 하는 기술로, 이 기술을 적용하면 광통신 회선의 용량을 대폭 확장할 수 있다. 이 WDM 방식에는 다수의 파장을 일괄적으로 증폭할 수 있는 광섬유 증폭기(EDFA)가 사용되는데, EDF는 그 핵심 소자이다.

EDF는 석영계 광섬유의 코어에 희토류 원소인 에르븀(erbium)을 첨가하여 만든 특수 광섬유이다. 이 EDF를 사용하면 첨가된 에르븀의 작용으로 광신호를 간단하게 증폭할 수 있다. 1989년에 개발된 이래 광섬유 증폭기(EDFA)의 개발을 유발하였으며, 최근 광통신의 주류를 형성하고 있는 WDM 기술의 실용화에 초석이 되었다.

. DCF

DCF(Dispersion Compensation Fiber)는 커다란 음(-)의 파장 분산을 갖도록 설계된 광섬유이다. 현재 세계에 부설되어 있는 광섬유의 대다수는 파장이 1.3㎛인 광섬유인데, 이러한 1.3㎛ 단일 모드 광섬유 전송로에 양(+)의 분산을 가지는 1.55㎛ 파장이 사용되는 경우 문제 발생의 원인이 된다. DCF는 바로 이 양의 분산을 음의 분산으로 보상해 주는 기능을 한다. 1.3㎛용 광섬유에 DCF와 1.55㎛용 광증폭기를 조합함으로써 1.55㎛ 대역에서 구동하는 대용량 장거리 통신용으로 업그레이드 할 수 있다.

. NZ-DSF

광섬유에는 코어의 재료나 구조, 광의 파장에 따라 파형 열화의 원인이 되는 분산이 발생한다. 분산이란 전송 도중에 광의 펄스가 붕괴되는 현상을 말하는데, 광섬유의 분산은 초고속 장거리 광통신의 가장 큰 제한 요인의 하나가 되고 있다.

기존 장거리망에 사용되는 광섬유는 대개 파장 1,310㎚에서 영분산을 갖는 SMF(Single Mode Fiber)인데, SMF에 파장 1,550㎚인 레이저를 통과시키면 17㎰/㎚·㎞의 분산이 발생하여 전송거리를 제한하므로 이를 보상할 필요가 있다. 이러한 이유로 분산 보상을 하기 위한 광섬유, 즉 전술한 DCF(Dispersion Compensation Fiber)가 상용화 되어 있으나 값이 비싸 막대한 비용이 소요된다는 단점이 있다.

이에 따라 기존의 파장 1,310㎚영역으로부터 파장 1,550㎚의 영역으로 영분산을 천이시켜 분산과 손실의 최소화를 함께 도모한 분산 천이 광섬유(DSF : Dispersion Shifted Fiber)가 출현하게 됐다. DSF는 색분산을 구성하고 있는 재료분산과 구조분산을 최적화해 설계했다.

10 Gbps 이상의 고속 광전송 시스템이 현장에 적용되면서 DSF의 사용이 확대되고 있으나, 다채널 WDM 전송 시스템에서는 DSF의 비선형 특성(특히, 4광파 혼합 현상)에 의한 심각한 누화(Cross-talk)가 발생되고, 이의 증가는 채널당 광의 세기를 제한하고, 따라서 전송거리를 제한하게 되므로, WDM 전송 시스템으로 확장할 때 문제를 야기할 우려가 있다. 4광파 혼합 현상은 색분산이 클수록 효율이 작아지게 되므로 ITU-T에서는 영분산 파장이 전송 대역 밖에 위치하면서, 색분산이 6ps/nm.km 정도로 제한된 새로운 광섬유의 규격화를 진행하고 있다.

DSF는 C밴드가 영분산 대역이 되기 때문에 C밴드를 사용하는 WDM 전송에는 적합하지 않다. DSF를 그대로 WDM에 이용하려면 단위파장의 주파수 간격을 불균등하게 하고 C밴드 이외의 파장 영역을 사용해야 한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영분산 대역을 1,550nm 대역의 전후로 이동시킨 것이 비영분산 천이 광섬유(NZ-DSF : Non Zero DSF)이다.

NZ-DSF는 실제 이용되는 광증폭기의 증폭영역이 1,530∼1,565㎚이므로 광섬유의 영분산 파장이 이 영역 밖으로 벗어나도록 설계됐다. NZ-DSF는 국제전기통신연합(ITU)에서 심의한 G.655로 규격화되어 있다. 이 광섬유는 DSF의 세그먼트 코어나 듀얼형 구조를 약간 수정한 것으로 분산 값은 1,530∼1,565㎚ 영역에서 1∼6㎰/㎚·㎞ 정도를 갖는다. 영분산 파장이 단파장쪽으로 있는 NZ-DSF는 양분산을 갖게 되고 장파장쪽으로 있는 광섬유는 음분산을 갖는다.
자료 펌) http://blog.naver.com/bestbabo/90007977681

반응형

'Computing..' 카테고리의 다른 글

DOS 주요 명령어  (0) 2007.08.06
DBA (database administration)  (0) 2007.08.05
PSW (Program Status Word)  (0) 2007.08.04
Posted by 따뜻한 세상
,
데이터베이스 시스템을 원활하게 수행하도록 데이터베이스의 전체적인 관리 운영에 대한 최고의 책임을 지는 개인 또는 집단으로 일반적으로 DBA라 한다. DBA는 데이터베이스의 구성 요소 결정, 스키마 정의, 저장구조와 접근 방법 선정, 권한 부여와 유효성 검사 같은 보안 정책 수립, 백업 및 복구 절차 수립, 정보의 무결성 유지, 성능 향상과 재구성뿐만 아니라 데이터베이스와 관련된 모든 행정적 책임을 지고 있다.
반응형

'Computing..' 카테고리의 다른 글

광섬유 개요  (0) 2007.08.05
PSW (Program Status Word)  (0) 2007.08.04
전기 용어 사전..ㅊ-ㅎ  (0) 2007.08.03
Posted by 따뜻한 세상
,

끼어들기가 발생하면 끼어들기 처리 후 사용자 프로그램에서 끼어들기가 발생된 명령의 다음 명령으로 되돌아볼 수 있게 하기 위해 현재 프로그램 상태어(PSW)의 내용을 임시 보관하는 곳. 프로그램 상태어에는 명령어 실행의 순서를 제어하며, 프로세스의 상태에 관한 여러 가지 정보를 가지고 있는 것으로 현재 PSW, 신 PSW, 구 PSW가 있다. 구 프로그램 상태어는 끼어들기가 생겼을 경우 현재 PSW의 내용이 구 프로그램 상태에 보관되며 끼어들기 처리가 모두 처리되면 다시 구 PSW의 내용을 신 PSW로 되돌려 보낸다.

반응형

'Computing..' 카테고리의 다른 글

DBA (database administration)  (0) 2007.08.05
전기 용어 사전..ㅊ-ㅎ  (0) 2007.08.03
전기 용어 사전.. ㄱ-ㅁ  (0) 2007.08.03
Posted by 따뜻한 세상
,

▶카드뮴전지[카드뮴電池](Cadmium standard cell)

웨스톤전지와 같다.


▶카트릿지(Cattridge)

① 레코오드플레이어(Recorder player)의 픽업(pickup)의 재생 head부를 말한다. artridge 는 보통 집어 넣게 되거나 또는 나사로 고정하여 아암(arm)에 취부한다. ② 자기테이프를 담는 용기로 테이프는 거기에 넣은대로 자기테이프장치에 용이하게 탈착되어 반드시 보존 되게끔 되어 있는 것.


▶카프링(Coupling)

2개의 회로의 결합을 하는 부분. 또는 계수(繼手)라고도 한다.


▶캐리어(Carrier)

① 게르마니옴에 있어서 보통 과잉전자(過剩電子)와 정공(正孔)이 동시존재하며 만일 과잉전자쪽이 정 공보다도 많을 경우를 n형 반도체(半導體), 반대의 경우를 P형 반도체라 하고 이 과잉전자와 정공을 캐리어라고 한다. ② 반송파 ③ 전류를 구성하는 전하를 운반하는 입자란 것으로 전자, 정공(正孔), 정부(正負)의 ion등이 carrier로 된다. ④ 반송통신(搬送通信)에 있어서 반송파 즉 전송신호에 의해 변조되는 정현파(正弦波)란 것.


▶캐비테이션(Cavitation)

물이 저압력에서는 상온에서도 상당한 증발이 일어나는 것으로 이것을 cavicttation이라 부른다. 수차등에서는 압력이 높은 곳과 낮은 곳이 있기 때문에 고압부에 이증발한 물의 기포가 급히 뛰어 넘으면 거기서 꺼지면서 상당히 센 충격력을 발생하여 수차의 회전 우근에 손상을 갖어온다. 공동현상이라고도 한다.


▶캐소우드(Cathode)

음극이란 말. 전자관에 있어서 전자를 방출케하는 전극.


▶캐스케이딩(현상)

저압선의 고장에 의하여 건전한 변압기의 일부 또는 전부가 차단되는 현상.


▶캐퍼시터(Capacitor)

콘덴서란 말.


▶캐패시턴스(Capacitance)

① 정전용량(靜電容量) ② 때로는 용량 임피이던스의 뜻으로 사용된다.


▶캐노피(Canopy)

조명기구의 일부분으로 매다는 형의 것. 천장에 오고 있는 선과 코드선과의 접속에 쓰이는 것.


▶케이블 헤드(cable head)

케이블종단상자라고도 하며 케이블의 종단을 단심인 옥내선 또는 가공선에 접속할 때 변전소 또는 수용지점의 입상(立上)부분등에 사용하는 것.


▶코로나(Corona)

① 불평등자계의 gap으로 방전이 개시할 때 전극부근의 고압부에 일어나는 국부방전으로 전극부근의 박층을 비치는 글로우방전과 길게 늘려 비치는 망광(芒光)코로나의 2종으로 대별한다. ② 높은 전압이 걸려 있는 도체에 발하는 미약한 광망은 그 모양이 마치 태양식일 때 볼 수 있는 광막과 같으므로 해서 일반적으로 공기의 부분적 파괴 및 그에 따르는 발광(發光) 및 발음현상(發音現象)을 코로나현상이라고 한다.


▶코로나방전[코로나放電] (Corna discharge)

도체에 고전압을 가했을 때 화화(火花)방전을 행하기 전에 일어나는 방전


▶코로나손[코로나損](Corona loss)

Corona 발생 때문에 요하는 동력손실로 손실전력 P(1조 1km당)은

δ는 공기밀도의 계수, f는 주파수, d는 전선의 직경(mm), D는 선간거리(mm), V는 중성점에 대한 전압(kV)


▶코로나잡음[코로나雜音](Corona noise)

Corona 방전에 의해 발생하는 전파에 의해 일어나는 잡음. 송전선에 의한 잡음은 전선반경의 2승에 비례하고 지상고에 역비례하여 증가한다.


▶코일(Coil)

① 인덕턴스를 갖도록 하기위해 도선을 통형 또는 나선상으로 감은 것. 선륜이란 말이며 지속을 내기 위해 또는 자속을 받아 전자유도작용에 의해 전압을 발생시키기 위하여 선을 감은 것으로 목적에 따라 그대로 감은 것과 권틀에 감은 것, 철심에 감은 것으로 나누워져 종류는 아주 많다. ② 도선을 감은 것.


▶콘덕턴스(Conductance)

① 저항의 역수(逆數), mho[℧]. ② 전류를 이끄는 능력을 말하며 직류회로에서는 저항의 역수와 같고 교류회로에서는 어드미턴스의 실량부와 같다. 단위는 옴(ohm)의 역수인 모우(mho)로 나타내며 기호는 G 또는 g를 사용한다.


▶콘덴서(Static; condenser)

① 응축한 것. 복수기(復水器). ② Capacitor(electrostatic) Condenser-유전체를 끼우고 양면에 금속관 또는 금속박(金屬箔)을 놓은 것으로 정전용량을 가진 회로부품.

축전기란 말로서 유도체와 전극과의 조합에 의해 전하를 저장하는 장치로 전력용 통신용으로 대별되여 종류는 아주 많다.


▶콘서베이터(Conservator)

유보존기라고도 한다. 변압기상에 부쳐 변압기류의 열화를 방지하는 장치.


▶콘형확성기[콘型擴聲器](Cone type loud speeker)

콘형스피이커라고도 한다. 콘형에 진동막이 붙어 있는 확성기.


▶쿠울롬의 법칙[쿠울롬의 法則](Coulomb's law)

2개의 소대전체간에 작용하는 힘은 전기량의 상승적에 비례하고 그 거리의 2승에 역비례한다라고 하는 법칙으로 또 자기에서도 2극간에 작용하고 있는 힘은 이 법칙으로 풀린다.


▶큐비클(Cubicle)

송화기 등의 전자관(電子管) 장치를 넣은 금속함체나 기타의 함체(函體)


▶키르히호프의 법칙[키르히호프의 法則](Kirchhoff's law)

제1법칙과 제2법칙의 2가지가 있다. 제 1법칙은 도선망중 임의의 분기점에 유입하는 전류와 유출하는 전류의 대수화는 영이다. 제2법칙은 도선망중 어느 폐회로에 대해서도 그 회로중에 흐르는 전류와 그 회로의 저항값의 적의 대수화는 그 회로망 중에 포함되어 있는 모든 기전력의 대수화와 같다. 단 회로중을 흐르는 전류의 방향은 일정하다. 역방향으로 흐르는 것은 부호를 부처 취급하는 것으로 한다.

▶타려진동[他勵振動](Sustained oscillation)

진동회로에 한번 충격세력을 주며는 감폭진동(減幅振動)을 발생하는데 회로의 손실에 상당하는 세력을 계속하여 가해 주면 감폭이 없는 진동을 계속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외부로부터 가하여진 세력에 의하여 유지된 진동을 타려진동이라고 한다.


▶탈출토오크[脫出토오크](Pull-out torque)

전동기가 정격운전을 하고 있을 때 그 여자(勵磁)를 일정하게 보존하고 서서히 부하(負荷)를 증가하였을 경우에 전동기가 부담할 수 있는 최대의부하 토오크로써 이 이상 부하하면 정지해 버린다.


▶태양전지[太陽電池](Solor battery)

반도체(半導體)dnk 접점에 태양광선을 대면 광전작용으로 전류를 빼낼 수 있다. 이것을 이용한 전지로 수명이 길이 이것을 크게 이용될 것으로 생각된다.


▶토오크(Torque)

회전력이라는 뜻. 물체를 회전시키려는 모우멘트(moment)


▶톰손효과[톰손效果](Thomson effect)

일금속내부(一金屬內部)에 있어서 부분적으로 온도차(溫度差)가 있을 경우에 그곳을 흐르는 전류의 방향에 따라 열의 발생 또는 흡수가 생기는 현상.


▶투과력[透過力](Penetrating power)

X선 기타 방사선이 물체를 빠져나가는 힘.


▶투과율[透過率](Transmission wave)

어떤 물체로의 투과광속에 대한 입사광속의 비.


▶투자율[透磁率](Permeability)

MKS 단위에서는 4π×10-10H/m인데 이것에다 비투자률(比透磁率)을 승한 것을 투자률이라고 부르는 수도 있다. 비투자율은 진공중에서는 1이며 또 비자성체도 거의 1이다.


▶특성임피이던스[特性임피이던스](Characteristic impedance)

여러 가지로 사용하는 선로에서는 단위장당(單位長當)의 분포, 인덕턴스, 저항, 용량(容量), 리이칸스(leakance)를 각각 L,R,C,G로 하고 선로를 흐르는 전류의 각 주파수를 ω로 하였을
로 나타내는 것.

또 전파의 전반에서는(매질의 임피이던스) 매질의 누설(漏洩) 임피이던스의 평방근(平方根)


▶T결선[T結線](T-connection)

2개의 단상변압기로 3상을 2상으로 2상을 3상으로 변경하는 결선방식.



▶파고율[波高率](Crestfactor; Peak factor)

① 교번전압 또는 전류의 최고치를 실효치(實粝値)로 나눈 것. ② 교번파형의 최대치와 실효치와의 비.


▶파고치[波高値](Peak value)

교류전압이나 정격전압의 최고순시치(最高瞬時値) 즉 어느 시간 중의 최대순시치.


▶파동임피이던스[波動임피이던스](Surge impedance)

선로의 분포정수를 L,C,R,G라 하였을 때에

로 표시되는 것인데 진행파의 선로 중의 진행 등을 생각할 때에 중요하다. 대상 그 값(値)은 가공송전선 500Ω, 지중케이블(cable) 50Ω, 변압기 500Ω 정도, 무손실이 적은회로나 공중선의
급전선에서는 대강 로 나타낸다.

▶파두장[波頭長;파두길이](Wave front length)

어떤 방향을 향하여 나아가는 전파의 앞 부분을 가리킨다.


▶파라데이의 법칙(Faraday's law)

전자유도(電磁誘導)에 관한 것과 전기분해(電氣分解)에 관한 것의 두가지가 있다.
① 전자유도에 관한 파라데이의 법칙 : 전자유도작용에 의하여 하나의 코일에 유발되는 기전력(起電力) e는 코일과 자속(磁束)과의 총쇄교수(總鎖交數) N이 시간에 대하여 변화하는 정도
에 비례한다. 즉

자속 Φ와 쇄교하는 코일의 권수를 n이라고 하면

다만 위식의 기전력과 자속의 정방향은 자계의 회전방향과 같다.
② 전기화학분해방식 ㉠ 전로(電路)내에서 일어나는 화학변화의 양(量)은 그 회로를 통한 전량(電量)에 비례한다. ㉡ 같은 질냥에 의하여 전극에 석출(析出)하는 질량에 비례한다.


▶파미장[波尾長](Wave-tail length)

어떤 방향으로 향하여 나아가는 전파의 최저부와 그 전파의 최고부까지의 길이.


▶파센의 법칙[파센의 法則](Paschen's law)

기체(氣體)중에서 방전할 때 불꽃전압 V와 기체의 압력 P와 전극(電極)간의 거리와의 적(積) P와의 사시에는 간격을 어느정조 이하로 하면 도리어 방전하기 어려워진다. 이것을 파센의 법칙이라 한다.


▶파형률[波形率](Wave-form factor)

어떤 파형의 전압 또는 전류 등의 실효치를 평균치로 제한 것임.

파형

파형율

파고율

정 현 파

삼 각 파

구 형 파

전파정류파

1.11

1.155

1

1.11

1.414

1.732

1

1.414


▶펌핑(Pumping)

개폐기인데 투입전류가 일으키는 반항전자력에 대하여 투입조작력이 부족할 때 접촉자가 그 전자력으로 뛰어올라 접촉자가 그 전자력으로 뛰어올라 접촉자가 악성왕복운동을 반복하는 작용


▶페이스트(Paste)

납땜할 때 쓰이는 풀모양의 용제(溶劑). 용제가 없으면 납땜이 붙지 않는다.

다시말하면 2차전지극판의 격자공을 채우는 작용물질부분 또 땜납을 할 때 땜납하는 부분에 바르는 기름인데 도체표면의 산화를 방지하고 열전도를 돕는 것임.


▶펠티어효과[펠티어 粝果](Peltier effect)

종류가 다른 2금속의 접합점에 전류를 류입시킬 때 그 통하는 방향에 따라 열을 발생하기도 하고 흡수하기도 하는 현상.


▶펠톤수차[펠톤水車](Pelton wheel)

충동수차의 대표적인 것인데 고낙차(200m이상), 소유량(25m3/S 이하) 용인 것.


▶평균속도[平均速度](Average speed)

전철에서는 발차에서 정차까지의 속도의 평균치인데 속도시간 곡선의 평균고에 해당한다.


▶평균전력[平均電力](Average power)

일정기간중의 전력량을 그 기간의 총시간 수로 제한 것을 뜻한다. 기간을 잡는데 방법에 따라 일평균전력, 월평균전력, 기평균전력(基平均電力), 연평균전력(年平均電力) 등이 있다.


▶평면파[平面波](Plan wave)

전자파의 진행방향에 수직인 임의 평면내에 있어서, 전계 및 자계의 순시치의 크기 및 방향이 같은 전자파.


▶평정특성[平頂特性](Talt top response)

대역통과 특성


▶평형부하[平衡負荷](Balanced load)

수개의 전선 또는 상으로 된 계절내의 몇 가닥의 도체군에 평등하게 분포된 부하.


▶폐쇄형배전반[閉朤型配電盤](Enclosed type switchboard)

계기, 지시기, 보호장치, 개폐기를 전부 전면판에 장치하고 배면을 폐쇄한 형의 배전반.


▶포장퓨우즈[包裝퓨우즈](Enclosed fuse)

플럭퓨우즈(plug fuse), 통형퓨우즈(fuse) 등과 같이 다루기에 편리하고 안전을 위하여 절연물로 싼 퓨우즈(fuse).


▶포토(Photo)

1루우멘(lumen)의 균등분포광속을 1cm2의 면(面)에 받고 있을 때의 조도.


▶포토다이오드(Photo diode)

빛을 조사(照射)함으로써 전압전류를 변화하도록 된 특성을 가진 반도체(半導體) 다이오드.


▶포화[飽和電流](Saturation current)

진공관의 열전자 방출전류는 양극전압을 어느정도 이상으로 하면 포화하지만 그 때의 방출전류 즉 양극전류를 뜻한다. 또 광전관에서 외부에서 받는 빛이 어느정도까지는 광전자방출에 비례하지만 그 이상 빛을 증가하여도 광전자방출은 증가하지 않는다. 그 경우의 광전자전류 등에서 어느 량의 변호에 대하여 포화한 전류를 뜻한다.


▶폴리에틸렌(Polyethylene)

에틸렌(Ethylene)을 원료로 한 유기절연 재료인데 고주파의 손실이 적고 기계적으로 강하며 내철성이 강하다. 절연내력 18∼24KV/mm, 비유전율 2.3, 체적고유저항 1015Ω·cm, tan δ5×10-4이하


▶표고[標高](Altitude)

평균해면에서 잰 높이.


▶표면잡음[表面雜音](Surface noise)

광선이 변조파에 반사되어 텔레비젼 카메라의 렌즈에 들어가면 이것이 전기신호(電氣信號)로 되어 수상기(受像機)에 보내져서 브라운관 위에 작은 점을 나타내게 한다. 이러한 현상을 표면잡음이라고 한다.


▶표시등[表示燈](Pilot lamp)

파일롯트램프라는 말. 배전반기타(配電盤其他)로 전기가 와 있는 것이나 기기가 운전상태에 있다는 것들을 표시하는 전등.


▶표유부하손[漂遊負荷損](Stray load loss)

기기에 있어서 무부하손실(無負荷損失)과 직접부하손(直接負荷損)을 가하여도 실제의 부하시(負荷時)의 전손실이 된지 않고 전손실쪽이 이것보다 약간 큰 치가 된다. 이 차의 치를 말하는 것인데 부하시(負荷時)가 아니면 헤아릴 수 없는 증가부하전류(增加負荷電流)로 인한 누설자속(漏洩磁束)의 증가로 인한 철손(鐵損)의 증가 계철(繼鐵)이나 외함(外函)에 있어서 누설자속(漏洩磁束)의 증가로 인한 히스테리시스(hysteresis) 손(損)이나 도체단면(導體斷面)의 전류불균등이나 와전류로 인한 동손(銅損)의 증가 등을 말한다. 단 이것에는 고정손실은 포함되지 않는다.


▶표준전압[標準電壓](Standard voltage)

표준이 되는 전압이지만 특히 송전선에서부터 통일하는 관계에서 쓰이는 것으로서 전부하시(全負荷時)의 수전단(受電端)의 선간전압(線間電壓)을 뜻한다.


▶표준철탑[標準鐵塔](Standard tower)

전선로의 직선부분에 있어서 표준경간(標準徑間)을 넘지 않는 개소(箇所)에 사용하는 철탑.


▶표피효과[表皮效果](Skin effect)

① 도체(導體)에 교류가 흐를 때 그것에서 생기는 교번자속(交番磁束)으로 인한 기전력 때문에 도체내(導體內)의 전류밀도는 균일을 잃고 내부에 이르는데 따라서 크기는 작아지고 위상각은 늦어지고 그 위에 이것들의 경향은 주파수의 증가와 함께 심하여지고 주파수가 매우 커지면 정류가 거의 도체의 표면에만 모이는 현상인데 이 때문에 실질적으로는 도체저항이 증가한다. ② 교류전류가 도체의 표면에 집중하여 흐르려고 하는 작용.


▶퓨우즈[Fuse]

① 판(板)퓨우즈(fuse), 실퓨우즈(fuse), 갈고리 달린 퓨우즈(fuse) 등이 있는데 전기회로 중에 삽입하여 정격이상(定格以上)의 전류가 흘렀을 때 자동적으로 녹아 끊어져 전류를 끊어 전기회로의 안전을 보전하는데 쓰이는 도선(導線)으로서 납(姯), 주석의 합금, 알루미늄(aluminium) 조각 따위로 만들어져 있다. 또 공작물 규정에서는 저압(低壓) 퓨우즈(fuse)는 정격전류(定格電流)의 1.25배의 전류에 견디고 정격전류(定格電流)의 1.45배의 전류(電流)에 5분간 견디고, 2배의 전류에서 1분 이내에 용단(溶斷)하는 것. 고압전로의 퓨우즈는 1.3배의 전류에 견디고 2배의 전류에서 2시간 이내에 용단(溶斷)하는 것이라고 상세히 규정되어 있다. ② 과전류 보호장치의 일종. 단락전류 및 과부하전류를 자동적으로 차단하는 가용체(可溶體).


▶프리즘[Prism]

광선의 방향을 꺾기도 하고 광선을 굴절시키는데 사용하는 글라스(glass) 제도구.


▶플라즈마[[Plasma]

글로우(glow)방전이나 아크(arc)방전에서 생기는 것인데 전리(電離)가 일어났기 때문에 전자와 정이온(ion)이 거의 같은 밀도(密度)를 가진 도전성부분(導電成部分)을 뜻한다.


▶플럭깅[Plugging]

제동법에서 직류에서는 전기자를 거꾸로 또 3상교류(三相交流)에서는 2선의 접속(接續)을 교환하여 상회전(相回轉)을 역으로 하고 회전방향과 반대의 토오크(torque)를 생기게 하여 급속히 정지 또는 역전시키는 방법.


▶플런저형[플러저型] (Plunger type)

교직양용(交直兩用) 계전기(繼電器)의 형태의 일종.


▶플레밍의 법칙[플레밍의 法則] (Fleming's law)

자계(磁界)가 전류에 미치는 작용, 즉 자계중(磁界中)에 전류를 유입시킨 도체(導體)를 두었을 때 도체가 받는 힘을 규정하는 좌수(左手)의 법칙과 전자유도작용. 즉 도체가 자속(磁束)을 끊으면 도체중에 기전력(起電力)을 유기(誘起)하는 우수(右手)의 법칙의 두가지가 있다.


▶플레이트[Plate]

양극(陽極) 아노우드라고도 한다. 플러스의 전위(電位)를 가지는 것. 또는 전위를 주는 전극(電極).


▶플리커[Flicker]

텔레비젼에 있어 화면이 얼른거리는 것을 말한다. 수상기의 진공관이나 그밖의 부분품이 좋지 않기 때문에 발생할 수도 있지만 주로 조정불량 또는 외래잡음에 인할 때가 많다.


▶플리커잡음[플리커雜音] (Flicker noise)

가청주파수(可聽周波數) 특히 산화물 음극을 가진 진공관에 있어서는 예기되는 것보다 훨씬 많은 잡음이 관측되는데 이것을 플리커잡음이라고 한다. 이것은 게르마니움, 다이오드 트랜지스터의 반도체(半導體) 잡음과 여러 점에 있어서 공통성을 가진다.


▶피뢰기[避雷器] (Lightnng arrester; Arr-ester)

뇌서어지(雷surge), 회로의 개폐(開閉), 아아크 접지(아아크 接地) 등일 때 일어나는 이상전압을 대지에 방전하여 회로전압을 일정치 이하로 보전하고 접속되어 있는 기기의 절연파괴(絶緣破壞)등의 장애를 방지하는 장치인데 관형(辦形), 저항형, 자기(磁氣)취소형 등 각종이 있다. 일례로서 선로정격 전압 154kV의 것으로 피전기제한전압 710kV, 방전전류 2360A.


▶피상용량[皮相容量](Apparent capacity)

겉보기의 용량, 예컨대 페리퍼 콘덴서를 매우 높은 주파수로 사용하고 있을 경우에는 여기에 흘러 들어오는 전류의 무효분(無效分)은 내부 임피이던스 등의 영향으로 주파수가 낮을 경우보다는 적은 것이 보통이다. 이 때 전류의 무효분의 모든 용량에 기인하는 것으로 보고 계산한 용량의 값 즉 겉보기의 용량은 저주파로 측정한 것보다 적다. 이것은 피상용량의 일례이다.


▶피상인덕턴스[皮相인덕턴스](Apparentinductance)

코일을 포함한 회로의 공진주파수를 결정 할 때에 그 코일이 가지고 있는 인덕턴스외에 분포용량(分布容量)의 영향도 고려하여야 한다. 이 양과를 합친 것을 피상인덕턴스라고 한다.


▶피이드백(Feedback)

① 출력측으로부터 입력측에 세력의 전부 또는 일부를 되돌려 보내는 것. 이것은 유례할 때의 반대로 이용되는 경우가 있다. 출력회로에서 피이드백된 세력이 입력회로의 세력과 동위상(同位相)일 때는 출력이 증가함과 같은 결과가 된다. 이것은 재생이라고 불리우며 수신기나 발진기에 이용된다. 반대로 피이드백된 세력이 입력회로의 세력과 역위상일 때에는 출력이 감소된다. 이것은 부궤한 즉 네가티브피이드백이다. 이것은 출력관의 음질보상에 많이 이용된다. 피이드백을 일으키려면 출력회로를 적당한 방법으로 입력회로에 결합하면 된다. 이것을 반결합이라고 한다. ② 전송계(傳送系)에서 출력신호의 일부를 입력신호로 되돌려 보내는 것. ③ 송신기, 수신기, 혹은 증폭기 등의 출력회로에서 입력회로에 세력의 일부 또는 전부가 반송되는 헌상. ④증폭기 등의 신호전송계에 있어서 출력측의 에너지 일부가 입력측에 반송되는것. 입력신호와 동위상으로 귀환하는 것을 <정규환>(正歸還), 반대위상으로 귀환하는 것을 <부귀환>(負歸還)이라고 한다.


▶핀애자[핀碍子](Pin type insulator)

자기제(磁器製)인 접시를 여러개 겹친 것 같은 형상의 애자인데 표면루출거리가 큰 것이 특징인데 특별고압용으로서는 10∼60kV 정도까지 여러가지 종류가 있다.


▶핀치효과[핀치粝果] (Pinch effect)

전기유도로(電氣誘導爐)내에서 용융금속(溶融金屬)중의 전류의 밀도가 너무 많으면 용융금속이 조여져 전류가 끊어지고 원상으로 되돌아가면 다시 조여진다. 이것을 반복하는 현상을 말하며 일반적으로는 전류가 통과하는 도체내에 있어서 동방향으로 흐르는 전류상호간에 흡인력이 작용하여 액체도체(液體導體)가 중심으로 수축하는 현상.


▶필터[Filter]

어떤 파장대(波長帶)의 일부분을 제거(除去)할 목적으로 콘덴서(condenser) 및 코일(coil)을 조립하여 만든 회로인데 상부대역을 지나게 하든가 하부대역을 지나게 하든가 어느 대역만을 지나게 하든가에 따라 고역(高域), 저역(低域), 대역(帶域)등으로 나눌 수 있다. 여파기(濾波器)라고도 한다.



▶하울링[Howling (noise)]

반결합(反結合)에 의하여 발생하는 발진에 의한 잡음.


▶한류리액터[寒流리액터] (Current limiting reactor)

전기회로의 단락시 회로에 흐르는 대전류를 제한하는 목적으로 사용하는 Reactor로 단락에 의한 기기의 장해(障害)를 방지하기도 하고 차단기의 차단전류를 제한하여 차단기의 부하를 경감(輕減)하는데 사용한다.


▶합성백터[合成백터] (Resultant vector)

Vector를 실수부분은 실수부분만, 허수부분은 허수부분만 가하여 합한 결과 생기는 Vector.


▶합성어드미턴스[合成어드미턴스] (Resultant admittance)

어드미턴스를 Vector적으로 가하여 합하여 만든 것이 어드미턴스.


▶해상도[解像度] (Resolution; Resolving power)

전자현미경에 있어서 시험시료가 감별되는 2점간의 최소거리. 또 텔레비젼에서는 수상의 세도(細度)의 도수로서 주사선의 수로 결정된다. 분해능이라고도 불리운다.


▶행거[Hanger]

전차의 직접매단선반으로 쓸때 이어(ear)와 스팬(span)선을 잇기 위하여 사용하는 금속기구.


▶헤르츠[Hertz]

도이치(Deutsch)기타에서 사용되는 주파수의 단위인데 사이클(cycle)과 같음.


▶형광등[螢光燈] (Fluorescent lamp)

① 열음극 저압 수은 등에서 내는 불가시광선을 형광물질에 대고 발광시킨 방전 등으로 전력이 적게 들고 또 광색을 자유로 선택하는 이점이 있다. 그림은 점등회로를 나타내는 것이다. 색온도 3500∼6500°K, 효율 25∼35lm/W, 수명 2000시간이상 ② 형광을 이용한 방전관등. 저압수은등의 관벽에 형광체를 도포하고 수은의 2537A°인 자외선을 광선으로 바꾸어 이를 조명에 쓴다.


▶혼변조[混變調] (Inter (or cross) modulation)

비직선회로에 2개의 주파수인 전압을 가하면 줄력에 이 2개 이외에 2개의 화, 또는 차의 성분을 발생하는 현상으로 증폭기 등에서 신호와 방해파(妨害波) 등이 들어오면 아주 해가 되는 것이 된다.


▶화소[畵素] (Picture element)

텔레비젼 또는 사진전송에서 사용하는 말로 화면을 작은 점으로 나누어 그점의 명암을 전류로 변하여 보내오는 것이나 이 하나 하나를 말한다. 따라서 이 화소가 작으면 작을수록 화면은 가는 부분까지 보낼수 있다.


▶회로도[回路圖] (Circuit diagram)

배선도라고 부른다.


▶회생제동[回生制動] (Regenerative)

전동기 제동의 일종으로 전동기를 부하를 떼어놓고 발전기를 운전하고 전동기의 기계적 에너지를 전기적에너지로 바꾸어 선로에 전력을 반환하는 방식.


▶흡수율[吸收率] (Absorption factor)

흡수된 광속과 입자광속의 비


▶히스테리시스손[히스테리시스損] (Histeresis loss)

교류에 의하여 자성체. 즉, 철과 같은 것을 자화하면 자속밀도는 히스테리시스 환선을 그리고 이를 요하는 에너지는 열의 세력으로 바뀌어 철심중에서 소비되고 만다. 이것을 히스테리시스손이라고 한다. 자속밀도→철손 ㅋ

반응형

'Computing..' 카테고리의 다른 글

PSW (Program Status Word)  (0) 2007.08.04
전기 용어 사전.. ㄱ-ㅁ  (0) 2007.08.03
전송 선로 관련 1, 2차 정수  (0) 2007.08.03
Posted by 따뜻한 세상
,


 전기관련 용어 사전



전기용어사전

▶반한시-정한시특성[反限時-定限時特性] (Inverse definite time-limit characteristic)

동작에너지(energy)의 어떤 범위에서는 반한시특성이며 어느 정도를 넘으면 정한시특성이 되는 한시특성(限時特性).


▶발신음[發信音] (Dial tone)

자동전화교환기에서 가입자가 다이얼(dial)을 돌림으로써 생기는 소리.


▶발전기[發電機] (Generator;Dyname)

①전력을 발생하는 회전기로써 직류발전기(直流發電機), 동기발전기(同期發電機), 유도형발전기(誘導型發電機)로 대별하며 용도에 따라 종류나 형식이 여러 가지 있다. ②기계동력을 전력으로 변환하는 회전기.


▶발전기리액터[發電機리액터] (Generator reactor)

발전기 또는 변압기와 모선과의 사이에 연결되고 단락에 의한다. 기기권선의 장애(障碍)를 방지하는데 소용되는 한류(寒流) 리액터(reactor).


▶발전제동[發電制動] (Dynamo braking)

전동기를 선로에서 떼어 발전기로서 단자간에 접속한 저항중에 생기는 동손에 의하여 제동하는 방법.


▶발진기[發振機] (Oscillator)

진동전류나 음파발생용기구로 진동자, 발진관, 음차 등을 이 목적을 위하여 조합한 장치.


▶방사[放射] (Radiation)

전자파나 α선, β선 등의 방사선이 공간에 사출되는 것을 뜻한다. 예를 들면 전파가 공중선에서, 빛이 광원에서, 전자가 방사성물체에서 방사된다. 또 방사되는 에너지(energy)를 가리켜 방사라고 하는 수도 있다. 音波에 對하여도 쓰인다.


▶방사능[放射能] (Radioactive equilibrium)

방사성물질의 붕괴과정에서 붕괴계열중 하나의 원소(親元素)와 다음 원소(娘元素)와의 붕괴율과 축적량의 관계로 낭원소의 붕괴량과 생성량과가 같게 되어 축적량이 거의 일정값을 가질 때가 있다. 이와같은 상태의 것(親娘 兩元素間의)을 방사평형 혹은 방사능평형이라 한다.


▶방사선[放射線] (Radiant ray)

라디움(radium), 우란(uran)등의 원자가 스스로 붕괴하여 원자값이 낮은 다른 원자로 변이할 때 발하는 전자파 α. β, γ선등이라는 뜻


▶방사전류[放射電流] (Emisson current)

진공관의 캐소우드로부터 방사되는 전자(電子)에 의하여 생기는 전류.


▶방전등[放電燈] (Electric discharge lamp; Gas)

불꽃, 아아크(arc), 코로나(corona)의 3개방전을 이용하여 비교적 단시간에 임의 형상의 천공(穿孔) 또는 견고한 금속의 절단 기타 가공을 하는 것인데 기름이나 물과 같은 액체에서는 이상소모현상(異常消耗現象)이 나타나서 아아크(arc)전극이 현저하게 신속히 소모된다는 원리에 따른다. 금속의 경우는 대체로 구멍뚫기는 불꽃가공(加工), 절단(切斷)은 아아크(arc)가공, 연마(硏磨)는 어느 방법이나 다쓴다.


▶방전거리[放電距離] (Striking distance)

방전을 일으키기 위한 전극간의 거리, 구상전극에서 일극접지의 경우는 약 30kV이며 방전거리는 1cm.


▶방전관[放電管] (ischarge tube)

글라스(glass)관 내에 수mmHg 압력의 가스를 봉입(封入)하고 양단에 전극을 설치하여 방전시켜서 빛을 내게 한 것인데, 가스에 따라 색(色)이 다르다. 또 글로우(glow) 방전을 이용한 네온(neon)관등과 열전자방출과 가스 또는 증기의 전리작용을 이용한 열음극(熱陰極)이 있다.


▶방전코일[放電코일] (Discharge coil)

콘덴서(condense)를 회로에서 분리시켰을 경우, 담당자에게 전격의 위험을 방지하기 위하여 잔류전압을 방전시킬 목적의 것인데, 계기용변압기(PT)와 비슷한 구조이며 소형변압을 유용한 경우, 콘덴서(condenser) 용량 1000kVA에 대하여 1kVA정도의 것을 적당한 것으로 한다.


▶방출속도[放出速度] (Emission velocity)

전자가 물질에서 방출되는 속도.


▶방폭형[防爆型] (Explosion-proof type)

지정조건에 있어서 주위매체(周圍媒體)와 기내와의 교통을 完全히 차단하도록 모든 접합점이 구성된 것.


▶방형파[方形波] (Rectangular wave; Square wave)

파형이 방형을 한 전지 또는 전류를 말한다.


▶배광[配光] (Photometric; Light distribution)

전구 혹은 등기(燈器)에 관한 광도의 분포.


▶배광곡선[配光曲線] (Distribution curve of light)

광원의 중심을 지나는 평면상의 광도의 분포를 나타내는 곡선인데, 수평면상의 배광을 나타낸 수평배광곡선과 수직평면내의 배광을 나타낸 두가지가 있다.


▶배기[排氣] (Evacuation)

배기펌프 등을 사용하여 진공관, 전구 등속에 있는 기체분자의 수를 줄이고 따라서 압력을 줄이는 것.


▶배선[配線] (Wiring)

어떤 목적을 이룩하기 위하여 결선하는 것.


▶배선도[配線圖] (Wiring diagram)

각종의 배선기호를 사용하여 회로의 접속을 상세하게 계통적으로 표시한 도면.


▶배선반[配線盤] (Distribution board)

그곳에 넣은 선과 그곳에서 나가는 각선을 규칙있게 배선하여 처리에 편리하도록 개폐Rl를 설치하기도 하고 또 필요한 안전장치를 하는 것인데 용이하게 시험을 행할 수 있게 하는 등의 목적으로 설치되어 있다. 분전반이라고도 한다.


▶배율기[倍率器] (Multiplier)

① 전압계의 측정범위를 확대하기 위해 계기와 직렬로 삽입하는 고저항의 저항기. ② 분압기라는 말. 전압계에 직렬로 연결한 고저항 또는 콘덴서(condenser)를 뜻하는 수도 있다.


▶배전[配電] (Power distribution)

발전소에서 보내온 전력을 수용에 따라 배분하는 일.


▶배전간선[配電幹線] (Distribution main)

배전선로인데 거기서 수용자의 집안으로 끌어넣는 선에 전력을 공급하는 선.


▶배전반[配電盤] (Switchboard; Distributing board)

① 배전 및 배전의 제어에 필요한 계기, 개폐기, 안전장치 등을 장비한 것. 분전반이라고도 한다. ②간선보다 많은 분기회로를 낼 경우 각 분기회로용의 단자를 한곳에 모아서 보기좋게 한 배전반(配電盤).


▶배전선로[配電線路] (Distribution line)

발전소, 변전소 또는 송전선로에서 다른 발전소 또는 변전소를 경과하지 않고 수용장소에 이르는 전선로인데 가정에 끌어들이는 선 이외의 선을 뜻한다.


▶뱅크용량[뱅크容量] (Bank capacity)

수개의 전력용콘덴서(condenser)를 한덩어리로 하여 1개의 개폐기로 조작할 수 있게 한 것을 말한다. 또 삼상전력의 변압을 행하는 변압기의 조(組)를 뱅크(bank)라 하며 단상기에서는 3대를 조합하여 뱅크로서 사용하며 그 경우의 총출력 kVA를 뜻한다.


▶뱅킹방식[뱅킹方式] (Banking system)

아메리카(America)에서 하고 있는 배전방식의 일종인데 1개의 고압선에 연결된 2대 이상의 배전용 변압기의 이차측을 병렬로 연결하며 배전을 행하는 것인데 부하가 많은 시가지 등에 쓰이는 방식으로서 전압이 안정되고, 변압기의 설비용량을 감할 수 있는 등의 이점이 있다.


▶벡터[Vector]

크기의 方向을 가진 양. 즉 복소량에서 전압, 전류나 힘 등.


▶벡터도[벡터圖] (Vector diagram)

백터(vector)를 사용하여 전압, 전류, 전력 등의 복소량을 도시한 것.


▶벡터량[백터量] (Vector quantity)

벡터에 의하여 나타난 양 또는 나타낼 양 힘, 속도는 이 일례이다. 또 교류의 여러 가지 양도 벡터로서 나타낼 수 있다.


▶벨트발전기[벨트發電機] (Belt generator)

직류고전압발생장치의 일종인데 비단같은 것으로 만든 벨트(belt)를 코로나(corona)방전하를 통과시켜 바늘(針) 전극과 같은 극성인 전하를 주어 그것을 전극에 옮겨, 거기에 저장(貯藏)할 수 있게 고안된 것인데 1000kV 급의 정전압을 얻을 수 있다.


▶변류기[變流器] (Current transformer)

CT라고 하는 계기용 변성기의 일종인데 대전류특성에 사용하는 것. 변압기와 같이 일차, 이차의 양권선으로 되어 있으며 대전류를 변성기로 소전류로 하여 측정하는 것인데 봉형(棒型)과 권선형(捲線型)이 있으며 전자는 일차권선이 한 가닥의 도선의 것으로 과부하(過負荷)에 견딘다. 그리고 CT의 이차정격은 5A로 정하고 있다.


▶변류비[變流比] (Current ratio)

일차부하전류와 이차전류의 비인데 일차, 이차 양권수비에 역비례한다. 변류기의 변류비는 표준으로서 1, 2, 3, 4, 6, 8, 10, 15, 20, 30, 40, 60, 80, 100, 120, 150, 160, 200, 240, 300, 400, 600, 800, 1000으로 결정하고 있다.


▶변류비오차[變流比誤差] (Current ratio error)

이것은 명판에 기록된 공칭변류비를 Kn로 하고 실측에 의한 진변류비를 K로 하였을 경우 (Kn-K)/K×100%로 표시할 수 있는 것.


▶변성기[變成器] (Transformer)

① 변압기와 같은 구조인 전력변성을 목적으로 하지 않고 다만 전압 또는 전류만을 변성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것.

② 통신전송계에 있어서 주로 임피이던스 정합에 사용하는 기기.


▶변성비[變成比] (Ratio of transformation)

규정조건하에 있어서 변압기의 일차와 이차의 여자전압 또는 전류의 비.


▶변압기[變壓器] (Transformer)

① 연속적인 운동부분을 갖지 않고, 전자유도작용에 의해 전압을 변성하는 장치. ② 교류전압 및 전류의 크기를 변환하기 위해 사용되는 정지기기.

공통의 자로를 가진 2개 이상의 코일로서 된 것으로서 그 한쪽에 교류 또는 맥동전류를 가하면 상호 인덕턴스에 의하여 다른 쪽에 교류기전력(交流機電力)이 생긴다. 이 상호 유도작용에 의한 두 전기회로간에 세력의 변환이 행하여 진다. 보통 저주파용에는 철심을 넣고 고주파는 공심 또는 압분철심의 것도 있다.


▶변압기손[變壓器損] (Transformer loss)

① 임피이던스 정합이 부적당한 트랜스를 사용했기 때문에 선로 접합점에서 생기는 손실을 변압기 또는 변성손이라고 한다. 반사손이라고도 한다. ② 트랜스 내부에 생기는 손실, 철심에 의한 손실과 권선에 의한 손실이 있다.


▶변압비[變壓比] (Ratio of transformation Transformation ratio)

① 일차단자전압과 이차단자전압과의 비. ② 일차권선과 이차권선의 유기기전력의 비인데 양권선의 권수비와 같게 된다.


▶변위전류[變位電流] (Displacement current)

① 전기변위의 변동에 의하여 유전체중(誘電體中)에 흐르는 전류, 즉 전기변위의 시간적 변화의 비율로 나타내는 것. 전속전류라고도 한다. ② 유전체중의 전속밀도가 변화할 때, 흐른다고 생각되는 전류.


▶변전소[變電所] (Substaion)

① 전력계통에 있어서 전압을 변환할 것을 목적으로 한 시설. 일차변전소, 이차변전소, 배전용변전소, 직류변전소등이 있다. ② 발전소에서 발생한 전력은 송전상(電壓値를 올리면 送電線을 가늘게 할 수 있고 損失이 적다든가의 理由) 고압으로 보내오므로 그대로 배전할 수는 없기 때문에 거기서 강압(降壓)하고 또 보수에 편하다든가 전철에 있어서 교류를 직류로 바꾸기 위하여 설치한 설비가 있는 곳.


▶변조[變調] (Modulation)

① 정보를 전송하기 위해 비교적 주파수가 높은 정현파나 펄스의 파형을 정보에 따라 변화하는 조작. ② 일정한 진동전류에 다른 적당한 신호전류를 사용하여 특정한 왜곡(일그러짐)을 주는 것인데 진동전류를 i=Asin(ωt-=ψ)로 표시한다면 진폭 A, 주파수 ω, 또 위상각 ψ의 3요소가 있으므로 이 3요소중의 하나인 진폭을 바꾸는 것을 진폭변조, 또 주파수를 변화하는 것이 주파수변조, 위상각을 변화하는 것이 위상변조이다. 이밖에 시변조 등도 있다.


▶변환기[變換機] (Converter; Transductor; Changer)

① converter; 상수나 주파수, 또 교류를 직류로, 나아가서는 열을 저항변화로, 광을 전류로 하는 식으로 제종의 량을 바꾸는 장치의 총칭. 콘버터(converter)라고도 한다. 환언하면 전력의 상수 또는 주파수를 변환하는 장치가 콘버터이다. ② transductor ; 어떤 장치에서 에너지의 공급을 받고 동작하고, 다른 장치에 세력을 공급하는 장치이다.


▶병렬[拄列] (Parallel)

① A,B,C……를 맺을 때에 각기의 ―단자를 전부 1개선에 타단자의 전부를 타선에 맺는 방법. ② 2개이상의 회로(전원 또는 임피이던스)의 각각의 2단자가 모두 공통의 2단자로 접속되는 것.


▶병렬공진[拄列共振] (Parallel resonance)

① 병렬로 접속된 인덕턴스와 정전용량을 가진 회로에 있어서 이것에 흘러들어가는 전류와 이 회로와의 양단의 전압이 동상이 되어 있을 때를 말한다. 회로에서 양단 AB를 어떤 전원에 접속하였을 때 전원의 주파수 f가 다음식에서 나타낸 값으로 되었을 때 병련공진이 일어난다.

  이 상태에 있어서는 AB간의 임피이던스는 최대

  로 되어 전원에서 흘러드는 전류는 최소로 LCR로 되나 회로에는 큰 순환 전류가 생기기 때문에 전류공진이라고도 한다. 위 식의 f는 공진주파수라고 하는 것인데, 보통 평방근 내의 제 2항이 제1항에 비하여 매우 적기 때문에 이것을 생략하여 다음과 같이 나타낸다.

② 전원에 대하여 인덕턴스 L과 용량C가 병렬로 접속된 회로는 전원의 각주파수가

와 같을 때 임피이던스가 최대로 되고 전류는 최소로 된다. 이러한 상태를
「병렬공진」이라고 하며, ω0를 「병렬공진주파수(拄列共振周波數)」라고 한다.


▶병렬용량 (Shunt capacity)

송전선이나 통신전송선에 있어서 왕복선간 또는 선과 대지간에 존재하는 정전용량.


▶병렬운전 (Parallel running)

2대(또는 2개) 이상의 기기를 병렬로 동작시키는 것.


▶병렬회로 (Parallel circuit)

① 임피이던스를 각기 병렬로 접속한 회로. ② 2개 이상의 병렬로 접속된 부분을 가진 회로, 병렬회로의 각변의 전류는 부하(負荷)인 경우에는 각각 그 임피이던스에 역비례한다.


▶보극[補極] (Interpole)

직류기의 주기 극간에 설치한 소자극인데 일반적으로 전기자전류로 여자(勵磁)하고 전기자반작용의 기자력을 중화하는 것이며 보통은 중화 이상의 기자력을 주어 브러시(brush)로 단락된 코일(coil)에 정류를 돕는 반대방향의 기전력, 즉 정류기전력(整流起電力)을 주어 전기자코일(coil)의 전류방향변환도 원활하게 하는 작용을 한다.


▶보극권선[補極捲線] (Interpole winding)

보극에 감는 계자권선인데, 구조는 직권권선과 같은 구조이다.


▶보상권선[補償捲線] (Compensating winding)

전기자전류로 인한 교차자속을 취소(취소)하기 위하여, 주요극표면 가까이 전기자권선과 평행으로 흠(溝)속에 넣고, 전기자와 직렬로 하고 이것과 반대방향으로 전류가 흐르도록 설치한 선인데, 불꽃섬락(Flashover)방지, 전기자권선이 만드는 자속의 강화, 역률개선, 정류작용을 양호하게 하는 등의 효과가 있다.


▶보상기[補償器] (Compensator)

① 결점(缺點)이나 부족 등을 개선 또는 보충하는 장치인데 시동보상기, 전력용콘덴서(condenser) 등은 이것이다.

② 방향탐지기의 일부로서 진방향(眞方向)과의 오차를 수정하는데 사용한다.

③ 전동기(電動機)의 속도조정장치 기타 일반 보상용으로 사용하는 기구.


▶보상변류기[補償變流器] (Compensated current trasnformer)

1차, 2차의 상차각(相差角)을 감소하기 위한 보조권선(補助捲線)을 가진 변류기.


▶보자력[保磁力] (Coercive force)

① 자성체의 잔류자기를 완전히 지우려면 역방향의 자화력을 가하지 않으면 안된다. 잔유자기를 완전히 지우는데 필요한 자화력의 크기를 보자력이라고 한다. 우수한 영구자석에 있어서의 보자력은 매우 크며 잔류자기는 소멸되지 않는다.

②자성체에 자화력을 가하여 자화한 후자화력을 빼내드라도 어느 정도의 자화상태를 갖는다. 즉, 잔류자기를 갖게 된다. 이를 지우기 위해서는 반대로 자화력을 가할 필요가 있다. 이러한 자화력을 「보자력」이라고 한다.


▶보정[補正] (Correction)

① 보다 진(眞)에 가까운 값을 얻기 위해 읽어낸 값. 또는 계산치에 가해질 값. ② 진치 T에서 계기의 지시 M을 뺀 치인데 보정을 a로 하면, a=T-M이다. 또 보정 a를 지시치 M에 대하여 %로 나타낸 것을 백분율보정이라 한다. 갱정이라고도 한다.


▶보정계수[補正係數] (Correction factor)

어떤 측정치를 진치(眞値)에 접근시키게 하기 위하여 수학적조작을 하는 경우, 측정치에 승(乘)하는 계수.


▶보호선[保護線] (Guard wire)

고압선과 저압선, 통신선 등의 혼촉을 막고 기기를 장애(障碍)에서 지키기 위하여 설치하는 접지(第三種)된 도선. 절연저항 측정의 표면누설전류방지(表面漏泄電流防止)의 프라이스씨 선.


▶복권발전기[複捲發電機] (Compound generator)

분권, 직권의 2종을 조합(組合)한 계자권선(界磁捲線)을 갖춘 것인데 화동복권(和動複捲)과 차동복권(差動複捲)으로 대별할 수 있다. 전자는 부하전류의 변동에 의해도 발생 전압은 거 변하지 않는데에 반하여 후자는 부하전류의 증가에 따라 발생전압은 대단히 감소되는 특성이 있는 직류발전기.


▶복권여자[複捲勵磁] (Compound excitation)

일부는 분권, 일부는 직권선에 의한 여자(勵磁)를 뜻한다.


▶복사계[輻射系;放射系] (Radiating system)

전화를 공간에 복사하는 장치의 전체, 즉 안테나 회로를 가르켜 복사계라 한다.


▶복사전력[輻射電力;放射電力] (Radiation power)

안테나에서 복사하는 전력. 안테나전류의 최대실효치의 제곱과 복사저항의 곱과 같다.


▶볼타전지[볼타電池] (Volta's battery; Voltaic cell)

① 자산용액중(磁酸溶液中)에 음극으로서 아연, 양극으로서 동을 침적(沈積)한 것인데 전지로서 가장 낡은 것. ② 희유산속에 전극으로서 동판과 아연판을 대향(對向)시킨 전지.


▶볼트[Volt]

전압의 실용단위인데 약호는 V, 1오옴(ohm)의 저항에 1암페어(ampere)의 전류를 유입시키는데 요하는 전위차를 1V라 한다.


▶봉형변류기[棒形變流器] (Bar type current transformer)

일차권선 대신에 1본의 도체봉을 사용한 도류기인데, 과부하에도 견디므로 대전류용에 적합하다.


▶부글로우[負글로우] (Negative glow)

글로우(glow)방전에서 크룩스(crookes), 암부(暗部)와 파라데이(faraday) 암부와의 사이의 밝은 부분인데 가속전자에 의하여 전리가 행하여져 방전중 가장 전류가 낮은 부분.


▶부담[負擔] (Burden)

부하같은 것을 말하며 특히 계기변성기(計器變成器)의 경우에는 변성기의 이차측에 연결되는 부하를 말한다.


▶부도체[不導體] (Non-conductor)

전기를 거의 통과시키지 않는 것. 불량도체라는 말.


▶부싱변류기[부싱變流器] (Bushing type current transformer)

절단형차단기의 붓싱(bushing)등을 이용하여 그 철심의 2차측에 권선을 하여 변류기로 한 것인데 1차전류 100A 이상이 아니면 오차가 많으며 또 2개의 변류기의 2차측을 직렬로 하여 사용하면 오차를 적게할 수 있다. 투관형변류기(套管形變流器)라고도 한다.


▶V결선[V結線] (V-connection)

삼각형결선의 1상분을 제거한 결선법인데 변압기의 결선 등에 흔히 사용된다.


▶V곡선[V曲線] (V-curve)

동기기에 있어서 전기자전류(電機子電流)를 종축으로 여자전류(勵磁電流)를 횡축으로 한 곡선인데 위상특성곡선(位相特性曲線)이라고도 하며 V자형을 이루고 있는 것.


▶VA

볼트암페어(Volt-Ampere)의 약자.


▶부하[負荷] (Load)

① 전력 또는 동력을 소비하는 것. 그 전력 또는 동력을 가리키기도 한다. ② 전력을 소비하는 전기기계기구 또는 회로요소의 총칭. 즉 전동기 전등·전열기 등은 전력을 받고 여러 가지 일을 한다. 이들을 총칭하여 부하라고 하는 것이다. ③ 이른바 「Loading」은 부하(負荷)라고 하는데 이는 적당한 유도량을 선로에 부가하여 그 유도량을 더함으로써 선로의 손실을 경감하는 것. 집중부하(集中負荷)와 평등부하(平等負荷)가 있다.


▶부하곡선[負荷曲線] (Load curve)

부하의 시간적 변화(대개는 하루동안의 변화)를 곡선으로 나타낸 것.


▶부하밀도[負荷密度] Load curve

주로 배전할 때의 용어인데 1km2당 몇 kW라고 나타낸다. 단위는 (KW/Km2)


▶부하율[負荷率] Load factor

어느 기간중에 있어서의 평균수용전력과 최대수용전력과의 비, 배전계의 부하의 총합연부하율은 55%정도, 한편 기간에 따라 일, 월, 년의 부하율이 있다.


▶부하전류[負荷電流] (Load current)

부하를 걸어줌에 따라 기기(전동기, 발전기, 변압기 등)에 흐르는 전류.


▶부호[符號] (Code)

전신 또는 전화에 사용되는 통신용 부호 즉 문자를 부호로 표시한 것. 문자를 부호로 나타낸 것.


▶분권발전기[分權發電機] (Shunt geneator)

전기자권선과 계자권선이 병렬로 연결된 직류발전기인데 수하특성이 있어 그것을 이용하여 전지총전에 사용하는 외에 전기자저항을 낮게 하여 정전압 발생에 사용한다.


▶분극작용[分極作用] Polarization

성극작용이라고도 하며, 유전체에서는 그것을 전계내에 둘 때 유전체를 구성하는 분자내에 정부의 전하가 나타나는 상태가 되는 것을 말한다. 원자내전자군(原子內電子群)의 원자핵에 대한 변위로 말미암은 전자분극, 이온(ion)결정의 정부이온(ion)의 상대적 변위에 의한 원자분극(原子分極) 및 쌍극분자의 회전에 의한 쌍극분극(梔極分極)의 3종이 있다. 또 전해조(電解槽), 전지 따위에서는 전류가 흐르는 결과 전류를 방해하는 방향으로 기전력이 생기는 현상을 뜻한다.


▶분압기[分壓器] Volt box; Potentialdivider

전압측정범위를 넓게 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것인데 저항형과 정전형의 2종이 있다.


▶분포정수[分布定數] Distributed constant

① L.C.R.G. 등의 회로정수(回路定數)가 한곳에 집중되어 있지 않고 회로중에 분포해서 존재하고 있는 것. 긴 전송선(傳送線)은 분포정수를 가진 회로이며 선을 따라서 직렬 L.R, 병렬 C.G등이 분포하고 있다. ② 분포임피이던스에서 등가적(等價的)으로 생각할 수 있는 저항 R, 용량 C, 인덕턴스(Inductance) L, 리이칸스(reacance) G를 뜻한다.


▶불꽃갭[火花갭; 스파아크갭] (Spark gap)

불꽃방전을 행하게 하기 위하여 설치하는 전극간의 틈.


▶불꽃방전[불꽃放電] (Sparking discharge)

전극간에 가하는 전압을 증대해 가면 전리작용이 성하게 되어 암류가 흐르고 이것이 자속방전으로 옮아간다. 이 방전을 뜻한다.


▶불꽃용접[불꽃溶接] (Welding by spark)

용접할 양편의 용접부로 불꽃 방전을 행하며 그 때에 생기는 열을 이용하여 행하는 용접법.


▶붓싱[Bushing]

토관이라는 말인데 주입변압기에서는 구출선은 외상을 꿰뚫고 외부로 내는데 이때 도체와 외상간을 절연하고 그것을 기밀로 보존하지 않으면 안된다. 이처럼 도체를 심으로한 애자를뜻하며 이것에는 자기붓싱(Bushing), 주입붓싱(Bushing)등이 있다.


▶브라케트[Hanger; Bracket]

전주에 장치한 1개 또는 수개의 횡완으로 된 지지물, 편완금이라고도 한다. 또 입축기의 안내축수와 추력축수를 장치하는 철제축을 뜻한다.


▶브러시[Brush]

발전기에서의 발생전력을 전기자에서 꺼내기도 하고 또 전동기의 회전자에 전력을 주는 금속 또는 흑연제의 방향 또는 구형도체인데 금속흑연, 탄소, 합성 등 각종이 있다. 저항치는 탄소질 5.3×10-3Ω·cm로서 가장 높고 금속흑연질은 5×10-5Ω·cm정도, 접촉전압강하 0.5∼2.5V 전류밀도 6∼20A/cm2


▶브레이크[Brake]

회전기 등의 제동을 하는 것. 제동기(制動機)라고도 한다.


▶브리지정류기[브리지整流器] (Bridge rectifier)

4개의 반파정류기를 그림과 같이 접속하여 전파정류(全波整流)를 시키는 회로 4각형의 상대하는 한쪽의 그 정점(頂點)에 교류를 얻을 수 있게 된다. 이 형은 언제나 반파정류기가 2개 직렬로 들어 있는 것이 되므로 내부저항이 큰 것을 사용할 때에는 손실이 커서 좋지 않지만 내부저항이 낮은 것이라면 변압기에 특수한 것을 사용하지 않고 전파정류를 할 수 있으며 동시에 정류기 1개당의 첨두역전압(尖頭逆電壓)을 적게 하는 이점이 있다. 산화동정류기 등에 흔히 사용된다. →전파정류기.


▶비교법[比較法] (Comparison method)

측정법의 하나. 이미 알고 있는 양(量)과의 비교측정에 의하여 미지의 양을 산출하는 방법으로서 휘이스톤 브릿지에 의한 저항측정은 이것의 일례이다.


▶비닐수지[비닐樹脂] (Viny resin)

염화비닐 (vinyl)이나 작산비닐(vinyl)을 기본으로 하여 만든 합성물질인데 내유(耐油), 내산(耐酸), 내알칼리(Alkali)성등은 강하나 한편 전기적특성은 스티롤(styrol) 수지 따위에 비하여 약간 떨어진다. 절연내력 약 30∼50KV/mm, 비유전율 3∼3.5, 체적저항율 약 1010Ω·cm, tanδ(60∼200)×10-4


▶비닐외장케이블[비닐外裝케이블] (PVC cable)

비닐(vinyl) 전선을 2 또는 4가닥 겹쳐 그위를 비닐(vinyl)로 외장한 배전용 케이블(cable)인데 옥내나 지하에 많이 쓰인다.


▶비닐절연전선[비닐絶緣電線] (PVC wire)

경동선 또는 연동선(軟銅線)의 단선 또는 연선 위에 염화비닐(vinyl) 수지를 주체로 한 혼합절연물을 피복(被覆)한 것인데 2가닥 또는 3가닥을 합하여 꼰 형, 2가닥을 병행으로 배열한 평형이 있다. KS에서는 600V 비닐(vinyl)전선이라 한다. 가정에 끌어들이는 선에 쓴다.


▶비대칭안테나[非對稱안테나] (Asymmetrical antenna)

구조상 어떤 방향으로 특히 강하게 전파를 복사(輻射)하거나 또는 수신할 수 있는 안테나를 말한다. 수평부가 긴 역L형(逆L型) 안테나 등이 이에 속한다.


▶비디오[Video]

저주파 또는 가청주파를 오디오, 고주파를 라디오라 하는 것과 같이 텔레비젼의 영상주파수(映像周波數)를 비디오라고 한다. 비디오는 라틴말에서 〈보다〉라는 뜻이다. 이 비디오는 화면(畵面)의 내용을 대칽는 신호(영상신호)중에 포함되는 적어도 4.5MHz 정도의 주파수를 취급한다.


▶비열[比熱] Specific heat

어떤 물질 1그램(gramme)을 온도 1℃만큼 올리는데 필요한 열량을 그 물질의 비열이라 한다.


▶비전리[比電離] Specific ionization

방사선이 물질중을 통과할 때 생기는 전리의 정도를 나타내는 것으로 어느 물질중에서의 방사선의 괴도 1cm당에 만들어지는 ion대의 수를 말한다.


▶비점지방식[比點地方式] (Non-grounding system)

변압기를 전부 △-△ 접속하면 중성점접지(中性點接地)를 하지 않는 방식의 송전인데 저전압단송전선에 쓰이는 것이며 고전압장거리송전(高電壓長距離送電)에서는 일선지락시에 대지전류가 매우 커지고 또한 이상전압이 발생하므로 기능을 발휘하는 상태가 나쁘다.


▶비직선성[非直線性] (Non-linearity)

부성저항전류(負性抵抗電流)회로, 동조회로 등과 같이 전류가 전압에 비례하여 증감(增減)하지 않고 방향성(方向性)을 가진다든지 다른 요소에 의하여 변화할 경우를 말한다. 즉 전압전류가 직접적으로 관계하지 않을(비례하지 않음) 때를 말한다.


▶비직선소자[比直線素子] (Non-liner-element)

자성재료(磁性材料)를 자화(磁化)할 때 여자전류(勵磁電流)를 증가하여 가고 다음에 이것을

감소시키며 자화곡선은 직선이 되지 않는다(같은 길을 더듬지 않는다 즉 같은 전류라도 가는 것과 오는 것은 다르다). 또 게르마늄 다이오드나 2극진공관은 방향에 따라서 다르다(즉 전류차가 다르다). 이와 같은 특성을 일반적으로 비직선성이라고 한다. 이와 같은 특성을 가진 소자(이를테면 磁心을 가진 코일이나 다이오드 등)가 비직선 소자이다.


▶비탄성충돌[비탄성충돌] (Inelastic collision)

운동물체가 충돌했을 때 그 운동물체가 갖는 운동에너지(Energy)의 거의 전부를 충돌(衝突)한 물체에 주는 충돌.

▶4단자망[四端子網] (Four-terminal network)

① 1쌍(2개)의 입력단자와 1쌍의 출력단자로 되어 있는 회로망. ② 2개의 입력단자로부터 전기에너지가 들어오고, 다른 두 개의 단자로부터 출력이 취출되는 회로망.


▶4단자정수[四端子定數] (Constants of four terminal network; Four terminal constants; Four-terminal network constant)

사단자망의 기초방정식에 사용되는 네 개의 정수. 사단자망에 있어서 출력측 개방시의 입력전압과 출력전압의 비 A 및 입력전류와 출력전압의 비 C와 출력측단락시의 입력전압과 출력전류의 비 B와 입력전류와 출력전력의 비 D의 4개는 각단자망에 결정된 정수로 이 A,B,C,D를 사단자정수라 한다. 그리고 A,B,C,D 사이에 AD=BC=1이란 관계가 있다.


▶산란파[散亂波] (Scattered wave)

전리층(電離層) 또는 대기권(大氣圈)내에서 산란되어 전파되는 전자파를 말한다. 도약거리(跳躍距離)내의 지점에서는 공간파(空間波)가 전혀 들리지 않을 것이나 실제로는 전리층의 작용으로 적은 하강파(下降波)가 생기고 이것에 의하여 수신될 때가 있다. 이 전리층에 있어서의 용을 산란이라고 부르며 이것에 의하여 생긴 하강파를 산란파라고 한다.


▶삼각함수[三角函數] (Trigonometrical function)

정현(正弦)(sin), 여현(餘弦)(cos), 정절(正切(tan), 여절(餘切)(cot), 정할(正割)(sec), 여할(餘割)(cosec)인 6개를 한수로 조립된 것으로 변과 변, 변과 각의 관계를 정한 것.


▶삼상교류[三相交流] (Three-phase alternating current)

삼상 기전력에 의해 흐르는 교류로 위상이 120°씩 다른 각속도가 같은 3개의 정현파 교류가 같이 흐르고 있는 교류.


▶삼상사선식[三相四線式] (Three-phase four wire system)

3상전력의 송전에서 1선을 지선으로 하므로 4본 전부를 송전한다는 송전방식.


▶삼상삼선식[三相三線式] (Three-phase three wire system)

보통 3상교류의 송배전에 사용하는 전기방식으로 송전전력은 역률 1인 때


▶상반의정리[相反의定理] (Reciprocity theorem)

임의 회로망에서 α번의 망목(網目)에 E되는 전압을 가했을 때 β번의 망목에 흐르는 전류와 β번에 같은 전압 E를 가했을 때 α번의 망목에 흘리는 전류는 상등하다고 하는 정리.


▶상반필터[相反필터] (Antimetrisch filter)(獨)

2개의 영상 impedance의 적이 정수가 되려는 사단자망.


▶상자성체[常磁性體] (Paraamagnetic material)

철, cobalt, Nickel등과 같이 투자율이 1보다 큰 것. 정자성체라고도 말한다. 자성체의 항 참조.


▶상호변조[相互變調] (Intermodulation)

비직선특성(非直線特性)의 것에 주파수가 다른 것이 가하여지면 기본파, 고조파의 화(和) 및 차(差)의 주파수가 생기는 것.


▶상호콘덕턴스[相互콘덕턴스] (Mutual conductance)

진공관의 그리드전압 1V의 변화에 상당하는 플레이트 전류의 변화, 즉 진공관의 증폭정수 P와 진공관의 내부저항 P와의 비를 말하는 것으로서 상호콘덕턴스를 gm라고 하면
로써 나타난다. 상호콘덕턴스가 큰 진공관은 증폭 또는 검파에 사용하면 좋다.


▶색온도[色溫度] (Color temperature)

하나의 색감각을 주는 빛의 파장 조성은 무수히 있으나 어느 광원의 색온도란 그것과 같은 색의 방사를 하는 흙체의 온도를 말한다.


▶서어지[Surge] [Surging]

전기회로에 있어서의 급격한 전압 또는 전류의 증가를 말한다. 예를들면 전력송전선(電力送電線) 등에 벼락이 떨어졌을 때, 혹은 급격한 합선이나 단선이 되었을 때에 서어지가 일어난다. 흔들려 움직이는 것. 전압이나 전류라든가 규정인 값을 보지하지 않는 것. 우레의 유도 등에 의해 송전선의 우레 Surge등이 있다.


▶석면[石綿] (Asbestos)

화성암이 변화한 것으로 섬유상태(纖維狀態)이다. 습기를 흡수하기 쉬우므로 전기적 성질은 좋지 못하나 내열성이 크므로 내열, 내화의 절연재료로 사용한다.


▶석영유리[石英유리] (Quartz glass)

수정 또는 형사를 1400∼1800℃까지 가열하여 융해한 것으로서 자외선을 잘 통하여 고온에서도 절연력이 큰 특징이 있다.


▶선간전압[線間電壓] (Line voltage)

선로전압이라 말하며 특히 3상교류회로의 성형 또는 3각결선의 각단자로 측정한 전압 즉 선간의 전압이란 말.


▶선간전압강하[線間電壓降下] (Line drop)

송전선에서 선로가 갖는 저항 때문에 일어나는 전압강하.


▶선로개폐기[線路開閉器] (Line switch)

A형의 자동전화교환기의 25의 출중계속을 가진 회전Switch 가입자가 수화기를 떼면 시동하여 일차실렉터(selector)의 빈 것을 생각하여 일단 동작하면 통화가 끝이나도 그 위치에 그쳐(정지하여) 다음의 호출로 그 위치에서 시동한다.


▶선로정수[線路定數] (Line constant)

1차정수와 2차정수가 있으나 1차정수는 선로의 단위길이당의 분포 inducdance L, 용량 C, 저항 R, 리칸스(Leakance) G를 말한다. 2차정수는 특성 impedance 감쇠정수 및 위상정수를 말한다.


▶선택가열[選擇加熱] (Selective heating)

전기정수가 다른 물질에 섞여있을 때 특정의 고주파전계를 가하면 그중 특별한 물질만을 가열하게 된다.


▶선팽창계수[線膨脹係數] (Coefficient of linear expansion)

전선의 길이가 온도에 따라 신축하는 율로 t0°인飁 L0의 길이인 어떤 것이 t°로 되었을 때의 길이 L는 L=L0+β(t-t0)L0로 표시되며, β를 「선팽창계수」라 한다.


▶성형결선[星形結船] (Stat connection)

Y결선이라고도 하는데, 3상의전로(변압기권선, 발전기권선)의 결선방식인데 3개의 임피이던스(impedance)에 유기되는 전압을 성형전압이라 한다.


▶세류충전[細流充電] (Trickle charge)

소각충전(小刻充電) 또는 Trickle 충전이라고도 부른다. 계속적인 미량의 방전.


▶섹터[Sector]

전기철도의 연동장치에 사용되는 전기쇄정방식에 있어서 양인(兩引)전기지렛대로서 지렛대에 직결되어 움직이는 부분이며, 절결(切缺)이 있어 여기를 쇠정전자석의 쇄정자가 쇄정하도록 되어 있다.


▶소켓[Socket] (Lamp holder; Tube socket)

전선의 끝에 붙여서 전구를 끼워 전류를 잇는데 쓰는 전기기구의 하나. 수구(受口)의 일종으로 전구수구라고도 부르며 전구를 낄 수 있는 구로 나사 입형(潊形)으로 되어 있는 에디슨(edison) 소켓(socket) Edison 차입형으로 되어있는 스완(swan)형 Key가 붙어있는 Key socket, Key가 없는 Key less socket 등이 있다.


▶소형전구[小形電球] (Miniature lamp)

100V 이하인 전압으로 사용하는 소형의 전구.


▶소형전동기[小形電動機] (Small type motor

보통 1HP 이하인 작은 전동기로 주로 단상에서 전등선으로 사용하는 것이 많다. 반발전동기, 분상전동기 등 각종이 있다.


▶소호리액터[消弧리액터] (Arc-suppressing Reactor)

송전선에서 일선지락시의 접지를 소호하고 정전의 장해를 방지하기 위해 사용하는 중성점접지용 reactor.


▶속응여자[速應勵磁] (Quick response excitation)

송전선의 고장시에 내휴의 동기화력을 증가하여 안정한 송전형태를 계속시키기 위해 전자기의 전압확립도를 높이는데 주어 자기에 계자전용의 부여자기를 부치기도 하고 계자 coil을 병렬로 잇거나 하는 것. 이 여자법의 전압상승속도는 400∼600V/s정도로 보통의 10배 전후.


▶손실계수[損失係數] (Loss tactor)

유전체의 유전율과 유전체률과의 적을 손실계수라고 한다. 일반적으로 종류, 성질, 상태, 주파수, 온도 등에 의하여 변화한다.


▶송전[送電] (Transmission; Power transmission)

발전소에서 전력수용지역에 전력을 보내는 것.


▶송전단[送電端] (Sending end )

급전선의 전단 또는 송신장치를 접속하는 측을 말한다. 수전단 또 수신단의 반대말.


▶송전선[送電線] Transmission line

전력을 보내는 선으로 송전선로의 항 참조.


▶송전선로[送電線路] (Transmitting line)

발전소 또는 변전소 상호간 또는 발전소와 변전소와의 사이를 연결하는 전력공급용의 전선로를 말한다.


▶송전효과[送電粝果] (Transmission efficiency)

수전력과 송전전력의 비의 100분율로 설계 항장부하 등에 의해 달라지나 대개 85∼95%정도이다.


▶쇼트키효과[쇼트키粝果] (Schottky effect)

진공관의 열음극으로부터 발하는 방선전자는 초기의 생각에 의하면 음극의 온도에 따라 정하여진 포화치를 가지고 플레이트 전압을 높여도 그 포화치 이상이 되지 않으나 실제는 플레이트전압을 높이면 플레이트전류가 다소 증가하게 된다. 즉 포화치가 약간 많아진다 이것을 쇼트키가 발견했으며 그는 이 현실을 플레이트로부터 전계가 음극면에 미치는 것이라고 설명하고 실험의 결과와 일치하는 이론을 세웠다. 이 현상을 쇼트키효과라고 한다.


▶수구[受口] (Socket)

전구나 진공관에 전기를 공급하는 구(口)로 소켓트란 말. 동항 참조


▶수신기[受信機] (Receiving set; Receiver)

① 수신을 하는 장치로 방송무선의 수신기, ② 일반적으로 무선전신 또는 무선전화를 수신하는 장치를 수신기라 한다.


▶수용율[需用率] (Demand factor)

어느 부하의 최대전력을 취부전력으로 나눈 백분율을 말한다. 이것을 측정하는데 날을 기간으로 하는 것. 월년을 기간으로 하는 것 등 기간에 의해 여러 종류로 다르다.


▶수은등[水銀燈] (Mercury arc lamp)

수은을 전극으로 하고 이것을 고도로 배기된 유리관내에 넣은 arc등의 일종으로 사진소부(寫眞燒付), 공장과 광장의 조명등에 사용하고 있다.

▶아크[Electric arc; Arc]

① 아크방전시 전류가 흘러 발열. 발광하고 있는 기체중의 부분. 또는 아크방전 그 자체. ② 전극에서 다수의 전자를 방출할 때 빛과 열을 발생하는 현상에 의해 발생한 것으로 아크방전의 항 참조.


▶아크등[아크燈] (Arc lamp)

아크의 휘도가 강하다는 것. 광속이 많은 것을 이용하여 등화용(燈火用)으로 사용한 것으로서 탄소아크등, 텅스텐아크등, 수은아크등 등이 있다. 탄소 및 텅스텐아크등은 전극의 온도방사이고 수은아크등은 아크의 발생에 의한 빛을 등화(燈火)로 이용하고 있다. 또 교류직류용으로 구별되며 영사용, 청사진용, 탐조등(探照燈)등에 쓰인다.


▶아크링[Arc ring]

애자의 전선측 또는 양단에 붙여 주로 애자의 전압분포를 개선하고 이상전압에 의한 아크에서 애자를 보호하는 외에 전선의 보호도 하는 금속제의 환(ring)이다


▶아크용접[아크溶接] (Arc welding)

① 금속용접 방법의 하나. 용접되는 금속의 두 조각과 용접봉과의 사이에 아크를 날려 용접봉 자신을 녹여붙인다. ② 전기용접의 일종으로 아크가 갖는 열에너지에 의해 금속을 녹여 용접하는 것으로 용접할 금속과 금속 또는 탄소 전극간에 아크를 발생시키는 것이다.


▶안전밸브[安全변] (Sefety valve)

변압기, 보일러, 가스탕크 등에서 용기내의 압력이 이상(異常)的으로 상승 혹은 하강할 때 용기의 안전을 위하여 내부의 증기와 가스를 자동적으로 배출시키는 밸브.


▶안정도[安定度] (Stability)

전력기기라든가 송전선의 경우에는 불변 또는 서서히 변화하는 부하에 대하여 지속(持續)된 전력을 안전하게 보내는 비율(程度) 또 통신기에서는 주파수 진폭(振幅)등이 일정한 신호전파
를 발사 혹은 수신할 때 조정을 요하지 않고 장시간 목적을 달성할 수 있는 능력.


▶암페어[Ampere]

전류의 세기의 실용 단위. 기호는 A로 나타낸다. 진공 중에서 1m의 간격을 띠워 평행으로 놓인 2본의 가는 선이 길이 1m마다 2×10-7N의 힘을 유지하려는 일정 전류의 크기라 정의한다. 또 초산은의 수용액을 통과하여 매초 0.00111g의 은을 분리하는 불변전류의 값도 선의 단면을 정리하는 전자의 수가 1초동안 6.25×10-8개인 전류의 세기를 단위로 하여 1(A)라 한다.


▶암페어수[암페어數] (Amperege)

암페어로 나타낸 전류치.


▶암페어시[암페어時] (Anpere-hour)

축전지의 용량 등을 정하는데 사용하는 전기량의 단위 회로를 흐르는 전류(암페어)에 그 사용시간을 곱한 것으로 나타낸다. 이를테면 그 암페어의 방전전류로 10시간 사용될 수 있는 축전지의 용량을 20암페어시라고 한다. 1암페어시=3.6×103쿠울롬.


▶애관[碍管] (Insulating tube Porcelain bushing)

전선이 외부와 또는 전선이 서로 접속하는 곳에 사용하는 백색의 도체인 절연용의 관.


▶애노우드[Anode]

양극이란 말. 동항 참조. 애노우드항 참조


▶애자[碍子] (Insulator)

전기공사에서 전선 기타의 것을 지지하는데 쓰이는 도체의 절연물로 사용전압, 사용목적으로 한 명칭이 있다. 또 원료도 에브나이트, 붕산유리, 마이카렉스 등으로도 만들어진다.


▶양극현상[陽極現象] (Anode phenomenon)

어떤 종류의 금속(알미늄 鐵 등)을 그 금속에 특유의 전해액 중에서 양극으로 하면 그 표면에 절연성의 박막을 생기게 하여 전류를 통하지 못하게 하는 현상으로 가전압(加電壓)이 어느 치로 되면 이 현상을 없어진다.


▶양자화[量子化] (Quantization)

계산기라든가 통신에서 신호의 샘플(sample)의 높이는 적당한 레벨(Level)을 단위로 하여 정수치로 정리하는 것.


▶LC발진기[LC發振器] (LC oscillator)

LC공진회로를 사용한 발진기, 발진기의 발진 주파수는 거의 회로의 공진주파수에 의하여 결정된다. 가장 보편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기본 발진회로는 그림과 같다. 그림에서는 직류회로는 생략하고 있다.


▶여자[勵磁] (Excitation)

일반적으로 권선에 전류를 흘려서 기자력을 주는 것. 이를테면 다이나믹·스피커의 필드·코일에 전류를 흘려서 전자석으로 한 것을 여자형 다이나믹·스피커라고 한다.


▶여자전류[勵磁電流] (Exciting current)

여자 때문에 계자권선에 흐르는 전류.


▶역기전력[逆起電力] (Counter electromotive force; Back electromotive force
)

기전력이 어느 때에는 그 전압에 역으로 되려는 기전력으로 코일 내에 적류를 흘렀을 때 생기는 L(di/dt)라든가 저항 R중의 전압강하 Ri라든가 하는 것은 여기에 역방향의 기전력이 생겼다고 등가적으로 생각된다. 일반전기 화학에서도 전지, 전기분해, 도금 등에서 전해질에 전류를 통한 결과 원전류와 반대방향인 기전력을 생성한다. 이때의 기전력을 말한다.


▶역류차단기[逆流遮斷器] (Reverse-current circuit breake)

역전류가 흘렀을 때 자동적으로 전로를 차단하는 차단기로 역류계전기와 조합하여 만들어진 것.


▶역률[力率] (Power-factor)

교류전력이 EI cos θ로 나타내여질 때 cosθ를 역률이라 한다. 또 전실효 전력을 P라하고 무효전력을 Pr라 하면
로 나타낸다. 즉 유효전력과 피상 전력의 비이다.


▶역률개선[力率改善] (Power-factor improvement)

송전선을 비롯하여 유도 전동기등의 기기의 역률을 개선하기 위해 진상기라든가 condenser를 사용하는 것으로 역률이 나쁘면 송전선, 변압기, 발전기등의 이용효율이 저하한다.


▶역방향전류[逆方向電流] (Inverse current)

반도체 장치에 있어서의 흐르기 힘든 방향의 전류


▶역V선[逆V線] (Inversed V-connection)

2선간의 전압이 다른 선간전압의 배로 되게한 결선으로 2개의 변압기의 극성을 다르

게 하여 결선한 V결선법.


▶역상[逆像] (Inverse image)

텔레비젼 수상관의 영상이 밝은 부분과 어두운 부분이 반대가 된 이것은 수상관 그리고 전압의 플러스와 마이너스가 반대로 되어 있기 때문에 증폭단이나 단수 또는 결합에 따라 일어난다.


▶역상전류[逆相電流] (Negative-phase-se-quence current)


▶역상전압[逆相電壓] (Negative-phase-se-quence voltage)


▶역전방지장치[逆轉防止裝置] (Plugging)

적산계기에서 전압전류의 위상관계로 역전하면 능률이 악화되므로 이것을 저지하는 장치적산 무효전력제, 전력의 도용방지등에 사용한다.


▶역호[逆弧]


① Arc back; back firing

수은 정류기 또는 열음극수은 정류기에 있어서 정류 전류와 반대방향으로 전류가 흐르는 현상.
② Back firing; Back fire

수은정류기에 있어서 1개 또는 수개의 양극에 음극점을 생성하여 양극과 같이 작용하여 수은 arc의 변작용이 잊어지는 현상으로 큰 전류가 흐르므로 변압기 기타를 소손하는 것도 있는 것으로 부하의 과대 진공도의 불양등에 기인한다.


▶역회로망[逆回路網] (Inverse network)

전기회로중의 2단자회로에서 그 임피턴스가 어느 지수에 관하여 항상 역수 관계가 있는 2개의 회로.


▶연결기[連結器] (Coupler)

2개의 것을 이으는 장치로 전동기와 발전기의 축을 이은 것. 전차와 전차를 이은것 등 각종이 있다.


▶연축전지[鉛蓄電池] (Lead-acid battery)

양극을 과산화연 음극을 연으로 하고 전해액으로서 희황산을 쓴 축전지.


▶연피선[鉛被線] (Lead covered wire)

고무절연 전선과 동등 이상의 특성을 갖었고 목면편조 대신에 연피를 한 전선을 연피선 또는 연피 절연전선이라 칭한다.


▶연피와전류손[鉛被渦電流損] (Sheath eddy current loss)

연피중에서 케이블축에 직각인 방향으로 생기는 와전류에 의한 전력손실.


▶연피케이블[鉛被케이블] (Lead covered cable)

보호와 차폐의 목적으로 연으로 외장한 케이블.


▶열교환기[熱交換機] (Heat exchanger)

고온의 유체에서 저온의 유체에 열을 옮기는 장치인데 원자력발전에 사용한다.


▶열기전력[熱起電力] (Thermoelectromotive force)

열전류를 생기게 하는 기전력 열전효과에 의하여 두종류의 금속의 접점에 생기는 기전력 '제어베크(seebeck) 효과'의 항 참조.


▶연료전지[燃料電池] (Fuel cell)

연료의 산화로 인하여 생기는 화학적에너지(energy)를 열로 하지 않고, 직접전기에너지로 변화하여 전원으로 하는 전지.


▶열루미네슨스[熱루미네센스] (Thermolu-minescence)

온도냉광이라고도 하는 특수한 물질을 조금 따뜻하게 또는 차게하는 것에 의하여 빛을 발하는 현상.


▶열선수화기[熱線受話器] (Hot-wire receiver)

진동관 대신에 백금선을 격자상으로 펴고 그것에 음성전류를 통하여 그 수축신장작용을 이용하는 수화기.


▶열선전류계[熱線電流計] (Hot-wire ammeter)

고주파전류를 측정하는 계기, 저항기에 측정하고자 하는 전류를 흘리고 여기에 생기는 주울열(joule熱:I2R)에 의하여 저항기가 신장(伸張)하는 것을 재어서 전류의 값을 아는 것으로써 미리 표준계기에 교정하여 둔다. 이 열선 전류계는 그림과 같다. 그림중 A는 열선인데 이것을 보통 프라티나 실버가 쓰인다. B는 바늘 C는 대단히 가는 명주실과 같은 것, D는 스프링이다. 열선 A에 전류를 흘리면 A는 늘어나므로 스프링 D의 작용으로 바늘 B는 오른쪽으로 흔들린다. 그러나 흔들리는 각도 θ는(전류의 제곱)×(저항)에 비례한다. 교류나 직류에 쓰인다.


▶열손[熱損] (Heat loss)

전기기기에 있어서 전력이 열로 되어 손실되는 것을 말한다. →주울열


▶열음극[熱陰極] (Hot cathode)

열전자를 방출시키기 위하여 장치한 열전자관내의 음극의 뜻.


▶열이온방사[熱이온放射] (Thermionicyemission)

진공관 속에서 금속 또는 이것과 비슷한 물질을 충분히 가열하면 물체내의 전자의 운동이 심하여져 결국에는 그 표면에 뛰어 나오는 현상을 말한다.


▶열잡음[熱雜音] (Thermal noise)

저항체가 열을 가지게 되면 저항체내에서 전자가 불규칙한 열운동을 하므로 저항체내의 2점간에 항상 변동하는 전압이 생긴다. 이것을 열잡음 전압이라고 부르는데 그것에 의하여 생기는 잡음을 열잡음이라 한다.


▶열저항[熱抵抗] (Thermal resistance)

반도체(半導體)의 접합부(接合符)에 있어서의 단위 소비전력당의 온도상승.


▶열전대[熱電對]


① Thermocouple; 열기전력(熱起電力)을 이용하기 위한 2개의 금속을 맞춘것, 열기전력은 두가지 금속의 종류와 양접속부의 온도에 의하여 정하여진다. 열전대는 열전온도계 및 열전퇴(熱電堆)에 이용된다. 열온도계는 접합부(接合部)를 이미 알고 있는 온도로하고 다른쪽을 미지(未知)로 하여 그 사이에 생기는 열기전력을 제어 온도의 차이를 알아내는 장치이다. ② Thermo-junction 열전효과(熱電粝果)를 내는 2종의 금속을 조합한 것. 교류 또는 온도의 측정에 쓰인다.


▶열전도[熱傳導] (Thermoelectric diagram)

어떤 금속에 대한 타물질의 열전능의 온도에 대한 변화를 표시하기 위하여 양자의 관계를 직각 좌표로 표시한 그림.


▶열전력[熱電力] (Thermoelectric power)

금속의 열전효과를 발생하는 능력을 말하며, 접점(接點)의 단위 온도차(單位溫度差)에 대한 열기전력(熱起電力)으로서 나타낸다.


▶열전류[熱電流] (Thermoelectric current)

열전효과에 의하여 발생하는 전류, 즉 열기전력(熱起電力)에 의하여 흐르는 전류.→열전효과


▶열전자[熱電子] (Thermion)

고온도의 금속물체에서 방출되는 전자.


▶열전효과[熱電粝果] (Thermoelectric effect)

톰슨(tomson)효과, 펠리어(peltier)효과, 제백(seebeck)효과와 같이 열과 전기와의 관계의 각종 효과의 총칭으로서 dH/dt=IxEx-∂Cx/∂x로 표시하는 것. 각항 참조, 단 H는 열량, Ix,x방향으로 뻗은 금속철사의 전류밀도, Cx는 그 전위의 기울기 ex는 그 열류밀도.


▶염화비닐[鹽化비닐] (Vinyl chloride)

합성으로 만들어진 수지계 절연재료로 내압 16∼80KV/mm 비유전률 3∼12 내산, 내알카리성으로 보고 성형절연물급 도료로 사용.


▶염화비닐선[鹽化비닐線] (Polyvinyl chloride)

합성수지의 일종인 염화비닐을 절연체겸 보호피복용으로 덮은 전선으로 60℃이하에 사용한다. 약호는 P.V,C선


▶영구자석[永久磁石] (Permanent magnet)

전자석과 같이 일시적이 아닌 자석으로 탄소강, 니켈강, MK강, OP강 등으로 만들어진 것.


▶영상모니터[映像모니터] (Video monitor)

텔레비젼 영상의 질, 신호레벨, 신호파형 등을 적정하게 하여 두기 위해 감시하는 장치.


▶영상변류기[零相變流器] (Zero-phase-sequence current-transformer)

비교적 낮은 송전전류의 접지의 보호 때문에 사용하는 변류기로 각조에 대하여 공통의 자로를 자기적으로 평행하고 있어 중성점 접지등에서 접지 계전기의 오동작을 막는 것.


▶영상신호[映像信號] (Video signal; Image current)

텔레비젼이나 사진전송시 물체에 댄 빛의 반사량에 의해 얻어지며 시간적으로 연속변화하는 전류로 영상전류라고도 한다.


▶영상임피이던스[零相임피이던스] (Zero-phase-sequence impedance)

대칭 3상교류회로에서 영상전류가 흘렀을 때의 각상의 전압 강하가 각 상전류에 대한 비.


▶영상전류[零相電流] (Zero-phase-sequence current)


대칭 3상교류회로의 각상전류중에 포함되어 있는 크기와 같은 전류 3상전류라
하면, 영상전류는


▶예비변전소[豫備變電所] (Auxiliary substation)

일반적으로 가동성으로 변전소의 정전 또는 과부하시에 전력망에 급전할 목적인 변전소를 말한다.


▶5극진공관[五極眞空管] (Pentode)

캐소우드 및 플레이트 외에 3개의 그리드를 가진 진공관으로서 보통 펜토우드로 통용되고 있다. 보통의 사용법은 캐소우드에서 가까운 곳으로부터 세어 제 1그리드를 제어용(制御用:제어그리드)으로 제2를 그리드를 차폐용(遮蔽用;스크린 그리드)또는 전자가속용(電子加速用:가속그리드)으로 하고 제3그리드는 2차전자억제용(二次電子抑制用: 서프레서 그리드)으로 사용된다. 서프레서·그리드는 보통 진공관의 내부 또는 외부에서 캐소우드에 접속하여 쓰여진다. 5극진공관은 그 목적에 따라 만들어진 전력 5극관(電力五極管)및 고주파 5극관(高周波五極管)이 있다.


▶오로라도약[오로라跳躍] (Aurora skip)

자기람(磁氣嵐)에 수반되어 극지(極地)에 나타나는 오로라는 커테인 모양을 한 이온층(層)을 형성하여 전파를 반사한다. 이 결과 전파의 도약거리를 일으키는데 이것은 전리층(電離層)에서의 반사와 다를것이 없으나 이경우는 60MHz의량이 높은 주파수에 있어서도 반사현상을 일으킨다.


▶오른손법칙[右手法則] (Righthand rule)

발전기 등에 있어서 자속(磁束)의 방향도체(導體)의 운동 방향 및 유도기전력(誘導起電力)의 방향관계를 표시하는 법칙. 오른손의 손가락을 펴면 인지(人指)는 자속의 방향, 엄지손가락은 도체의 운동방향, 가운데 손가락은 유도기전력 따라서 그에 의하여 흐르는 전류방향을 나타내게 된다. 이것을 플레밍의 오른손의 법칙이라고 한다.


▶오옴[Ohm]

①전기저항의 실용단위(實用單位), 1오옴이라는 것은 질량(質量) 14.452g, 길이 106.3의 단면적인 고른수은주(水銀柱)가 얼음이 녹는 온도에서의 직류에 대한 저항이다. 1볼트의 전압을 가하였을 때 1암페어의 전류가 흐르는 저항은 1옴이다. Ω을 약자로 쓴다. ② 1[A]의 전류에 의해 1[V]의 전위차가 생기는 전기저항, 단위는 Ω, 보조단위로 kΩ, MΩ, μΩ를 쓴다.

▶오옴의법칙[오옴法則] (Ohm's law)

①도체를 흐르는 전류는 가하여진 전압에 정비례하고 그 도체의 저항에 반비례한다고 하는 것

이 옴의 법칙이며, 이것을 식으로 나타내면

이다.
만, I=전류, E=전압, R=저항 ②도체의 2점사이에 가해진 전압과 흐르는 전류와의 관계를 나타내는 법칙. 즉 I[A]의 전류가 흐르고 있는 도체의 2점간의 전위차를 V[v]라 하면 V는 I에 비례한다고하는 법칙이다. 비례정수를 R이라하면 V=IR로 된다. R은 2점간의 전기저항을 나타내며 단위는 Ω이다. 1827년 독일인 「오옴」이 발견. ③ 가(加)한 전압과 이에 의해 흐르는 전류는 비례한다는 법칙으로 직류와 교류의 경우가 있다. 직류에서는 (전압)=(전류)×(저항값), 교류에서는 (전압)=(전류)×(임피이던스)로 되어 있다.


▶오토메이션[Automation]; Automatic operation

자동적으로 조작한다는 말의 약어.


▶오퍼레이터[Operator]

① 유선 또는 무선의 통신사. ② 유선 또는 무선 전화의 교환수. ③ 기계 기구를 운전하는 조종자.


▶오프라인시스템[Off-line system]

계산기 system구성의 일양식으로 one-line system에 대하여 system의 구성요소가 중앙처리장치에 물질적으로 연결되어 잊지 않고 독립하여 사용하는 상태에 있는 방식을 말한다.


▶옥애자[玉碍子] (Bell insulator)

구형을 한 것으로 전차선 또는 공중선을 지지선으로부터 절연하는데 사용하는 애자.


▶온도계[溫度計] (Thermometer)

온도를 측정하는 계기 가장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것은 수은(水銀), 알콜 등 액체(液體)의 팽창을 이용한 한난계(寒暖計)이나, 전기적 온도(電氣的溫度計)로는 다음과 같은 것이 있다.

ㄱ.저항온도계(抵抗溫度計) ㄴ.열전대온도계(熱電對溫度計) ㄷ. 복사고온계(輻射高溫計) ㄹ. 광색고온계(光色高溫計)


▶온도방사[溫度放射] (Temperature radiationer)

물체가 그 온도에 따라서 발생하는 열선의 방사.


▶옹그스트롬단위[옹그스트롬單位] (Angstro-munit)

빛의 파장을 표시하는데 사용하는 길이의 단위(기호 A). 1옹그스트롬은 1억분의 1cm로서 1인치의 약 10억분의 4이다. 가시광선(可視光線)의 파장은 3,900∼7,700옹그스트롬이다. 이 범위보다 짧은 파장의 빛이 자외선(紫外線)이다.


▶와류[渦流] (Eddy current)

자극 간에서 금속판을 회전시키면 금속판은 자력선을 자르므로 금속판에 전류가 흐른다. 이 전류는 금속판 내부에 소용돌이와 같이 흐른다. 반대로 교류로써 자력선을 변화시켜면 이 금속판은 회전한다. 포노·모우터나 적산전력계(積算電力計) 등은 이 작용을 이용한 것이다.


▶와류손[渦流損] (Eddy current loss)

와전류에 의한 세력의 손실, 트랜스의 철심은 평편한 판을 겹쳐서 자력선(磁力線)을 자르지 않도록 자력선과 판면이 평행하게 되지 않도록 하여 와류손이 일어나지 않도록 하는데 구조상 일부자력선을 자르게 되므로 와류가 일어나 일부의 세력은 와류손으로 되어 잃어버리게 된다.


▶Y결선[Y結船] (Y-connection; Star connection)

변압기등의 coil 3단을 전부 결합하여 타단으로부터 전압, 전류를 공급하게 한 결선방식 성형결선이라고도 부른다.


▶와이어 코넥터[Wire connector]

전선의 접속에 사용하는 용구종류는 아주 많다.


▶와전류[渦電流] (Eddy current)

도체가 반상 또는 피상인 때도 그속에 자계의 변화에 의한 유도전류가 일어난다. 이것을 와전류라 한다. 발견자의 이름을 따서 후-코(Foucault)전류라고도 한다.


▶와전류손[渦電流損] (Eddy-Current loss)

와전류가 도체내에 일어나기 때문에 잃어지는 전력손실 변압기 등의 철심 손실에서 빼놓을 수 없는 부문의 하나로서 이때 손실은 주파수와 자속밀도의 2승에 비례한다.


▶와트시[와트時] (Watt-hour)

일의 단위로 시간을 곱한 것. 약호는 wh이다. 1wh=3.6×103Joule


▶완전단락[完全短絡] (Dead-short-circuit)

전로중의 2점이 아주 낮은 저항의 도선으로 이어진 상태


▶완전변조[完全變調] (Complete modulation)

반송파(搬送波)를 변조할 때 그 변조의 깊이를 점차로 깊게하여 가면 결국에는 어느 순간에 피변조파(被變調波)가 완전히 제로가 된다. 이 정도로 반송파를 변조하였을 경우에 완전변조되었다고 한다. 100%변조라고도 한다.


▶외부저항[外部抵抗] (External resistance)

이를테면 진공관의 플레이트 회로에 접속된 저항은 플레이트 회로의 외부저항이다. 플레이트의 내부저항과 구별하여 사용하는 용어.


▶외분권[外分捲] (Long shunt)

복권직류 발전기에서 전기자와 보극권선과 직권계자 권선과가 직렬로 접속되여 이것과 분권계자권선과가 병렬로 접속된 것.


▶외피[外被] (Housing case)

회전 전기의 외주를 껍질로 보호하는 부분으로 내부를 보호하고 또 통풍의 공기통로를 회전기본체와의 사이에 만든다. 또 수차에서는 수차의 외축을 둘러싼 껍질(케이스)을 말한다.


▶요소전구[尿素電球] (Iodien-vaper lamp)

소형의 석영관중에 아루곤(argon) gas. 소량의 요소를 봉입한 자열전구로 요소의 작용에 의해 텅스텡(tungsten)의 증발이 시작되여 나빠진 효율을 갖이며 도루 아주 소형으로 피는 장점이 있다.


▶용단전류[溶斷電流] (Fusing current; Blow out current)

퓨즈(fuse), 동선 등이 수분 내지 수십분으로 용단하는데 필요한 전류로 I=ad1.5으로 계산된다. 단 a는 재로에 의한 정수로 동은 80, 철은 24.6, d는 선의직경(mm).


▶용량[容量] (Capacity)

기계기구등의 능력 또는 용기의 용적등을 의미하며, 콘덴서에서는 정전용량, 열에서는 열용량이라하여 쓰인다.

① 정전용량(靜電容量): 공간에 고립된 도체의 정전용량 C는 그 도체의 전위를 V, 도체상의 전하를 Q라고 하면 C=Q/V이다. 공간에 고립된 두 도체간의 정전용량 C는 두 도체의 한 쪽에 +Q, 다른 쪽에 -Q인 전하(電荷)를 주었을 때 전위차(電位差)가 S로 되었다고 하며는 C=Q/V이다. 1쿠울롬의 전하를 주었을 때 1볼트의 전위차를 내는 용량을 단위로 하여 1패럿이라고 한다. 이것은 너무 커서 실제로 쓰기에 불편하므로, 그 10-6배를 마이크로패럿(μF)으로 하며, 10-12를 마이크로 마이크로패럿(μμF)이라고 한다. 또 정전 단위에도 종종 쓰이며 1F=9×1122cm이다. ② 전자가 방전(放電)할 때에 낼수 있는 전기량을 그 전지의 용량이라고 한다. I암페어의 전류로 t시간 방전할 수 있는 그 전지의 용량은 It암페어시(時)이다.

③-②와 같은 뜻으로 기계 기구 등의 능력을 나타냄 있어서 용량 또는 내량(耐量)이라는 말을 쓴다. 이를테면 이 발전기의 용량 또는 내량은 100kVA이라고 하는 것과 같은 경우.


▶용량계[容量計] (Capacity meter)

① 휘이스토운·브리지의 회로를 사용하여 용량을 직접 측정할 수 있게한 계기.

② 미지의 용량을 이미 알고 있는 용량과 비교하여 그 값을 직접 지시할 수 있게된 계기.

③ 임피이던스계의 일종으로 검류계와 브리지에 의해 정전용량을 측정하는 것.


▶용량리액턴스[容量리액턴스] (Capacity-reactance)

① 교류회로에서 정전용량에 의하여 발생하는 리액턴스를 「용량성리액턴스」 (Capacitive reactance)라고 한다. ② 용량(콘덴서)이 교류를 흐르지 못하게 방해하는 정도를 말하며 단위는 저항과 마찬가지로 오옴을 사용한다. 용량리액턴스는 용량이 클수록 적어지며 또 주파수가 높을수록 적어진다.

▶용량서셉턴스[容量서셉텐스] (Capacitive susceptance mho)

용량리액턴스의 역수(逆數)이며 mho로 측정하며 2πfc와 같다.


▶우드브리지결선[우드브릿지結線] (Wood bridge connection)

3상전력에서 단상 2조를 내기 위한 변압기의 상변성 접속의 일종.


▶우주선[宇宙船] (Cosmic ray)

지구외의 공간보다 지구에 절하지 않고 강하하는 방사선.


▶원격측정[遠隔測定] (Telemetering; Remotometering)

멀리 떨어진 지점의 현상을 전압, 전류, 주파수등의 변화를 고쳐 측정하는 것.


▶원선도[圓線圖] (Circle diagram)

전동기등이 특성 산정을 하기 위해서 기하학적 각도에 의해 만든 선도.


▶원자[原子] (Atom)

① 물질을 형성하는 최소의 양자와 중성자의 집합인 원자핵으로 그 주위를 운동하는 전자로 되어 있다. ② 물질을 세분(細分)하여서 극한으로 이 이상 더 분할하면 다른 물질로 변화하는 것 같은 미입자(微粒子)이다. 그 구조는 중심에 양전기를 가진 전자가 각각 일정한 궤도상을 통행하고 있다고 생각하고 여러가지의 현상이 설명된다. 고속도의 전자등이 원자에 충돌시키면 핵과 전자는 분리되어 전리현상을 일으킨다. 1개 또는 여러개의 원자는 집합하여 분자를 구성한다. ←전자.


▶원자가[原子價] (Valence)

원자량을 화학당량으로 나눈것으로 즉 어느 원소의 원자가 수소원자 몇개와 화합한가의 수.


▶원자량[原子量] (Atomic weight)

원자 1개의 질량을 각 원소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표시한 수치로서, 단위는 무엇이나 관계하지 않는다. 일반적으로 산소의 원자량을 16으로 하고 이것을 표준으로 하여 각 원소의 질량의 비례를 결정한 것을 그 원소의 원자량이라고 한다.


▶원자력[原子力] (Atomic energy)

원자력에 의한 충돌반응시에 방출되는 에너지의 이용 방법도 작금 문제되고 있으나 파고 에너지인 원자폭탄에서 평화적 이용인 전력으로 변환하고 또 선박, 철도, 자동차, 항공기 등의 운수 면에 많이 이용된다.


▶원자력발전소[原子力發展소] (Nuclear power plant)

원자로에서 발생한 열을 노외로 빼내여 이것을 보일러에 넣어 증기를 만들어 증기터어빈으로 동력을 변화시키는 발전방식의 발전소.


▶원자로[原子爐] (Atomic pile nuclear Reactor)

원자핵분열 현상을 천천히 연속적으로 일으켜 그 에너지와 방사성 물질을 빼내는 장치.


▶원자번호[原子番號] (Atomic number)

주기율표중의 원소의 순위를 나타내는 수로 이것은 원자가 갖는 전자의 수를 나타낸 것이다.


▶원자핵[原子核] (Atomic nucleus)

원자중에 어느 양전하를 갖은 입자로 원자의 중심을 이루고 있다고 생각되는 것.


▶웨스톤전지[웨스톤電池] (Weston cell)

양극에 수은, 음극에 카드뮴아마루강을 사용한 전지로 국제적으로 인정받은 표준전지이다. 웨스톤이 발명한 표준전지로서 온도에 의한 전압의 변동이 적은 것과 장기간에 걸쳐서 전압이 일정한 것이 잇점이다. 20℃에 있어서 0.01827국제 V의 기전력을 발생한다.


▶위상각[位相角] (Phase angle)

주파수가 같은 교류파형의 시간차(時間差)를 전기각(電氣角)으로 나타낸 것. 즉 두파형에 있어 서로 비슷한 위치의 각의 전기각 또는 하나의 파형으로 두 순시치(瞬時値)사이의 전기각을 말한다. →위상의 항 참조.


▶위상각조정장치[位相角調整裝置] (Phase adjuster)

송전선의 안정도는 계통간의 위상각으로 결정되는 것으로 이 위상차는 반송전류를 이용한 펄스로 측정하여 여기에 의해 발전기의 조속기 제어용전동기를 제어하는 방식.


▶위상변조[位相變調] (Phase modulation)

약호는 PM로 변조의 항 참조. 이 변조법은 대역폭을 좋게 할 수 없는 특징이 있다.


▶위상보상기[位相補償器] (Phase compensator)

긴 선로나 복잡한 회로망을 수개합성 시킨 주파수의 전류가 흐를 때 일어나는 위상일그러짐.(phase discriminator)를 없애기 위하여 넣은 회로.


▶위상차[位相差] (Phase difference)

동일 주파수를 가진 두 교류파형에 있어서 서로 대응하는 값(제로 또는 최대)간의 전기각(電氣角)을 말한다. 어떤 파형을 표준으로 하여도 상관없고 한쪽이 다른 쪽보다 앞서 있는 각도를 지각도(遲角度)라고 한다. 위상의 항 참조. 상차라고도 부른다.


▶유도기[誘導機] (Induction stirring)

상대적으로 회전하는 1차급·2차의 2권선을 준비하여 1차권선에서 2차권선에 전자유도 작용에 의해 에너지를 전하여 회전하는 교류전기기기로 보통 1차는 고정자 2차회전자에 감겨서 동기속도와 다른 속도로는 회전하고 교류전동기 혹은 발전기로 작용하는 것.


▶유도기전력[誘導起電力] (Induced electro-motive force)

① 전자유도작용에 의해 생기는 기전력으로 발전기에서 유도기전력은 자속밀도를 B(wb), 1(m)은 자계를 직각으로 끊는 도체이며 (길이)V(m/s)의 자속을 끊는 속도라 하면 e=Blv(V)로 나타낸다. 전자유도작용의 항 참조

②전자(電磁) 또는 정전유도에 의해 생기는 기전력. 즉 트랜스의 2차측에 생기는 기전력 또는 전파의 작용으로 수신안테나에 생기는 기전력 등은 이 예이다. →전자유도, 정전유도


▶유도로[誘導爐] (Induction furnance)

① 전자유도를 이용하여 전기에너지를 열로 전환하는 장치→전자유도의 항 참조 ② 용해되는 물질중에 전류를 유도시켜서 그 전류에 의해 열을 발생시키는 전기로의 일종으로 금속의 정련에 사용하는 것으로 고주파 전류를 사용하고 있다.


▶유도뢰[誘導雷] (Inductive lightning)

우뢰의 방전에 의해 송전선상에 유기된 전화로 우뢰와 반대로 전극을 갖고 진행파로 되여 전로상을 전한다.


▶유도리액턴스[誘導리액턴스] (Inductive lightning)

① 인덕턴스에 의한 리액턴스 교류 인덕턴스중을 흐르면 이부분에 역기전력이 발생하여 전압강하와 전류와의 비(比)로써 유도 리액턴스의 값을 나타낸다. 주파수 f인 교류에 대하여 L헨리의 인덕턴스를 가지는 유도리액턴스는 2πfL음이다. →인덕턴스→리액턴스 참조
② Inducdance L, 저항 R, 용량 C되는 직렬회로에서 임피이던스(impedance)는
로 되나 이 식중에 있는 ωL의 것을 말한다.
또 1/ωc를 용량 Reactance라 한다. 어느것이고 단위는 (Ω)


▶유도성회로[誘導性回路] (Inductive circuit)

inductance를 포함한 회로, 또는 고주파 등에서 전체를 inductance로 보는 회로.


▶유도전동기[誘導電動機] (Induction motor)

교류전동기의 일종으로 가장 널리 사용하고 있으며 3상용과 단상용이 있다. 고정자 coil로 회전자계 또는 이동자계를 만들어 회전자 coil 또는 도체는 이것을 끊어서 기전력을 유도하고 여기에 생긴 전류와 자계와의 상호작용에 의해 회전한다. 3상유도 전동기에는 권선형과 농형이 있어 단상유도전동기에는 시동방법에 의해 반발시동형 condenser시동형, 셰이딩코일(shading coil)외 수종이 있다.


▶유도전류[誘導電流] (Induced current)

전자유도작용에 의해 생긴 유기전압에 의해 흐르는 전류.


▶유량[流量] (Discharge; Quantity of flow)

수량(수위)

1년중을 통하여 이날수보다

내려가지 않는 수량(수위)

갈수량

355일

저수량

275일

평수량

185일

풍수량

95일

고수량

1년 1∼2회의 출수

홍수량

3∼4년에 1회의 대출수


▶유량곡선[流量曲線] (Discharge curve)

종축에 하천의 유량을 횡축에 날수를 잡고 매일매일의 유량의 변화를 나타내는 곡선.


▶유리전하[유리電荷] (Free charge)

전계에 의하여 접속되어 있지 않는 전하.


▶유입개폐기[油入開閉器] (Oil switch)

기름에 의한 절연력과 냉각작용으로 빨리 소호되게 기름을 넣은 개폐기.


▶유입붓싱[油入붓싱] (Oil-filled bushing)

냉각과 절연때문에 기름을 넣은 붓싱구, 큰변압기, 콘덴서 등에 쓰인다.


▶유입차단기[油入遮斷器] (Oil circuit breaker O.C.B)

기름에 의한 절연력과 냉각작용효과가 빨리 호소되게 기름을 넣은 차단기.


▶유입콘덴서[油入콘덴서] (Oil-condenser)

콘덴서의 절연용이라 하여 종이대신 기름을 사용한 것으로 파괴전압이 높은 것이 특색.


▶유입케이블[油入케이블] (Oil-filled cable)

O.F케이블이라고도 한다. 연피내에 중공전선과 절연용의 기름과를 넣은 지중송전선용 전력케이블.


▶유자율[誘磁率] (Permeability)

투자율이란 말. 동항 참조.


▶유전속[誘電束] (Dielectric flux)

① 유전체속의 1점에 있어서 어떤 면적속을 통과하는 패러데이관.

② 음양 전극의 흡인력, 전파전극(電波電極) 정전유도등 유전체 중에 있어서의 여러 현상을 설명할 飁에 사용되는 양이며 파라데이관의 수를 4π배한 것이다. 전하(電荷) Q에서 나오는 파라데이관의 수는 Q개이므로 유전속은 4πQ개이다.


▶유전속밀도[誘電束密度] (Dielectric flux density faraday)

유전체중의 1점에서 어느 방향에 수직인 단위면적중을 통과하는 패러데이함수를 그 방향에의 전속 밀도 혹은 전기변위라 한다.


▶유전체[誘電體] (Dielectric)

절연물이 전도체의 사이에 있고 양자사이의 전기작용을 매개한다고 볼 때 이것을 유전체라 한다.


▶유전체가열[誘電體加熱] (Dielectric heating)

고주파 가열의 항 참조.


▶유전체분극[誘電體分極] (Dielectric polarization)

유전체내에는 거의 자유전자가 없어 원자핵에 구속되여 있으나 여기에 전계가 작용하면 전자는 전계와 반대방향으로 각각 조합(釣合)의 위치에서 조금 변위하여 각전자가 정부의 양극을 갖게 된다. 이 현상을 말한다.


▶유전체손[誘電體損] (Dielectric loss)

교류를 흘렀을 때 유전체 내에서 소비되는 전력을 말한다. 지금 인가전압을 E, 전로에 흐르는 전류를 I, 전압과 전류의 위상차를 Φ라 하면 유전손실 P=EI cosΦ로 된다. 그리하여 δ=90°-Φ라 하면 P는 EI sinδ로 되고 δ가 작으면 sinδ≒tanδ≒δ로 된다. 또 인가교류의 주파수를 f라 하고 유전체의 실효용량을 C, 리이칸스를 G라 하면 tanδ=G/2πfC로 되고 이 tanδ(탄델타)를 유전역률이라 하며, 이각 δ를 유전손각이라 한다. Cable 변압기, 발전기 등의 열화예지(劣化豫知)에 tanδ의 측정결과에서의 판정이 주목을 끌고 있다.


▶유전체역률[誘電體力率] (Dielectric power factor)

콘덴서에 교류를 가하였을 경우 이것을 흐르는 전류와 전압과의 진각도를 Φ라 할 cosΦ를 유전체역률이라고 하며 유전체 손실을 나타내는 양이다.


▶유효낙차[有粝落差] (Effective headnozzle)

충동수차에서는 수압관이 노즐에 향하여 처음 분기하는 점의 직전의 압력수두와 속도수두 및 runner절내(節內)의 최저점인 위치수두의 3자의 화, 반동수차에서는 수차 외상입구의 압력수두, 속도수두 및 방수로의 측정에 대한 위치수두의 3자의 화에서 방수로의 측정에 남은 속도수두를 뺀 것.


▶유효전력[有粝電力] (Active power)

전원에서 공급되여 부하중에서 소비되어 버리는 에너지의 단위 시간당의 량으로 유효전력=EI cosΦ이다. 단 Φ는 전압 E와 전류 I와의 위상차각.


▶유효전류[有粝電流] (Watt current; Active current)

전압과 전류와가 Φ되는 위상차를 가질 때 전압과 동상분의 전류가 유효전력으로 일하고, 이것과 90°의 위상을 갖는 것이 무효전력이 된다. 이 동상분의 IcosΦ가 유효전류이다. 또 무효전류는 IsinΦ이다.


▶유효접지[有粝接地] (Useful earthing)

1선접지시의 건저,상,전압을 거의 상승하지 않게 중성점접지 impedance를 누르고, 피뢰기의 정격을 내려 변압기의 절연을 내리려고 하는 것.


▶유효횡류[有粝橫流] (Effective cross current; Wattless current)

동기발전기의 병렬운전에서 양기의 기전력이 같고 그 위상이 다를 때 양기간을 흐르는 순환전류로 위상 늦은(lag) 편에 위상이 빠른(lead)편이 전력을 공급하여 동기화의 역할을 하는 것.


▶음구[音溝] (Groove)

레코오드의 바늘끝이 지나가는 흠.


▶음극[陰極] (Cathode)

음극전하의 극, 부인전기의 극으로 전지진공관 arc등등에는 음극이 있다. 또 전위가 낮은 편의 전극을 말한다.


▶음극강하[陰極降下] (Cathode drop)

진공관 수은정류기등의 음극 앞부분에 양이온의 공간전하 효과에 의해 높은전압이 있을 때 이부분의 전압강하를 말한다. 대개 7∼8V이다.


▶음극글로우[陰極글로우] (Negative glow)

glow방전시 음극앞에 생기는 빛으로 네온(Neon)전구는 이것을 이용한 것이다.


▶음극선[陰極線] (Cathode ray)

진공방전을 할 때 기체압력이 약 1/100mm에 달하면 음극으로부터 양극을 향하여 음극선이 발사된다. 이것이 유리관 벽에 닿으면 녹색 또는 청색과 또는 흰색의 형광을 발한다. 음극선은
마이너스의 전하를 가진 미립자 즉 음극에서 나오는 전자의 흐름.


▶음량조절[音量調節] Volume control

신호음의 대소를 조절하는 장치를 말함. 증폭할 신호전압에 관계없이 제어하여 그 출력을 임의의 크기로 조정하여 음의 양을 제어하는 장치를 자동음량조절이라 한다.


▶음성변조[音聲變調] (Speech modulition)

고주파진동의 진폭, 주파수 또는 위상을 음성주파수의 진동파형으로 제어시키는것을 말함.


▶음성신호[音聲信號] (Aural signol)

텔레비젼 방송에 있어서 영상신호에 대응하여 사용되는 신호, 일반적으로는 음의 강약을 전기적 강약으로 변환한 전기신호를 말한다.


▶음성주파수[音聲周波數] (Voice frequency)

사람이 말을 할때 음성의 주파수로 102∼104Hz정도까지로 80∼345Hz를 테노울(테너), 170∼690Hz를 알토, 240∼1150Hz를 쏘프라노 등으로 나누고 있다.


▶음압[音壓] (Sound pressure)

음파가 가지는 압력 즉 공기의 진동파의 기계에서의 압력.


▶음질[音質] (Tone quality)

음의 성질중 많은 음의 일그러짐에 관한 성질을 말함.


▶음향기[音響器] (Sounder)

유선통신에서 수송의 수신기로 가장 널리 사용되는 것으로 음향부호(모오르스 부호)에 의해 통신을 하는 것으로 구조는 계전기와 같다.


▶응답시간[應答時間] (Answering time)

전화교환에서 가입자의 호출에 대하여 교환수가 여기에 응답하는데 요하는 시간.


▶이득[利得] (Gain)

입력회로의 전력을 P1, 출력회로의 전력을 P2라 했을 때에 이득은 10logP2/P1로 표시하게 된다. 그리하여 단위는 저수(底數)를 10이라 했을 때는 데시벨(decibel;db) 또 저수를 e라 했을 때는 네퍼(neper;Np)로 표시하게 된다. 또 공진회로에 있어서 그 콘덴서의 양쪽 끝에 나타나는 전압과 여진전압과의 비를 그 공진회로의 이득이라고 할 때가 있다.


▶2연선케이블[二撚線케이블] (Twin trans-position cable)

두가닥의 도체를 될 수 있는대로 평등하게 꼬아 만든 것을 여러개 모아서 한개의 케이블(cable)로 한 것으로 전신전화용케이블(cable)의 일종.


▶이온화[이온化] (Ionization)

전해질용액 또는 용융상태에 있는 전해질이온, 양이온으로 나누어 지는 것. 전리.


▶이온화전류[이온化電流] (Ionization current)

전리전류라고도 한다. 가스를 이온화하여 여기에 전계를 가할 때 일어나는 전류.


▶이온화전압[이온化電壓] (Ionization potential)

전리전압.


▶이차전지[二次電池] (Secondary battery)

2중의 전극(電極)을 전해액(電解液)중에 담아 자기가 가진 화학적 에너지를 전기적 에너지로 바꾸며, 전지에서 밖으로 내는 작용. 방전(放電)이 있고, 더구나 이 작용은 전지의 작용물질이 방전 때문에 화학적 변화를 받아도 외부에서 전기적 에너지(energy)가 주어지면 충전(充電)원상태로 되돌아 갈수 있는 전지 축전지라고도 한다.


▶인공조명[人工照明] (Artificial illumination)

자연조명의 반대말로 인공적으로 만든 조명을 말한다.


▶인덕턴스[Inductance]

① 자기인덕턴스 및 상호인덕턴스의 총칭. 그 단위는 헨리로 표시된다. ② 송전선 1조(條)당 인덕턴스. ③ 유도계수. ④ 전류가 전선에 흐를때 나오는 자력선의 변화에 의해 일어나는 현상으로 특히 코일인데 이 현상이 현저하다 그리고 여기에는 상호 인덕턴스와 자기 인덕턴스와의 2종이 있어 전자는 접근한 2개의 전기회로의 일방에 흐르는 전류의 세기에 의해 자력선이 변화하고 그때 이 회로에 기전력을 일으키므로 그 일어나는 전압은 양회로의 형상, 코일의 권수등에 의해 변하는 것으로 이것을 상호유도라 한다. 여기에 의해 유기되는 전압을 e라 하면 흐르는 전류와의 사이에 e=-M(di/dt)라는 관계가 있다 이때의 계수M을 상호 인덕턴스라 부른다. 또 한편 자기 인덕턴스란 하나의 회로내에서 이 회로에 흐르는 전류의 세기를 변화시키면 그 전류에 의해 자력선이 발생한다. 이 자력선을 방해하려는 방향에 기전력이 유기되어 전류의 변화에 반대하려는 작용이 일어난다. 이때 자기유도작용에 의해 도선내에 유기되는 전압을 e라 하면 도체에 흐르는 전류 i와의 사이에 e=-L(di/dt)라는 관계가 성립한다. 이 L을 자기 인덕턴스라 부른다.! 실용단위는 헨리(H)를 사용한다.


▶인버터[Inverter]

방전관을 이용하여 직류를 교류로 변화시키는 장치.


▶인출구[引出口] (Qutlet)

옥내배선(屋內配線)등에 있어서 전열기(電熱器) 선풍기등을 손쉽게 연결할 수 있는 단자를 말한다.


▶인출선[引出線] (Outgoing line)

발전소 변전소등이 전력을 외부로 공급하는 선 또는 전기통신의 송신소나 중계소에서 신호를 송출(送出)하는데 쓰이는 선.


▶일함수[일函數] (Work function)

광전자방출 또는 열전자 방출에서 물질로부터 전자를 비출하기 위해 요하는 에너지로 광전자방출시에는 「프랭크」의 정수(定數)에 그 물질의 한계파장(限界波長)에 상당하는 주파수를 승한것. 또 열전자방출시는 86.2×10 -6에 그 물질에 의해 결정된 정수를 합한것으로서 단위는 electron volet(eV) 또는 Volt(V)로 나타낸다.


▶임계온도[臨界溫度](Critical temperature)

일반적으로 절대온도란 것을 말한다. 이것은 230°란것 절대온도의 항 참조. 또 무엇인가의 현상이 일어나거나 또 일어나지 않게 되는 최대최소의 한도의 온도에 예를들면 증기에 있어서의 경우는 압력225.6㎏/㎠인때 374℃로 증발이 일어나지 않으므로 374℃로 증발이 일어나지 않으므로 374℃를 임계온도라 한다.


▶임계저항[臨界抵抗](Critical resistance)

▶임계전압[臨界電壓](Critcail voltage)

피뢰기(避雷器), 정류기 등에서는 보통의 전압으로서는 거의 전류를 흘리지 않으나 전압을 높여가면 갑자기 어떤 전압까지 올라간다. 그러나 어떤 전압이상은 올라가지 않는데 이때의 전압을 임계전압이라 한다.


▶임계주파수[臨界周波數](Critical frequency)

① 강전리층에 전파를 수직으로 입사시켰을때, 전리층이 반사하는 전파의 최고주파수

② 전리층(電離層)의 겉보기의 높이는 주파수에 따라 다른 것이어서 주파수를 변화 시키면서 높이의 측정을 하여 나가면 어떤 주파수에서 급히 반사되는 전파가 없어진다.

곧 겉보기의 높이는 무한대로 되는 것이어서 이때의 주파수를 그층(전리층에는 E층, F층 등이 있다)의 임계주파수라고 한다.


▶임피이던스(Impedance)

① 교류회로에 있어서 가해진 전압과 그것에 의하여 흐르는 전류와의 비(比).

전기회로에서 전기저항으로 보이는 것들의 총칭으로서 Ohms law에 적용된다.

Inductance 정전용량, 저항의 전부 또는 일부로 된다. 실용단위는 Ohm(Ω)을 사용한다.


▶입력[入力] (Input power)

전기기기에 있어서 전력을 받아 들이는 쪽을 입력측, 보내는 쪽을 출력측이라소 한다. 진공관에 있어서는 그리드측에 가해지는 전력이 입력이다. 즉 기기의 동작을 위하여 외부에서 들어오는 에너지


▶입력콘덕턴스(Input conductance)

그리드콘덕턴스(Grid condutance)라고도 하며, 진공관의 양극전압을 일정하게 한 경우의 격자전류의 변화와 격자전압의 변화의 비로 나타낸다.


▶입체방송[立體放送](Stereophonic broadcast)

라디오 방송에 있어서 응원에 대하여 그 좌우에 마이크로폰을 두고 그 계통의 주파수로 방송한다. 또 수신자 측에서도 2대의 라디오를 사용하여 청취자와 그 2대의 라디오로 3각형을 이루어 청취하면 그의 입체감이 난다.

▶자계[磁界](Magnetic field)

자극을 놓을 때 이 힘이 작용하는 공간. 또는 자극의 자기작용이 미치는 에너지 범위내를 말한다.


▶자계의 세기[磁界의 세기](Field intensity)

자계의 1점에 2자계를 산란하게 하고 단위 정자극(正磁極)을 놓았다고 가상했을 때 여기에 움직이는 힘의 크기를 말한다. 단위는 [AT/m]를 사용한다. 자계강도와 동의


▶자구[磁區](Magnetic domain)

자성재료의 결정입을 조사하면 같은 방향에 자화되기 쉬운 가능 부분으로 나누어져 있다. 그 하나하나를 자구라 말한다.


▶자극[磁極](Magnetic pole; Field pole, pitch)

① 자석에서는 정극(북극)과 부극(남극)을 말한다. 또, 전기기기의 계자용의 계자권선을 감는 부분. ② 하나의 자극의 중심측과 인접한 자극의 중심측과의 사이의 거리.


▶자극면[磁極面](Pole face)

자극편의 gap에 향하는 표면


▶자기극성[磁氣極性](Magnetic polarity)

자극의 북극(정극)인가 남극(부극)이가란 말이다.


▶자기누설변압기[磁氣漏洩變壓器](Leakage transformer; Constnt-voltage transformer)

적당한 전압을 얻기 위해 전류가 증가하려고 하면 누설자속이 증가하여 이것을 억제하는 구조를 갖는 변압기로 전기용접에 사용한다.


▶자기여자[自己勵磁](Self-excitiation)

자기(自己)출력으로 자신을 여자 또는 여진하는 것. 이를테면 진공관의 플레이트진력의 일부가 자기의 그리드 측에 돌아와 그것이 플레이트전력을 증가시켜 이 현상을 되풀이하여서 드디어는 발진상태로 되는 경우 또는 교류발전기를 무부하상태의 송전선에 연결할 때 발전기가 무여자 또는 계자회로가 개방상태에 있다고 하더라도 큰 전압을 유기하는 현상이 일어나는데 이 현상을 말한다.


▶자기인덕턴스(Self-inductance)

자기유도(磁氣誘導)에 의하여 생긴 기전력(起電力)은 시간에 대한 전류의 변화 비율에 비례한다. 이 비례상수(比例常數)를 자기인덕턴스라 한다. 1암페어의 전류를 회로에 흐르게 하였을 때 그 회로 자신에 쇄교한 자속수(磁束數)를 L이라 하고, di암페어만큼 전류치가 변화하였다고 하면 그것에 대응하는 자속수의 변화 dΦ는 dΦ=Ld로써 표시된다. 그런데 dt초중에 dΦ만큼
자속수가 변화할 때 그것에 쇄교하여 있는 회로중에는

는 전류의 변화시간에 대한 비율이다. 이 L이 그 회로의 자기인덕턴스이다(E는 전류변화의 반대방향을 취하므로 역기전력이라고 한다) L의 실용단위는 헨리이다.


▶자기차폐[磁氣遮蔽] (Magnetic screening; Magnetic shieding)

자계중의 어느 장소를 투자율이 충분히 큰 강자성체로 그 내부가 자계의 영향을 받지 않게 한 것.


▶자동제어[自動制御] (Automatic controlling)

기기를 사람의 손을 대는 일 없이 meter계전기, 증폭기, Thermostat 등의 힘을 빌려 자동적으로 여러가지 량을 어느 목적때문에 과부족을 수정하면서 동작시키고 기본적인 구성은 제어하는 희망 또는 목표치를 검출신호와 동종류의 물리량으로 하여 자동제어를 위한 기준이 되는 입력신호를 만들어내는 설정부와 여기에 만들어낸 목표치와 제어관에서 반환해 오는 검출신호와의 편차를 제동동작을 행하는 조작부에 보내는 조정부와 제어대상에서 만들어진 제어량을 검출하는 검출부로 된다. 즉 제어방법은 목표치가 일정한 정지제어, 목표치가 변하는 추종제어를 연속적으로 행할 연속제어. 어느 공정 전체에 이르는 제어를 행할 Process제어 등 여러가지가 있다.


▶자려현상[自勵現像] (Self-excitation phenomenon)

발전기가 고전압의 송전선(送電線)에 접속되어 송전선이 무부하(無負荷)이면 송전선은 등가적으로 condenser로 작용시켜 발전기에 진상통전전류가 흘러 전기자 반작용의 결과자극이 강해져 발전기의 단자전압이 상승하는 현상.


▶자력[磁力] (Magnetic force)

자극상호간에 움직이는 힘 또는 자계중자극에 작용하는 힘을 말한다.


▶자력선[磁力線] (Line of magnetic force)

자계의 세기, 방향, 분포 등을 생각하는데 편리하게 생각하기 위한 가상적인 선으로 정극에서 나와서 부극에서 끝날 것. 이 선의 접선으로 자계의 방향을 나타낸 것이다. 이 선의 밀도가 자계의 세기를 나타낼 것. MKS단위계서는 투자율 μμ0인 물질 중에서 m(Wb)인 자극에 출입하는 자력선은 m/μ μ0본 등으로 결정되어 있다.


▶자성체[磁性體] (Magnetic substance)

자계중에서 자화되여 자극을 만드는 물체로 여기에는 두가지가 있다. 하나는 자계가 생기념 遁자극의 방향이 반대인 상자성체와 다른 하나는 자계가 생기면 자극의 방향이 같은 역자성체가 있다.


▶자속[磁束] (Magnetic flux)

① 어떤 면을 통하는 자력선(磁力線)의 수를 그면을 통과하는 자속. ②임의(任意)의 면을 통과하는 자력선의 수를 이면적을 통하는 자속이라고 한다. 자석의 단위로는 「맥스웰」이 사용되고 기호로는 Φ를 사용한다.


▶자속밀도[磁束密度] (Magnetic flux density)

자계의 방향에 직각인 면의 단위면적(㎡)을 통하는 자속의 수를 말한다.


▶자속방전[自續放電] (Self-maintaining discharge)

arc방전으로 기체중에서 전극간에 적압을 가한 그대로 지속하는 방전을 말한다.


▶자속쇄교수[磁束鎖交數] (Flux of interlinkage)

자속(磁束)이 어떤것과 쇄교하는 수인데, coil에서 사용할 때는 coil의 권수(N)에 이것에 쇄교하는 자속(Φ)을 곱한 것을 말한다.


▶자수의법칙[左手의法則] (Left-hand rule)

전류와 자계와의 관계를 규정한 플래밍(fleming's)의 법칙의 하나로서 전류 i를 통하는 직선도체가 자속밀도 B인 자계중에 이것과 직각에 있는 경우에 힘을 받는다. 그 힘의 방향은 왼손삼지(三指)를 각각 직각으로 폈을 때 중지(中指)의 방향을 전류의 방향, 인지(人指)의 방향을 자속 B의 방향으로 했을 때의 엄지손가락의 방향이고, 힘의 크기는 i×B라고 하는 법칙.


▶자외선[紫外線] (Ultrauiolet rays)

적외선이라고도 한다. 화학작용이 강한 광선으로 파장 6.4μ 이하 0.04μ 정도를 말한다. 살균력도 강하다.


▶자유전자[自由電子] (Free electron)

각물체에는 원자간을 자유로 날아도는 전자가 있다고 생각되어 이것을 자유전자라 부른다. 즉 원자내에 있으며 원자구성의 일부분.


▶자유진동[自由振動] (Free oscillation)

스프링에 무건운 추를 달아매고 일단 손으로 추를 잡아당겼다가 놓으면 추는 상하로 운동하게 된다. 이와 같이 외부에서 가하여 주는 힘이 없어진 뒤에도 지속(持續)하는 진동을 자유진동 또는 감폭진동이라고 한다. 이 자유진동의 주기(周期)는 추의 무게와 스프링의 성질에 따라서 결정되며 진폭의 대소에는 거의 관계가 없다. 전기회로에 있어서도 마찬가지이다. 이를테면 충전(充電)된 콘덴서를 저항이 작은 코일을 병렬로 연결하면 콘덴서의 방전은 진동적으로 행하여진다. 곧 자유진동을 하게 되며 이때의 진동주기는 회로정수(回路定數)에 따라 결정된다. 이것을 고유주파수라고도 한다.


▶자화[磁化] (Magnetization)

① 자성체가 자기를 띠운 상태로 되는 것. 상자성체(常磁性體)나 반자성체도 자장속에 놓으면 자화한다. ② 자기유도작용이라든가 전자작용이라든가 기타의 자석과의 마찰에 의해 물체를 자석으로 하는 것. 또 자기분극과 투자율의 비를 말한다.


▶자화선[磁化線] (Line of magnetization)

자화된 자성체내에 새로운 자화의 세기에 의거하여 가상한 선. 다시 설명하면 자성체가 자화되고 있을 때 자속선밀도에 상당하는 선이 그 내부에 같은 밀도로 연속하여 있다고 생각하여 그 가상의 괘선을 자화선이라 부른다.


▶자화율[磁化率] (Susceptility)

자화된 물체내의 일점에서 자화분극과 자계의 세기의 비를 말한다. 보통 K로 나타내며 물질의 종류, 자계의 세기 등에 따라 다른 값을 갖게 된다.


▶자화의세기[磁化의세기] (Intensity of magnetizing)

자화된 자성체의 단위체적당 자기모우멘트. 자계(磁界)중에 그 자계의 방향과 직각으로 막대자석을 넣으면 막대자석에는 그것을 회전시키고자하는 힘이 작용한다. 그 회전력은 자석의 일단에 나타나고 있는 자기량(磁氣量) m과 그 길이 L과의 적(積)에 비례한다. 그러므로 자석의 세기를 이 m과 L와의 적을 가지고 나타낸다.


▶잔류자기[殘留磁氣] (Residual magnetism; Ramanent magnetism)

강자성체에 자계를 작용시켜 이것을 자회한 후에 자계를 제해도 이 자화된 물체에는 자력이 남는다.(히스테리시스현상에 의해) 이 남은 자력을 말한다.


▶재기전압[再起電壓] (Restriking voltage)

차단기에서 소호에 의해 전극간에 나타나는 전압의 처음부분인 과도부분을 말한다. 그것으로 계속되는 전원주파수의 전압을 회전전압이라 말한다. 그리고 이것은 차단조건, 소호방법 등에 의해 다르다.


▶재열사이클[再熱사이클] (Reheating cycle)

증기터빈내에서 팽창하는 도중에 증기를 가열하는 cycle.


▶저압선[低壓線] (Low-tension line)

저압전선로라고 칭하는데, 그 주요한 예는 전등, 전력공통인 3상4선식(220V/380V, 120V/208V), 단상3선식(100V/200V), 단상2선식(100V), 3상3선식(200V)등이 있다. 우리나라에서 주로 쓰고 있는 것은, 전등은 단상2선식, 동력은 3선식등이다.


▶저항[抵抗] (Resistance)

도체가 그 내부에 기전력을 가지지 않은 경우에 가하여진 1정전위차를 그것에 흐르는 전류로 제한 것으로서, 전류가 통과할 때에 그것의 장애가 되는 것. 또는 전류통과의 난이정도를 표시하는 것.


▶저항결합[抵抗結合] (Resistance coupling)

2개의 진공관회로의 결합에 저항만 또는 저항과 콘덴서(condenser)를 사용한 것으로 이것으로 증폭기를 만들면 주파수의 변화에 대하여 증폭도가 변하지 않는 주파수특성이 좋은 것을 만들 수가 있다.


▶저항손[抵抗損] (Ohmic loss; Resistance loss)

저항에 의한 전력손실로서 저항을 통한 전류치의 2승에 저항치를 승한 것으로 표시되며, 이 분이 열손실로서 상실된다. 이것은 동손이라고도 하는 것으로 송전선등에서도 1.5∼20%의 저항선이 있는 것이다. 오옴(ohm)손이라고도 한다.


▶저항용접[抵抗溶接] (Resistance welding)

용접하려고 하는 양물체간의 접촉부에 전류를 통할 때, 그 접촉저항에 의하여 고열을 발하는데, 이 열로써 용접하는 용접법.


▶적외선건조[赤外線乾燥] (Infrared ray drying)

적외선용 전구의 filament에서 발하는 방사에너지를 직접 물체에 조사하고 물체를 효율좋게 신속하게 가열 건조하는 것. 일예로는 건조에 종래 24시간을 요한 것이나 이 방법에서는 20분 정도, 직물, 고무가공, 식료품, 농산물, 약품 등 응용면이 넓다.


▶적외선전구[赤外線電球] (Infrared ray lamp; Head lamp)

파장 760μm 이상의 적외선을 다량으로 방출하기 위해 filament온도를 낮춘(2000∼2500°K) 장수명, 대용량(250∼500W)의 전구로 R형과 S형과가 있어 공업용 가열건조장치에 사용한다.


▶전격[電擊] (Electric shock)

전기충격을 받는 것으로, 인체가 받는 전격은 주로 인체통과전류량에 의한다고 한다.


▶전계가열[電界加熱] (Dielectric heating)

→유전체가열


▶전기[電氣] (Electricity)

에너지의 일형태로서 관습상 정부(正負)의 둘로 나누어지며, 또 이것을 발생하는 형태에 의하여 압전기, 접촉전기, 열전기 등 각종이 있다.


▶전기각[電氣角(度)] (Electrical angle)

정현파교류의 1주기를 360°로 하고 이에 의하여 잰 각도로서, 발동기 등에서는 2극간이 36°에 해당한다. 그러므로 기하적 각도에 극의 대수를 승한 것이 된다.


▶전기량[電氣量] (Quantity of electricity)

전하량. 단위는 쿠울롬(coulomb) [C].


▶전기력선[電氣力線] (Line of electric force)

① 전계분포상태를 생각하는데 편리하도록 전계중에 가상한 선. ② 전계(電界)내에 일종의 선을 생각하고 그 각점에 있어서의 절선(切線)의 방향을 그 점에 있어서의 전계의 방향에 일치시킨 것을 말한다. 또한 그 동시에 그 선의 밀도(密度)는 전계의 세기를 나타내는 것이다.


▶전기로[電氣爐] (Electric furnace)

아크(arc)로, 저항로, 유도로 및 이것들을 병용한 것이 있는데, 모두다 전력을 바꾸어서 열원으로 한 로.▶전기분해[電氣分解] (Electrolysis) 용질이 전류통과에 의하여 분석되는 것.


▶전기온도계[電氣溫度計] (Electrothemometer; Electropyrometer)

열전대 열에 의한 저항치의 변화 등의 전기현상을 이용하여 온도를 재는 계기.


▶전기용접[電氣鎔接] (Electric welding)

① 전기저항열 또는 아크열(電弧熱)을 이용하여 금속을 용접하는 방법. ② 금속용접(金屬熔接)에 전기에 의한 아크(arc)또는 접촉저항을 통한 전류의 열로 용접하는 것.


▶전기자[電機子] (Armature)

회전기의 회전자, 발전기에서는 자속을 끓어 기전력을 유기하는 부분인 발전자, 전동기에서는 전기를 받아 자석과의 사이의 전자유도에 의하여 토오크(torque)를 얻는 전동자를 겸하여 부르는 이름.


▶전기자권선[電機子捲線] (Armature winding)

전기자에 감은 권선으로서 감는 법에 중권, 파권 등 각종이 있다.


▶전기자동손[電機子銅損] (Armature ohmic loss)

전기자코일내에 일어나는 저항손.


▶전기자반작용[電機子反作用 (Armature reaction)

전기자권선내에 전류가 흐르면 그 암페어(ampere)회수에 의한 기자력이 계자의 기자력에 작용하여 자속분포에 미치는 현상으로, 이 때문에 중성점이 이동하기도 하고 출력파형이 이지러지기도 하는 각종의 악영향을 미치게 한다.


▶전기자전류[電機子電流] (Armature current)

전기자권선을 흐르는 전류.


▶전기혹연브러시(Electrographite brush)

탄소를 전기로중에서 인공적으로 혹연화 한 것으로 만든 전기용 브러시(brush)로서 접촉저항, 안전전류는 다 크고, 고속용에 적합한 것도 있고, 직류기나 변류기에 흔히 쓰인다.


▶전도[傳導](Conduction)

전기열 등을 전도한다는 뜻.


▶전도대[傳導帶](Conductionband)

단체내에서 자유로이 움직일 수 있는 전자에 속하는 에너지대.


▶전동기[電動機](Motor)

전자작용, 전자유도작용 등에 의하여 토오크(torque)를 받아 회전하는 기계로 전기에너지(electrical energy)를 기계적 에너지(mechanical energie)로 바꾸는 장치의 일종. 직류전동기, 유도전동기 등을 비롯하여 많은 종류가 있다.


▶전동머신(Motor-driven sewingmachine)

머신(machine)회전(回轉)을 발로 하지 않고 전동기로 하는 것인데, 직권정류자형 전동기가 많이 쓰인다.


▶전력[電力](Electric power)

단위시간내에 도체, 기기 등에서 소비(消費)되는 에너지(energie)의 양인데, 전압V, 전류 I일 때는 전력=VI로 표시하는 것. 순시전력, 평균전력, 피상전력, 무효전력의 구별이 있다. 각항 참조. 또 단위는 와트(W).


▶전력손[電力損](Power loss)

제원인으로 인한 전력손실, 예를 들면 콘덴서(condenser)에서는 유전손, 루전손, 변압기에서는 철손, 동손 등.


▶전력용콘덴서(Power condenser; Static condenser)

전력회로에 있어서 역률개선, 여과 등의 목적으로 사용되는 콘덴서(condenser)인데 유입지콘덴서가 주이며, 정격용량은 정격전압에 따라 각종이 있는데, 10kVA부터 300kVA까지 있으며, 이것들을 조합하여 사용하고 있다. 뱅크(bank)용량에서는 1만kVA인것도 있다.


▶전력케이블(Power cable)

송전선에 사용하는 전력전송용 케이블(cable)인데, H형, SL형, OF형, SO형, 주입 등 각종이 있다.


▶전력퓨우즈(Power fuse)

소용량인 유입차단기에 필적하는 정격과 차단용량을 갖어, 고압(때로는 20kV 정도의 특별고압)회로에 쓰이는 퓨우즈(fuse)로서, 절연통속에 퓨우즈를 넣고 그 주위에 특수한 소호제를 充積한 것이 많다.


▶전류[電流](Current; Electric current)

① 전하 이동을 뜻한다. 그리고 양전하 이동방향을 전류의 방향이라 하고, 어떤 면을 통하여 단위시간당 이동하는 전하의 총량을 그 면을 통하는 전류의 강도 또는 그냥 전류라고 한다. ② 전하의 이동현상 양전하이동의 방향전류의 방향이다.


▶전류감도 [轉流感度](Current sensitivity)

검류계로 눈금 1(mm)를 움직이는데 필요한 전류를 뜻한다.


▶전류계[電流計](Ampere meter)

전류를 계량하는 계기인데 형은 매우 많다.


▶전류계전기[電流繼電器](Current relay)

① 예정한 전류치(電流値)로 동작하는 계전기.

② 어떤 예정치의 전류로 동작하는 것으로서 과전류계전기와 부족전류계전기가 있다. 계전기를 기능별로 분류하는 명칭.


▶전류밀도[電流密度](Current density)

① 도체를 흐르는 전류 I를 그 유선(流線)에 직각방향인 단면적 S로 나눈 I/S. ② 미소면을 통하여 흐르는 전류를 그 면적으로 제한 것인데, 전류 I의 방향에 직각인 면적ds를 통하는 전류가 di일 때 di/ds를 전류밀도의 크기라고 한다.


▶전리[電離](Ionization; Electric dissociation)

① 중성분자 또는 원자가 에너지(energie)를 받아서 음양이온(ion)으로 분리하는 현상. ② 분자(分子)를 이온으로 하는 현상 '즉 전자(또는 이온)가 고속도로 다른분자에 충동할 때 그 분자중으로부터 전자를 쫓아내어 양전하(陽電荷)를 띠게 하는 현상 및 자외선(紫外線)을 대었을 때 생기는 것 같은 현상을 말한다.


▶전리층[電離層](Ionized layer; Ionosphere)

① 지구상층의 대기가 태양으로부터의 방사에너지를 흡수전리함으로써 생기는 전자와 이온으로 조성된 층. ② 지구를 둘러싸는 상층(上層)기체가 자외선(紫外線), 태양에서의 미입자 등의 작용에 의하여 전리되어 있는데 그것을 전리층이라고 한다. 그리고 낮은 부분부터 불규칙한 C층 다음에 지상 50∼60km에 D층, 지상 약 200km에 F1층, 지상 250∼500km에 F2층, 다시 지상 600∼1,000km에 G층 등이 있다는 것이 알려져 있다. 그리고 이것들은 전파 전반에 큰 관계가 있다. 다시 말하면, 지구의 상층대기I大氣)중에 있는 대기가 이온화(化)하고 있는 영역(領域)의 총칭. 대표적인 것에는 E층과 F층이 있다. E층이란 캐넬리 헤비사이드 층을 가리키며 F층은 E층보다는 높은 곳에 있고, 또 E층보다도 전자밀도가 크다.


▶전부하[全負荷](Full load)

명관에 나타낸 최대부하.


▶전선[電線](Electric wire; Conductor)

전기도체로서 만들어진 선으로, 동철 알루미늄(Aluminum)등으로 만들어져 있다.


▶전선관[電線管] (Wire tube; Wire pipe conduit)

옥내배선에서 전선을 보호하기 위하여 전선을 넣어두는 금속제관으로 콘 듀이트(Conduit), 파이프(pipe), 튜브(tube) 등으로 불리고 있다.


▶전선접속[電線接續](Wire splicing)

두가닥의 전선을 잇는다는 뜻인데 트위스트(twist)접속, 부리타니야(britannia)접속, 막킹타이야(mclntire or sleeve)접속등 각종이 있다. 전양자蝩 도시한다.


▶전속밀도[電束密度](Dielectric flux density)

유전체중의 일점에 있어서 어떤 방향에 수직한 단위면적중을 통하는 페러데이관의 수로서, 유전속밀도 또는 전기변위라 한다.


▶전식[電蝕](Electrolytic corrosion)

전기부식이라는 뜻인데, 특히 전철의 루출전류로 인하여 지중매설금속체가 전기분해를 일으켜 부식하는 것을 뜻한다.


▶전주[電鑄](Galvanoplastics Exectrotyping)

주형의 외면 또는 내면에 흑연 등을 칠하고, 거기다 전해로 금속을 침착시키는 것으로서, 동상이나 메달 제작에 이용한다.


▶전압강하[電壓降下](Voltage drop)

① 송전단전압과 수전단 접압과의 차, ② 전압이 제종이유로 낮아지는 것, 전류와 저항의 적도 뜻한다.


▶전압강하법[電壓降下法](Drop method; Fall-of potential method)

저항에 전류를 류입시켜 전류치와 전압강하를 조꿁고 오옴(ohm)의 법칙에 따라 저항치를 아는 저항측정법.


▶전위[電位](Poten tial)

① 어떤 점의 전위라 함은 단위양전하(單位陽電荷)를 무한히 먼곳에서 그 점까지 가져오는데에 필요한 먼곳에서 그 점까지 가져오는데에 필요한 일 전계(電界)또는 전기회로내의 전위는 전계의 존재 즉 대전(帶電)에 의하여 발생하는 것으로서 보통 표준의 전위 즉 영전위(零電位)를 정하고 이것으로부터 몇 볼트 높다고 부르고 있다. 전위가 다른 2점을 접속하면 전위가 높은곳에서 낮은 곳으로 전류가 통한다. ② 전계중에서 A점으로부터 B점으로 단위 정전하를 옮길 때, 외력이 전하에 작용하는 전기력에 거슬리면서 일을 할 때, B점편이 A점보다 전위가 높다하고, AB 2점은 전위차를 갖는다고 한다. 그리고 이러한 일의 크기로 2점간의 전위차의 대소를 나타낸다.


▶전위차계[電位差計](Poteniometer)

전압의 정밀측정에 사용하는 것으로 적류용, 교류용이 있는데 후자는 교류의 실효치와 위상각을 잴 수 있다. 다시말하면 전원의 기전력(起電力) 또는 2점간의 전위차를 측정함에 있어서 표준전지 등의 이미 알고 있는 전압과 비교하여 측정하는 것을 전위차계라고 한다.


▶전자기학[電磁氣學](Electromagnetism)

전기 및 자기 상호간에 생기는 관계와 현상을 다루는 학문.


▶전자유도[電磁誘導](Electromagnetic induction)

도선이 운동하여 횡단쇄교하든가, 자선이 운동하여 교차하면 도선중에 기전력을 발생하는 현상이다. 인덕턴스(inductance)항, 우수의 법칙의 항, 또는 좌수의 법칙의 항.


▶전하[電荷](Electric charge)

모든 전기현상의 근원이 되는 실체을 전원이라 하는데 그것에는 음전하, 양전하의 2종이 있다고 생각할 수 있다.


▶전해로[電解爐](Electrolytic furance)

알루미늄(Aluminium)이나 마그네슘(Magnesium)제조에 쓰이는 것으로, 원료를 고온으로 용융하여 전해하는 로.


▶전해액[電解液](Electrolyte)

전류를 통함으로써 화학변화를 하는 액체(液體)


▶전해조[電解槽](Electrolytic cell electrolyzer)

전해작용을 하기 위한 전극. 전해액을 넣은 용기로서 전해액에 부식되지 않는 물질로 만들어져 있다.


▶절연[絶緣](Insulation)

전류의 통과를 방해하는 것.


▶절연내력[絶緣耐力](Insulating strength)

절연이 파괴하는데 이르는 전압을 시료의 두께로 나눈 것을 말한다. 그리하여 일반적으로 KV/mm로 나타낸다.


▶절연전선[絶緣電線](Insulated wire)

나전선을 고무, 지, 면사, 견사 등으로 피복하거나 또는 에나멜(enamel)등을 말아 절연을 보환 전선. 1종 및 2종 면 절연전선, 고무절연선, 비닐절연선 등 용도에 의해 각종이 있다.


▶절연파괴[絶緣破壞](Breakdown)

절연물에 전압을 가하여 이것을 높여가면 절연물의 표면, 또는 내부에 누설전류를 통하게 되어 있어서, 이 절연이 파괴한다. 이것을 절연파괴라 한다. 이 때의 전압을 절연파괴전압이라 한다.


▶절연협조[絶緣協調](Insulation coordination)

송전선과 기기에서는 하나만 절연이 좋아도 못쓰고 애자라든가 지지물, 선간격 등 무엇이고 상호의 절연간에 합리적인 관련이 필요하다는 것을 말한다.


▶점호[點弧](Ignition)

수은정류에 있어서 수은아아크를 발생시키는 것.


▶접지[接地](Earth; Grounding)

기기, 지락, Earth라고도 부른다. 도체를 지표에 연락한다는 것으로 여기에 의해 대전하고 있는 물질은 대전을 잃는다. 또 때로는 어느 대전체와의 감응에 의해 이것과 역의 대전을 한다는 것으로 접지라 불리우는 것은 어느 목적을 갖고 전로를 대지와 전기적으로 이으는 것이고 또 지락(地絡)이라 하는 것은 전로의 이상상태라 하여 전로의 일부가 대지와 전기적으로 이으는 것.


▶정격[定格](Rating)

① 제조자가 보증하는 기기의 사용한도.

② 기구를 사용하는데 있어서 전압, 전류, 속도 등에 일정한 제한이 있는데 이것들을 증감하면 손실, 온도상승, 통풍불충분등으로 형편이 좋지 않은 일이 생기므로 효율도 생각하여 최적한 출력, 전압, 전류, 속도 등 생각할 수 있는 것을 정한것으로서 이것을 그 기계의 정격이라 하고, 대개는 기계의 명판에 기록해 두는 것으로 그 외에 단시간 사용일 경우의 단시간 정격, 1시간의 시간을 구분지은 1시간 정격 등이 있다.


▶정격용량[定格容量](Rated capacity)

전동기 및 발동기 및 진공관 등의 전기기기에 있어서 제작자가 규정한 용량.


▶정격전류[定格電流](Rated current)

정격에 의하여 정해진 전류로서 특히 변압기의 경우는 정격출력을 정격2차전압으로 제한 것을 정격2차전류라고 하는데 이것을 권수비로 제한 것이 정격1차전류이다.


▶정격전압[定格電壓](Rated voltage)

① 정격출력(定格出力)일때의 전압.

② 정격에 의해 표시된 전압으로 폐쇄기, 차단기, 콘덴서(condenser)등은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는 전압의 한도를 말하고, 선로공칭전압의 115%, 발전기에서는 정해진 출력전압으로서 우리나라의 표준정격은 110V, 220V, 3300V, 6600V, 11000V로 되어 있다. 변압기에서는 전부하단자전압을 정격2차전압이라 하는데, 여기다 권선비를 승한 것이 정격1차전압이다. 또 전동기에서는 정격출력을 얻는데 필요한 전압을 말한다. 또는 여자기는 110V, 220V의 2종으로 또 동기조상기는 3300V, 6600V, 11000V로 정해져 있다.


▶정공[正孔](Positive hole)

반도체에서 사용하는 말로 전자가 결합이 떨어진 부분의 정의전하를 갖은 곳에서 전기전도작용을 갖는다.


▶정류[整流](Rectification)

교류전류에서 맥류(Ripple) 또는 직류를 얻는 것으로 교류전압의 절반만을 빼내는 반파정류와 교류의 양측을 사용하는 전파정류등이 있다.


▶정류자[整流子](Commuator)

다수의 정류자편(경동제)은 마이카(Mica)등으로 절연하여 원통형에 꼭 매여부처 권선의 리이드(lead)를 이은 것으로 전기자에 직결되여 이것과 같이 회전하여 그 위를 Brach가 접속하는 것에 따라 정류작용 키타를 일으키는 것.


▶정변조[定變調](Constant modulation)

과변조(過變調)를 맞고 되도록 언제나 깊은 변조도를 얻어 변조능율을 항상시키도록 고안된 변조벤, 주로 음성변조에 적용된다. 이를테면 스크리인 그리드 변조시에 음성변조전압을 정류하여 스크리인용 직류바이어스 전압에 겹쳐져서 음성이 클 때에 스크리인 전압이 높고 융성이 적을 때에 스크리인 전압도 낮아지는 것과 같아지는 극성을 가지고 작용한다.


▶정전[停電](Service interruption)

전기가 통하지 않는 말.


▶정전계[停電界](Electroastic field)

정전기력의 작용을 하는 공간.


▶정전기[靜電氣](Positive electricity Static electricity)

전해질용액중의 금속이온을 갖는 전기.

금속을 포로 문지를 때 포에 생기는 전기와 같이 양의 전기를 말한다.

전류와 같이 동적인 현상을 생각하지 않고 전하와 같이 靜態의 전기에 의한 물리현상을 생각하는 것. 여기에 대하여 전류와 같은 것을 동전기라 부른다.


▶정전압변조[定電壓變調](Constant voltage modulation)

피변조관 및 변조관의 양극회로를 직열로 접속하고 변조관의 양극직류전압 강하를 그 격자에 가해지 변조전압에 의하여 변화시키는 것에 다라 피변조의 양극진류전압을 변화시키는 변조법으로서, 직열변조라고도 한다.


▶정전용량[靜電容量](Electrostaic capacity)

고립도체에서는 절연도체의 전위를 단위량에 보지하기 위해 여기에 주어질 전하의 량, 또 2개의 도체 사이에서는 부호가 상반하는 전하 ±Q를 주었을 때 즉 이 도체의 전위가 V로 되었을 때 Q/V를 말한다. 단위는 패릿으로 나타낸다. 혹 V가 1Volt, Q가 1Coulomb인 때 정전용량은 1패럿(F)으로 된다. 송전선 1조의 중심선에 대한 정전용량 C는

. 단, Dsms 선간건리(㎜) r는 전선의 반경(㎜)


▶정전유도[靜電誘導](Static induction; Electrostatic induction)

예를들며 대전이 없는 금속봉의 1단을 타의 대전물에 가까이하면 금속봉의 대전체에 가까운 단에 대전체와 이종의 전기가 먼 단에는 대전체와 동종의 전기를 유발하는 것.


▶정전차폐[靜電遮蔽](Electrostatic shielding)

외부로부터 정전력으 받지 않게 또는 외부에 미치지 않게 하기 위해 양도체로 둘러싼다는 것.


▶정정[整定](Setting)

① 계전기, 자동장치등에 있어서 소정의 값을 출현케 인위적으로 설정하는 것. ② 자동제어와 계전기에서 사용하는 말로써 제어의 희망치 또 목표치를 나타내는 값으 정정치라 말한다. 그것을 나타내는 부분을 정정부라 말한다. 이 정정치를 어느 값에 누르는 것을 정정이라 이른다. 새로 입력의 변화가 있을 때 이 정정까지에 요하는 시간을 정정시간이라 말한다.


▶정태안정극한전력[情態安定極限電力](Steady-state power limit)

송전선에서 부하가 점차 증가되도라도 극한송전전력에 이내에 있으면 조상기를 조정하여 이것에 부응한 전력을 보낼 수가 있는데 이것이 어느 값 이상이 되면 이미 송전전력을 보낼 수 없게 되고, 무효전력은 점점 증대하게 되고, 발전기 및 조상기는 불안전하게 되어 마침내 탈조(脫調)한다. 이 전력을 안정하게 계속 송전할 수 있는 최대전력을 말한다.


▶정태안정도[定態安定度](Steady-state stability; Static stability)

송전선에서는 불변부하 또는 서서리 변하는 부하상태하에서 계속 송전할 수 있는 정도, 또 동기기기에서는 일정한 여자전류하에서 부하가 일정할 때 또는 서서리 변할때에 계속 발전할 수 있는 정도.


▶정합[整合](Matching)

전신전화 등에서는 impedance를 어느 점으로 보고 좌우를 같게 하거나 또 공중선등에서는 급점에서 본 공중선의 impedance와 파동 impedance를 갖게 하는 것을 말한다.


▶정현파[正弦波](Sine wave; Sinusoidal wave)

① 파형이 정현곡선이 이루는 파를 말함. 진공발전기에 의하여 만들어지는 교류전압이나 전류는 대체로 정현파에 가까운 것이며 교류회로의 계산을 할 경우는 대개 전원을 정현파라 가정하여 고찰하고 있다. ② F(t)=Asin(ωt+Ø)이라 하는 방정식으로 나타낼 수 있는 파.


▶제너다이오드(Zener diode)

강복전압의 일정성에 의한 정전압특성을 이용하는 diode


▶제동[制動](Braking; Damping)

① 회전기 등의 속도를 가감하거나 정지하여 위험한 속도에 달하는 것을 막는 것으로 마찰제동, 발전제동, 회생제동, 와전류제동 등이 있다. ② 진동물체의 진폭을 감하거나 정지시키는 것으로 계기의 지침등의 제동법에도 유제동, 공기제동 등이 있다.


▶제백효과(Seeback effect)

일반적으로 2종의 다른금속선을 이어 만든 폐전로(열전대)에 있어서 그 다른접점을 다른 온도로 보지하면 그 회로에 기전력(열기전력이라고도 부른다)이 생겨 전류(열전류)가 흐르는 현상


▶제어량[制御量](Controlled variable)

제어계에서 제어의 대상이 되는 것의 갖는 량을 말한다. 그 량을 목표로 하는 값에 일치케하는 것이 제어의 목적이다.


▶제어반[制御盤](Controlling board)

배전반의 일종으로 경사반상에 제어개폐기(制御開閉器), 신호등(信號燈), 계기, 개폐기 등을 취부한 扻형의 것으로 때로는 수직형의 부분과 조합하여 사용한다.


▶제어선[制御線](Control line)

자극송신이 수신을 방해하지 않게 송수신기를 상당히 띠워서 설비하고 양자간에 陸線을 설치하여 통신수는 수신소에 와서 전건에 의해 송신소의 송신기를 조작하는 것으로 동시에 송신도 수신도 가능한 것으로 이 용도에 사용하는 육선을 말한다. 또 조종(control)선이라고도 부른다.


▶제 2종 접지공사[第二種接地工事](Secondclass earth connection)

접지선과 대지간의 전기저항을 변압기의 고압측 또는 특별고압측 전기의 1선지락 전류의 A수로 150을 나눈 값과 동일한 Ω수 이하로 하고, 접지선은 특별고압용변압기에서는 4mm 이상인 동선, 고압용변압기에서는 1.6mm 이상인 동선을 사용한다.


▶제한전압[制限電壓](Limit voltage)

피뢰기(避雷器)의 방전시 그 단자에 남는 서어지(surge)전압으로 정격전압 154kV의 선로에 이어지는 피뢰기의 제한전압은 710kV이며 방전전류는 2360A이다.


▶조광기[調光機](Dimmer)

저항 또는 변압기로서 전압을 바꾸며 광도를 조정하는 장치.


▶조도[照度](Intensity of illumination; Illumination)

어느면의 단위면적당에 들어오는 광속밀도를 말한다. 단위는 룩스(lx)를 사용한다.


▶조도계[照度計](Illuminometer)

어느 면의 조도를 측정하는데 사용하는 계기로 machbeth, weber, Tharp miller등 각종이 있다.


▶조력발전소[潮力發電所](Tidal power station)

조석간만(潮汐干滿)의 차가 현저한 해안을 선택하여 潮池라고 부르는 해수저수지를 설치하고 외해가 고조일 때 수문을 열어, 해수를 조지에 유입시키고 반대로 저조시에는 조지에서 외해로 역류시켜서 유수의 에너지를 이용하여 발전하는 것.


▶조명기구[照明器具](Lighting fittings; Luminairs)

광원에서 빛을 적당히 반사(反射), 굴절(屈折), 투과(透過)시켜서 조명의 목적을 거두는 기구.


▶조명율[照明率](Coefficrent of utilization; Illumination efficiency of light)

어느 면이 받는 전광속(全光束)을 광원의 전광속으로 나눈 것. 조명효율과 거의 같은 것.


▶조명효율[照明效率](Illumination efficiency)

조명설비에서 작업면(통상 상상 85㎝)에 투과하는 광속과 설비된 전구 전체가 발생하는 광속의 비.


▶조상기[調相機](Phase modifier)

동조전동기의 일종으로서, 전기입사을 변화시키며, 송전선전압의 전압조정 및 역율개선을 목적으로 사용되는 것.


▶조속기[調速機](Speed governor)

증기터어빈(turbine)이 새로운 부하에 대하여 정회전이 될 때까지의 시간.


▶조작부[操作部](Operating unit; Final control element)

자동제어계에서 조절부의 신호를 조작량에 바꾸어 제어대상에 일을 하게 하는 부분.


▶조정지[調整池](Regulation pond; Pondage reservoir)

1일간의 부하 변동에 대하여 부하가 작을때에 여수(餘水)를 저수하여 피이크(peak)시에 방출하도록 조정하기 위한 것.


▶주울(Jule)

에너지 및 일의 MKS단위. 에르그의 107배, 양(量)기호는 J. 1[J]은 물체에 1[N]의 힘을 가하여 그 힘의 방향으로 1[m]움직이는데 필요한 일이다. 1[W]의 전력이 1초간에 행하는 일과 같다.


▶주파수[周波數](Frequency)

파의 정(또는 負)의 최고치에서 다음의 정(또는 負)의 최고치로 달하는 변화를 1Hz(1주파)라 부르고, 1sec간의 변화의 Hz수를 주파수라 부른다. 단위기호는(∼)(c/s)(KC)(Mc)등이 있으며 오늘날에는 [Hz] [KHz] [MHz]가 쓰이고 있다.


▶주파수변환기[周波數變換器; 周波數變換機](Frquencyc hanger; Frequency converter)

① 周波數變換器 : 교류 전력인 주파수를 다른 주파수로 변환하는 것. ② 周波數變換機 : 주파수의 변환을 행하는 동력용 전기기P 2개의 변압기를 병렬접속한 것과 같은 구조를 갖고 직유에서 철심내의 자속을 포화시켜 이 포화를 이용하여 2개의 철심이 교호로 발생하는 전압을 사용하여 입력의 2∼3배의 주파수를 갖는 출력전압을 얻는 장치. 변압기라고도 한다. ③ 교류전력을 어떤 주파수에서 다른 주파수로 변환하는 정지기(靜止器)


▶준안정상태[準安定狀態](Metastable state)

원자중의 전자가 외부로부터 에너지를 받아 자신이 들고 있는 궤도에서 바깥 궤도로 바뀌면 아주 불안전한 상태가 되는데 이때 안전한 상태로 유지하기 위해 광(빛)을 발생하여(받은 에너지를 빛으로 방출한다) 점점 저단위의 궤도로 내려오나 이것이 어느 준위까지 내려오면 어느새 빛을 발하는 것이 없어지는데 이 상태를 준안정상태라 한다.


▶중성선[中性線](Netural line)

전원과 부하측의 중심점을 연결하는 선 또는 직류기의 무부하상태하의 극대기전력에 대응하는 브러시(brush)의 위치에 따라 정해지는 선.


▶중첩의 원리[重疊의 原理](Superposition theory)

여러개의 기전력을 포함하고 있는 회로망등에 적용될 수 있는 원리. 즉 회로망속에 두 개 이상의 기전력이 있을 때, 회로망의 각부에 흐르는 전류는 각기전력에 의하여 각 지로(枝路)에 흐르는 전류를 따로따로 구하고, 이들을 합성한 것과 같게 하는 원리이다. 겹쳐맞춤의 원리. 중합의 원리.


▶직류발전기[直流發電機](DC dynamo)

① 직류전력을 발생하는 발전기로서 직권분권을 비롯하여 여러 가지가 있다. ② 직류전력을 발생하는 발전기


▶ 직류송전[直流送電](Direct current transmission)

직류로 송전한다는 말로 대전력원거리송전에서는 직류는 최대치가 실효치이므로 교류보다 4할 큰 전력을 보낼 수 있고, 삼선식을 사용하여 중성점을 접지하면 중성점의 절연은 생각하지 않아도 되므로, 송전선을 두가닥만 설치하여도 되며, 대지를 귀선으로 할 수 있으며, 또 철탑도 염가로 할 수 있으며, 유전손도 없고 와전류손도 없는 등의 이유로 고려되고 있다. 그리고 이것에는 정전류형, 정전압형의 구별이 있다.


▶직류승압기[直流昇壓器](DC booster)

전로에 직류기의 전기자를 직렬로 연결하고 그 유기기전력으로 전로전압을 가감하는 것.


▶직류발전기[直流發電機](DC dynamo)

① 직류전력을 발생하는 발전기로서 직권분권을 비롯하여 여러 가지가 있다. ② 직류전력을 발생하는 발전기.


▶직류송전[直流送電](Direct current transmission)

직류로 송전한다는 말로 대전력원거리송전에서는 직류는 최대치가 실효치이므로 교류보다 4할 큰 전력을 보낼 수 있고, 삼선식을 사용하여 중성점을 접지하면 중성점의 절연은 생각하지 않아도 되므로, 송전선을 두가닥만 설치하여도 되며, 대지를 귀선으로 할 수 있으며, 또 철탑도 염가로 할 수 있으며, 유전손도 없고 와전류손도 없는 등의 이유로 고려되고 있다. 그리고 이것에는 정전류형, 정전압형의 구별이 있다.


▶직류승압기[直流昇壓機](DC booster)

전로에 직류기의 전기자를 직렬로 연결하고 그 유기기전력으로 전로전압을 가감하는 것.


▶직접결합[直接結合](Direct connection)

증폭회로(增幅回路)에서 전단진공관의 양극부하저항으로부터 직접 후단진공관의 격자회로에 고주파전압을 넣는 형식의 결합방업으로 로프틴화이트 식이라고도 한다.


▶직접매설식[直接埋設式](Direct laying system; Built-in system)

지하케이블(cable)선을 관 속에 넣지 않고 트립(trap; 흄통) 속에 넣고 여기에 모래를 채우고, 그 위를 뚜껑으로 덮고 지하에 매설하는 방법.


▶직접접지방식[直接接地方式](Direct grounding system)

변압기를 △-Y결선하고, Y의 중성점을 금속선으로 접지하는 방식인데, 이것으로는 1선지락이 생기더라도 타 2선 이성형전압 이상으로는 오르지 않으므로 변압기의 절연을 경감(輕減)할 수 있고, 지락전류에 의해 접지계전기(接地繼電器)를 동작시켜 선택 차단을 할 수 있지만, 이 지락전류 때문에 통신장애를 가져온다.


▶직접제어[直接制御](Direct control)

전철의 전동기제어방식의 1종으로서 저항제어에 의하는 형, 폐로도가 있는 형, 단락도가 있는 형의 4종이 있다.


▶직접조명[直接照明](Direct Ilumination)

반사 등에 의하지 않고 피조물(被造物)에다 직접 광선에 비추는 조명법.


▶진상용콘덴서(Power condenser)

전력계통의 부하에 병렬로 접속되여 진상 무효전력을 흡수하여 그 계통의 역율을 개선할 목적으로 사용하는 전력용 Condenser 저압용은 15∼300㎌의 것이 있고 또 고압용은 10∼300kVA인 것이 있다.


▶진폭변조[振幅變調](Amplitude modulation)

변조방식중 가장 일반적으로 사용하는 것으로 반송파(搬送波)의 진폭을 변조파(變調波)로 변조하는 방식의 것.

▶차단기[遮斷機](Circuit breaker)

회로의 이상상태, 또는 필요한 상태에 있어서 회로를 전부 또는 일부를 차단하는 기구, 자동식 전류차단기, 유입차단기, 고속도차단기 등 각종이 있다.


▶첨두부하[尖頭負荷] (Peak load)

① 지정된 기간내에 있어서의 최대부하, 기간으로서는 날(日)을 사용하는 수가 많으나 주간피이크 야간피이크라 말하기도 한다. ② 피이크부하라고 부르기도 한다.


▶철손[鐵損](Iron loss)

철이 지닌 히스테리시스(hysteresis)손자 과전류손을 합친 것으로 철심에 생기는 전력손실.


▶초도전상태[超導電狀態](Superconductive state)

금속의 도전율은 저온일 때는 증가하지만 어느 온도(-270℃ 정도)에서는 저항치가 거의 영이 되는 현상.


▶쵸퍼어[Chopper]

① 직류를 교류로 바꾸기 위하여 기계적으로 접점을 개폐하는 장치. 접촉단속기라고도 한다. ② 지속전류(持續電流)를 가청주파(可聽周波)로 단속(斷續)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단속기(斷續器), 둥근통에 금속편(金屬片)과 절연편(絶緣片)을 교대로 꽂고 여기에 접촉자(接觸子)를접촉하면서 급속히 회전하는 것. 송수(送受) 어느 쪽에도 사용된다.


▶최대치[最大値](Maximum value)

파고치


▶최소감도[最小感度](Figure of merit)

검류계에서는 전류감도란 말


▶출력용량[出力容量]((Output capacitance)

출력용량은 출력단자간의 용량


▶충격비[衝擊比](Impulse ratio)

① 충격파 Brack over 전압의 사용주파 Brack over 전압에 대한 비. 1에 가까운 것을 바랜다. ② 되풀이구형(矩形) 충격파의 폭(幅)과 되풀이주기(周期)와의 비(比)


▶충격시험[衝擊試驗](Bump test)

어느 충격전압에 견디나 못견디나를 시험 하는 것이고 또 기계적으로 어느 정도의 충격력에 견디나를 조사하는 것.


▶충격전리[衝擊電離](Ionization by collision)

1차전자에 전위차를 가하여 충분히 이것을 가속시켜 이것이 gas분자에 충돌하여 그 갖이고 있는 운동에너지를 주어 전리를 행하게 한다.


▶충격전압시험[衝擊電壓試驗](Impulse voltage test)

충격내전압, 충격 Brach over전압, 충격파괴전압 시험 등의 총칭.


▶충돌전리[衝突電離](Ionization by collision)

전리충내 또는 방전관(放電管) 내에서 전자가 기체원자에 충돌하여 그 충돌에너지에 의하여 양이온과 전자로 전리하는 현상.


▶충전[充電](Charge; Charging)

Condenser에 전기를 저장하는 것 또는 송전선에 전압을 걸릴 수 있게 전기를 주는 것. 급축전지에서 양극에 유입하여 음극으로부터 유출하게 외부로부터 전류를 통하여 전지작용을 주는 조작.


▶충전기[充電機](Charger)

축전지의 충전을 할 때 사용하는 직류발전기로 전동발전기 등이 사용된다.


▶측광[測光](Photometry)

광의 광속, 광도, 배광, 조도 등을 측정 하는 것.


▶층간단락[層間短絡](Layer short circuit)

권선층간에서 절연이 파괴되어 단락하는 것으로 이것이 일어나면 기구가 탄다.


▶층간절연[層間絶緣](Layer insulation)

발전기 coil등의 도체 각 층의 간(사이)에 삽입하는 절연물로 많은 절연박지를 사용한다. 또 에나멜(enamel)을 바를 때도 있다.


▶침식[浸蝕](Erosion)

수차라든가 증기터빈 등의 우근 등이 물의 성분과 증기 등에 의해 부식을 받는 것.


▶침입파[侵入波](Fran smited wave)

송전선(送電線)등을 진행파(進行波)가 진행할 때 접합단(接合端)에서 그 일부는 반사되며 나머지는 계속하여 진행한다. 전자(前者)를 반사파, 후자(後者)를 침입파라고 한다.


반응형

'Computing..'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전기 용어 사전..ㅊ-ㅎ  (0) 2007.08.03
전송 선로 관련 1, 2차 정수  (0) 2007.08.03
Alter Table 구문  (0) 2007.08.01
Posted by 따뜻한 세상
,
선로의 저항, 인덕턴스, 정전 용량 및 누설 컨덕턴스. 이들 값은 선로의 종류, 굵기, 배치 등에 따라 결정된다. 선로를 전기적 입장에서 보면 이들 4개의 상수연속적으로 분포한 회로로 볼 수 있다. 이와 같은 회로 상수를 분포 정수라고 한다. 분포 정수선로의 어느 부분에서도 균등한 경우, 단위 길이당 왕복 저항 R, 한 선으로부터 다른 선으로의 단위 길이당 누설 컨덕턴스 G, 단위 길이당 왕복선의 인덕턴스 L, 단위 길이당 선 간(線間) 용량 C를 선로의 1차 정수라고 한다. 또 이들 1차 정수로부터 유도되는 감쇠 정수 a, 위상 정수 b 및 특성 임피던스 Z0 등을 2차 정수라 한다. 이들을 통틀어 선로 정수라 한다.
----------------
반응형

'Computing..'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전기 용어 사전.. ㄱ-ㅁ  (0) 2007.08.03
Alter Table 구문  (0) 2007.08.01
데이터 독립성(data independence)..  (0) 2007.07.31
Posted by 따뜻한 세상
,

Alter Table 구문

Computing.. 2007. 8. 1. 00:30
ALTER란?

기존 테이블에 새로운 컬럼을 추가하거나 변경할때 쓰는 명령어

ALTER 명령은 CREATE TABLE문으로 만든 컬럼은 삭제 할 수 없다.

-- 사용자 암호 변경

ALTER USER [USER ID] IDENTIFIED BY [NEW PASSWORD];

EX)ALTER USER scott IDENTIFIED BY lion;


-- 인덱스 수정

ALTER INDEX [INDEX NAME] RENAME TO [NEW INDEX NAME];

EX)ALTER INDEX idx_empno RENAME TO idx_emp_01;
     : 인덱스 idx_empno의 이름을 idx_emp_01로 변경한다.

-- 필드 추가

ALTER TABLE [TABLE NAME] ADD ([COLUMN NAME] DATATYPE);


-- 필드명 수정

ALTER TABLE [TABLE NAME] RENAME COLUMN [COLUMN NAME] TO [NEW COLUMN NAME];

--필드 타입 수정

ALTER TABLE [TABLE NAME] MODIFY ([COLUMN NAME] DATATYPE);

-- 제약 조건 추가 / 수정

ALTER TABLE [TABLE NAME] ADD CONSTRAINT [제약 조건 이름] [조건] ;

EX) ALTER TABLE C_EMP ADD CONSTRAINT CK_AGE CHECK(AGE > 0);

출처 : Tong - 해오름달님의 DATABASE통

반응형
Posted by 따뜻한 세상
,
데이터베이스 내의 데이터와 이들을 사용하는 응용 프로그램이 서로 영향을 받지 않는 것.
데이터가 바뀌더라도 프로그램 내 접근 방법이 바뀌지 않고 또 응용 프로그램이 바뀌더라도 저장된 데이터의 구조가 영향을 받지 않으며, 동일한 데이터가 여러 사람에 의해 다른 방법으로 사용될 수 있다.

내용 펌) http://blog.naver.com/clampkor/30017705057
반응형

'Computing..' 카테고리의 다른 글

Alter Table 구문  (0) 2007.08.01
하드디스크 관련 이미지 및 기능 상세 설명  (0) 2007.07.21
채널과 DMA방식의 차이점..  (0) 2007.07.20
Posted by 따뜻한 세상
,
하드디스크의 구조

트랙 : 플래터에서 회전축을 중심으로 데이터가 기록되는 동심원을 트랙이라 한다.
 
섹터 : 트랙을 작게 나눈 디스크의 최소단위를 섹터라고 한다. 


실린더 : 각각의 플래터에서 같은 위치에 있는 앞과 뒤 트랙을 모드 합쳐 실린더라 함.


 
하드디스크 용량 : 실린더수 * 헤드수 * 트랙당섹터수 * 섹터당바이트(512)
 
IDE 하드디스크 인터페이스 케이블

 
SCSI HDD 인터페이스









 
SCSI HDD
 

SCSI Controller

위) SCSI HDD 아래) IDE HDD










HDD Master/Slave Jumper
 
 
 
 
 
 
반응형
Posted by 따뜻한 세상
,

 채널과 DMA방식의 차이점..


다시말해서 채널(여기에서는 IOP를 뜻함)은 i/o 관련 프로세스를 직접처리하게되
고 DMA는 해당 프로세스는 CPU에서 처리하고 단지 i/o 작업만을 DMA가 담당하게
됩니다.

쉽게 말하자면 채널의 방법은 I/O에 관련된 프로세스를 CPU에서 처리하는게 아닌
일종의 i/o전담 프로세서에서 직접처리하고(DMA를 IOP에서 컨트롤하게됨) 프로세스의 처리 결과를 cpu와 전달하는 형태로 하게되고, 단순히 DMA를 사용하는 경우는 I/O에 관련된 프로세스를 CPU에서 직접처리하게 됩니다.(DMA의 컨트롤을 CPU에서 하게됨,단순하게 채널은 i/o 작업(DMA) + 프로세스, DMA는 i/o 작업 이죠)

두가지 방식은 CPU의 프로세스처리에서 큰 차이점을 나타내는데 
DMA를 CPU가 직접 컨트롤할 경우 CPU에서 전에 답변해드렸듯이 i/o 작업동안 프로세스를 대기시키고
다른 프로세스를 처리하기 위하여 i/o가 필요한 프로세스를 저장하게 됩니다.
채널의 경우는 CPU에서 I/O 가 필요한경우 해당 프로세스를 IOP에 넘겨주고
자신은 다른 프로세스를 처리하게됩니다(즉 채널의 경우 중간단계에서 CPU가 중단
중인 프로세스를 저장할 필요가 없습니다.)

채널을 사용하는 쪽이 CPU의 효율성면에서 불필요한 단계가 없어짐으로 훨씬 나은
성능을 보여주게 되는 것입니다.

IOP는 일종의 프로세서이기 때문에 자체적으로 프로세스 처리를 위한 로컬 메모리를 따로 가지고 있으며 DMA에 대한 컨트롤 및 각 인터럽트 처리를 도맡아서 하게 됩니다.

즉 DMA와 DMA채널은 서로 다른것이 아니라 중간단계에 I/O 처리용으로 특화된 프로세서가 있어서 DMA를 컨트롤할것인가 아니면 CPU에서 DMA를 직접 컨트롤할 것인가라는 차이점을 말하는 것이라고도 볼수 있습니다.

단순히 예를 들어서 그래픽카드에 GPU(GRAPHIC PROCESS UNIT)가 IOP의 역활을 보여준다고 볼수 있겠네요(물론 IOP라고 말할수는 없는것이지만 단순히 역활상으로 본다면)
화면출력에 관련된 프로세스를 CPU에서 직접 계산해서 보여주는 것과 GPU란 녀석이 CPU와 통신하면서 해당 프로세스를 계산해주고 보여주기까지 하는것과는 CPU에
서 처리하는 업무량이 확연히 다르게 되는것이 일맥상통이라고 할까요..^^;; 

자료 펌) http://kin.naver.com/db/detail.php?d1id=1&dir_id=104&eid=wW89ejJ3OAsBJMwLf8+r9bp+nmhZjiRs&qb=waS6uMOzuK6x4rTJu+cgZG1h

DMA에 관한 자세한 설명

우선 왜 DMA필요한지 부터 말씀드리죠.
이유는 아주 간단한데. CPU의 프로세스 처리속도보다 I/O장치의 입출력 속도가
느리기 때문에 CPU가 직접 I/O처리를 하게 되면 처리속도차 때문에 CPU의 작업
대기 시간이 늘어나기 때문입니다.

그래서 DMA(DIRECT MEMORY ACCESS)를 사용하는 것입니다.

그럼 DMA가 어떻게 동작하는지 간략히 설명드리죠.

프로세스가 어떤 I/O작업이 필요한 경우(쉽게 말해서 해당 프로세스가 키보드 입력이 필요하다 거나 렌을 통하여 데이터을 주고 받아야 된다거나 하는 경우) CPU는 일단 처리하고 있던 작업을 중단하고 해당 I/O 장치의 DMA를 활성화 시킴니다. 그리고는 다른 프로세스를 처리하게 됩니다.(중단된 프로세스는 대기상태로 유지됨)

해당 I/O 장치의 DMA는 자신이 활성화 되면 자신이 맡은 I/O 장치에 따라서
메모리상의 테이터를 출력으로 보내던지, 입력된 데이터를 메모리상에 저장하는
역활을 수행합니다.
DMA가 작업이 완료되면 인터럽트를 발생시켜서 CPU에 해당 작업이 끝났다는 신호를 보내주고 DMA는 비활성 상태로 들어갑니다. 그러면 CPU는 현재 처리 프로세스를 대기상태로 만들고 중단되어 있던 프로세스를 처리하게 됩니다.
(여기서 인터럽트 처리, JOB 스케쥴링 등등의 복잡한 것들이 많은데 간단하게만 설명하죠 ^^;;)

I/O작업시 CPU가 하는 일이 단지 DMA를 활성화 시키고 I/O작업이 끝났다는것을
인지하는 것 밖에는 없는것 입니다(물론 입력된 데이터를 가져다 쓰기도 하지만 그것은 I/O작업이 아닌 프로세스의 처리 작업이니 상관없는것 이죠 ^^;). 

즉 CPU는 입출력 작업 자체는 수행하지 않고 해당 작업을 모두 DMA에 전담시키게 되는 것입니다. DMA가 해당 입출력 작업의 통제를 떠맡아 처리하기 때문에 입출력 작업 자체에 대한 CPU의 통제가 필요 없는것입니다.(단지 입출력 작업을 시작 시키고 끝나면 가져다 쓰는 것 밖에는)

자료 펌) http://kin.naver.com/db/detail.php?d1id=1&dir_id=104&eid=Tk27a/kc1pnP9fMYOHtG7Nx4r86SSoPX&qb=waS6uMOzuK6x4rTJu+cgZG1h


반응형
Posted by 따뜻한 세상
,
반응형

'Computing..' 카테고리의 다른 글

채널과 DMA방식의 차이점..  (0) 2007.07.20
네이버 카페에 자동 로그인하기..  (0) 2007.07.10
UML 강좌 21회분  (0) 2007.07.06
Posted by 따뜻한 세상
,

네이버에 로그인할때 예전엔 안그랬는데, Flash 방식으로 로그인하게 하는 방식으로 변경되면서 자동 로그인하는 프로그램을 써도 자동 로그인이 안되어 일일이 입력을 해야했습니다..

그러나 아래처럼 하시면 쉽게 입력이 가능합니다.

즐겨찾기 등록시 주소를 아래처럼 등록해 두시면 클릭과 동시에 바로 로그인되어 입장 가능하답니다.

http://id.naver.com/nidlogin.login?url=http://cafe.naver.com/grandhill2ck.cafe&id=자신의아이디&pw=자신의비밀번호

자신의아이디와 비밀번호를 입력해두시면 됩니다.^^

내용 펌) http://cafe.naver.com/comjigi.cafe

반응형
Posted by 따뜻한 세상
,

UML 강좌 21회분

Computing.. 2007. 7. 6. 11:54

[안영회의 UML 강좌1] - 모델링과 모델링 언어

[안영회의 UML 강좌2] - UML 이란?

[안영회의 UML 강좌3] - Use Case Diagram

[안영회의 UML 강좌4] - RUP (Rational Unified Process)

[안영회의 UML 강좌5] - Active Diagram

[안영회의 UML 강좌6] - Rational Rose 소개

[안영회의 UML 강좌7] - 클래스 다이어그램

[안영회의 UML 강좌8] - 클래스 다이어그램

[안영회의 UML 강좌9] - Object Interaction(1)

[안영회의 UML 강좌10] - Object Interaction(2)

[안영회의 UML 강좌11] - Relationship 찾아내기(2)

[안영회의 UML 강좌12] - Iterative Development

[안영회의 UML 강좌13] - Behavior and Structure(1)-1

[안영회의 UML 강좌14] - Behavior and Structure(2)

[안영회의 UML 강좌15] - Behavior and Structure (3)-1

[안영회의 UML 강좌16] - Behavior and Structure (4)-2

[안영회의 UML 강좌17] - Inheritance-1

[안영회의 UML 강좌18] - Object Behavior-1

[안영회의 UML 강좌19] - System Architecture-1

[안영회의 UML 강좌20] - Iteration 계획

[안영회의 UML 강좌21] - Summary

자료 펌) http://blog.naver.com/kt1115/40001647472
추가) UML 2.0 제대로 알기(5회분)

1회. 가능성·확장성 품고 등장한 UML 2.0

2회. 초보자를 위해 다각도로 살펴본 UML

3회. 바로 알고 제대로 쓰는 UML 실전 모델링

4회. 닷넷 환경에서 UML 툴 활용 가이드

5회. 표준을 넘나드는 UML의 적절한 사용

자료 펌) http://www.zdnet.co.kr/builder/dev/modeling/0,39031637,39134178,00.htm
반응형
Posted by 따뜻한 세상
,
엑세스파일(mdb)은 엑세스가 설치되어 있지 않은 컴퓨터에서는 실행이 불가능합니다.

그러나 엑세스없이도 실행할 수 있습니다.
엑세스 런타임(Runtime)이라는 것이 있는데 이것을 함께 배포해서 설치를 하면 됩니다.

런타임도 엑세스와 동일한 구동 형식을 가지고 있지만, 폼이나 쿼리, 테이블, 보고서 등을 디자인 모드로 열수가 없고 단지 실행만 할 수 있습니다.

Runtime은 2003 CD에 AccRT 라고 검색을 해 보면 있을 것입니다.
ACCESSRT.MSI 파일을 실행시키시면 바로 설치가 됩니다.

이 것을 배포하려면 배포 권한라이센스를 구매를 해야합니다.
배포 라이센스는 VSTO(Visual&nbsp;Studio Tool for Office)를 구매를 하면 자동으로 취득됩니다.

아래의 사이트에서 확인해 보세요.

http://msdn.microsoft.com/smartclient/understanding/vsto/

자료 펌) http://k.daum.net/qna/view.html?qid=2ewkE
반응형

'Computing..' 카테고리의 다른 글

UML 강좌 21회분  (0) 2007.07.06
ctfmon.exe 삭제 방법  (0) 2007.07.01
TFT-LCD에 대한 궁금증 15가지  (0) 2007.06.28
Posted by 따뜻한 세상
,

ctfmon.exe은 무엇에 쓰는 물건인고?

ctfmon.exe는 Office XP부터 도입된 고급 텍스트 서비스로 윈도우 입력 도구와 함께 음성 인식, 필기체 인식, 키보드, 번역 및 기타 다른 입력 도구 기술에 대한 텍스트 입력 서비스를 지원하는 프로그램입니다.

그러나, 키보드만 이용하신다면 별로 필요없는 프로그램이고, ctfmon.exe 프로그램이 활성 창을 모니터링하면서 입력서비스를 지원해서인지는 모르겠습니다만 프로그램간에 충돌이 발생하고 시스템 지연 등의 시스템이 이상해 지는 원인이 됩니다.

이런 이유로 많은 분들이 삭제합니다만 Microsoft 사에서는 이 파일을 삭제할 경우 Office XP 프로그램 실행에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면서 삭제를 권장하지 않고 있습니다. 그럼 제대로 만들던지....쯥

ctfmon.exe를 제거하는 방법

문제는 ctfmon.exe를 삭제하는 방법이 쉽지 않다는 것입니다. 삭제된 줄 알았는데, 다시 부팅하면 물귀신처럼 살아나는 경우가 있습니다. 제가 사용했던 방법인데 제일 확실하더군요. 참고로 제 시스템은 Windows XP sp2 입니다.
  1. 모든 프로그램을 종료합니다.
  2. 작업 표시줄을 마우스 오른쪽 버튼으로 클릭한 후, 메뉴에서  작업관리자를 선택합니다. 또는 Ctrl-Alt-Del 키로 작업관리자를 실행합니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3. 작업관리자에서 ctfmon.exe를 선택하고 "프로세스 끝내기" 버튼으로 종료합니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4. 시스템에 등록된 msimtf.dll 과 msctf.dll을 제거해야 합니다.
    이를 제거하실 때에는 (1) msimtf.dll, (2) msctf.dll 순서로 아래의 방법에 따라 삭제하십시오.
  5. 시작버튼 >> 실행을 선택하시거나 윈도우키+R 로 실행 창을 실행합니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6. "regsvr32.exe /u msimtf.dll"를 입력하고 [확인]버튼을 클릭합니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7. 다시 실행 윈도우를 실행하신 후, 이번에는 "regsvr32.exe /u msctf.dll"를 입력하시고 [확인]버튼을 클릭합니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8. 또 한번 실행 윈도우를 실행하신 후, "regedit"를 실행하여 레지스트리 에디터를 실행합니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9. HKEY_CURRENT_USER/Software/Microsoft/Windows/CurrentVersion/Run" 에서 ctfmon.exe 를 선택하시고 삭제하십시오.
    사용자 삽입 이미지


  10. 재부팅하신 후 작업관리자에서 프로세스 목록에 ctfmon.exe 이 없으면 성공한 것입니다.

이렇게 했는데도....

이렇게 ctfmon.exe를 죽였는데도 IE에서 가끔 한영전환이 안 되는 경우가 있습니다. 이럴 때에는 주소창에서 F6키를 한번 눌러 주면 됩니다.
  1. 웹브라우저에서 주소 창을 클릭합니다.
  2. F6 키를 눌러 줍니다.
  3. 문장을 입력하는 곳을 클릭 한 후,
  4. 한영전환키를 눌러 줍니다.

기사 펌) http://jwmx.tistory.com/740

반응형
Posted by 따뜻한 세상
,

 TFT-LCD에 대한 궁금증 15가지


궁금증 풀이 [1]
  • TFT-LCD는 어떤 원리로 작동되나요?

    CRT 모니터는 PC에서 나온 데이터 신호가 모니터의 전자총에서 RGB로 분해된 후 셰도우 마스크를 통과해 스크린에 부딪쳐 빛을 내는 것으로 알고 있다. 그럼 TFT-LCD는 어떻게 동작하는가?

  • 유리판 사이에 채운 액정이 핵심
  • 1. 백 라이트(Back Light) : 스크린에 빛을 보내주는 광원이다. TFT-LCD는 스스로 빛을 내지 못하기 때문에 이미지를 스크린에 표현하기 위해서는 광원이 필요하다. 이 같은 역할을 하는 것이 바로 TFT-LCD의 가장 뒤쪽에 있는 백 라이트다.

    2. 투명 전극(Transparent Electrodes) : TFT-LCD를 움직이는 전극으로, 뒷부분에 있는 백 라이트에서 나오는 빛을 최대한 받아들일 수 있도록 빛 투과율이 높은 재질을 사용한다.

    3. LCD 트랜지스터(LCD Transistor) : 각 컬러 도트의 액정 전압을 조절하는 데 사용하며 각 도트마다 하나씩 연결되어 있다.

    4 편광 필터(Polarizing Filter) : 들어오고 나가는 빛의 양과 방향을 조절한다.


    5. TFT 유리 기판(Glass Substrate) : 액정에 신호 전압을 전달하고 차단하는 스위칭 소자다. 전극에서 전압이 전달되면 액정 전극을 적당한 전압으로 채우고 액정 분자를 전압에 맞는 상태로 배열하는 역할을 담당한다.

    6. 액정(Liquid Crystal) : 고체와 액체의 중간 상태인 고분자 물질로, 사슬 모양으로 배열되며 전압에 따라 분자 배열이 달라지는 것이 특성이다. 액정 디스플레이 장치는 이런 액정의 특성을 이용해 빛을 통과시키거나 차단한다.

    7. 컬러 필터(Color Filter) : 유리 기판에 색의 기본색인 R(Red), G(Green), B(Blue) 3색을 격자로 배열한 것을 말하며 염색법, 안료 분산법, 인쇄법을 통해 만들어진다.

    8. 배열층(Alignment Layer) : 액정 분자를 일정한 방향으로 정렬하는 데 필요한 얇은 막의 필름이다. TFT-LCD의 각 픽셀은 이 얇은 막으로 이루어진 트랜지스터에 의해 조절된다.

    궁금증 풀이 [2]
  • TFT-LCD 화면에 이상한 점이 생겼어요!

    TFT-LCD를 장만하고 설레며 전원을 켰는데 모니터 왼쪽 하단에 이상한 색의 점이 나타났다. 화면을 보는 데 큰 지장을 주는 것은 아니지만 눈에 거슬린다. 새로 장만한 TFT-LCD에 도대체 어떤 문제가 있는 걸까?

  • 점이 여러 개면 A/S를 신청해 점을 빼자

    TFT-LCD 화면에 나타나는 점을 보통 '불량 화소'라고 한다. 이 불량 화소가 1∼2개 정도라면 별 문제가 없지만 5개가 넘을 때에는 A/S를 받는 게 좋다.

    불량 화소는 보통 TFT-LCD의 액정 도트(점)를 구성하는 트랜지스터에 문제가 발생했을 때 나타나지만 완벽하지 못한 현 반도체 기술도 한 요인이다. TFT-LCD 제조사측도 이를 인정해 불량 화소의 수가 일정 수준을 넘거나 눈에 잘 띄는 곳에 생긴 경우에는 무료로 A/S를 해준다. 하지만 제조사가 규정한 불량 화소 수에 못 미칠 때에는 A/S를 받기 어렵다.

  • 궁금증 풀이 [3]
  • TFT-LCD를 이야기할 때 자주 나오는 DVI가 뭐예요?

    TFT-LCD를 이야기할 때 DVI 단자가 있어 좋다고들 하는데, 도대체 이 DVI가 뭐기에 좋다고 하는 것인지 궁금하다.

  • DVI는 디지털 입출력 단자

    DVI는 'Digital Video Interface'의 약자로, 말 그대로 디지털 영상 신호를 입출력할 수 있는 단자를 말한다. 기존에 사용하던 CRT 모니터는 ADC(Analog Digital Convertor)나 DAC(Digital Analog Convertor)를 이용해 영상 신호를 아날로그나 디지털로 변환해야 하기 때문에 화질을 떨어트리는 불필요한 잡신호가 섞일 수밖에 없다. 하지만 DVI 단자를 사용하면 별도의 영상 신호 변환 과정 없이 곧바로 디지털로 입출력할 수 있기 때문에 화질이 보다 깨끗하고 또렷하다. 따라서 현재 사용 중인 그래픽 카드가 DVI를 지원한다면 DVI 단자가 있는 TFT-LCD를 구입하는 것이 좋다.

  • ◀ DVI 단자를 사용하면 아날로그나 디지털 변환 과정이 필요 없어 깨끗한 화면을 즐길 수 있다.
    궁금증 풀이 [4]
  • TFT-LCD는 CRT보다 시야각이 얼마나 떨어지나요?

    모니터를 구입하려는데 주위에서 TFT-LCD는 CRT 모니터보다 시야각이 떨어져 불편하다면서 만류한다. 정말 그런지 알고 싶다.

  • 틀린 말은 아니지만 최신 TFT-LCD는 시야각이 많이 향상되어 화면을 보는데 문제없다.

    예전에 출시되던 TFT-LCD는 시야각이 떨어져 정면에서 조금만 비껴서 앉아도 화면을 제대로 볼 수 없었다. 하지만 요즘 나오는 TFT-LCD는 시야각이 보통 좌우 120도, 상하 110에 달해 웬만한 각도에서는 화면을 보는 데 전혀 지장이 없다.

  • 궁금증 풀이 [5]
  • TFT-LCD에서는 전자파가 안 나오나요?

    TFT-LCD의 광고를 보면 전자파가 나오지 않아 인체에 해가 없다는 문구가 자주 눈에 띈다. 정말 TFT-LCD는 전자파를 발생하지 않나?

  • 전혀 안 나오는 것은 아니고 다만 CRT 모니터보다 양이 훨씬 적을 뿐이다.

    전자제품은 양만 다를 뿐 모두 전자파를 발생한다. 물론 TFT-LCD도 전자파를 발생한다. 다만 CRT 모니터는 고주파를 사용하는 탓에 전자파가 다소 많이 발생하는 것일 뿐이다. 이 때문에 전자파에 영향을 많이 받는 정밀기기나 의료기기에는 CRT 모니터 대신 TFT-LCD를 많이 사용한다.

  • 궁금증 풀이 [6]
  • 갑자기 뜨는 'No Signal' 메시지, 어떻게 하죠?

    어느 날 갑자기 PC를 켜니 TFT-LCD에 'No Signal' 메시지가 뜨면서 먹통이 되어버렸다. 어떻게 해야 다시 화면을 볼 수 있나?

  • 그래픽 카드와 모니터를 제대로 연결했는지 확인한다.

    'No signal' 메시지는 그래픽 카드에서 영상 신호가 들어오지 않는다는 뜻이므로 그래픽 카드와 TFT-LCD를 연결하는 케이블이 빠졌을 가능성이 높다. 만약 케이블 연결 상태에도 문제가 없다면 그래픽 카드가 메인보드에 제대로 장착되어 있는지 확인해야 한다. 간혹 PC를 조립하거나 옮기는 과정에서 그래픽 카드가 슬롯에서 빠졌을 수도 있기 때문이다.

  • 궁금증 풀이 [7]
  • TFT-LCD를 윈도에서 인식하지 못해요!

    TFT-LCD를 PC에 연결한 다음 부팅했더니 윈도에서 디스플레이를 인식하지 못한다. 설정을 확인해 보니 '알 수 없는 모니터'라고 나오는데, 도대체 무엇이 잘못된 것인가?

  • 모니터에도 드라이버가 있다!

    모니터 드라이버는 반드시 설치해야 하는 것은 아니다. 하지만 모니터에 특별한 기능을 추가했거나 정확한 해상도를 사용하려면 설치하는 것이 좋다. 모니터 드라이버는 제조사의 홈페이지에서 다운로드한 뒤 윈도 제어판의 시스템 등록 정보에 설치하면 된다.

  • 궁금증 풀이 [8]
  • 화면 딱 맞게 설정하는 방법은?

    nVIDIA 칩셋의 그래픽 카드에 17인치 CRT 모니터를 쓰다가 15.1인치 TFT-LCD로 업그레이드했는데, 화면이 꽉 안 차고 잘 맞지 않는 것 같아 고민이다. 어떻게 해야 하나?

  • 윈도 제어판을 이용하면 쉽게 해결할 수 있다

    TFT-LCD는 다양한 모드에서 화면의 위치를 기억하도록 만들어져 있는데, 간혹 오래된 모니터 중에는 변경된 값을 기억하지 못하는 경우가 있다.

    이럴 때에는 그래픽 카드의 조정 제어판에 들어 있는 윈도의 디스플레이 등록 정보를 이용해 화면의 위치를 해상도별로 지정해 주면 된다.

  • Dacom MI와 HowPC와의 동의없이 본 기사의 일부 또는 전체의 무단전재를 절대 금합니다.

    글| 이수환 기자
    궁금증 풀이 [9]
  • TFT-LCD에 잔상이 나타난다

    TFT-LCD를 장만한 지 3년이 지났는데, 평상시에는 괜찮다가 액션 게임만 하면 잔상이 나타나서 화면을 보기에 불편하다.

  • 잔상은 액정의 특징 가운데 하나다

    TFT-LCD는 외부에서 전원이 들어오고 나갈 때 분자의 모양이 바뀌는 액정을 이용한 디스플레이다. 따라서 게임과 같이 화면이 빠른 속도로 변하는 프로그램을 실행하면 이전의 액정 모양이 남게 된다. 이것을 바로 '잔상'이라고 한다. 요즘 출시되는 TFT-LCD는 잔상 문제를 많이 해결해 사용하는 데 큰 지장은 없지만 출시된 지 오래된 제품인 경우에는 게임이나 동영상을 볼 때 잔상이 나타나기도 한다. 물론 이 경우에도 웹 서핑이나 워드프로세서 같은 프로그램에서는 별 문제가 없을 것이다.

  •  
    궁금증 풀이 [10]
  • 해상도가 높아지면 화면이 떨려요!

    윈도를 이용해 TFT-LCD의 해상도를 높였더니 화면이 심하게 떨린다. 이런 문제는 어떻게 해결해야 하나?

  • 해상도와 수직 주파수가 모니터 크기에 적당한지 체크한다

    해상도를 PC에 장착된 그래픽 카드나 TFT-LCD가 지원하는 것 이상으로 설정했을 때 나타나는 현상이다.

    TFT-LCD는 수직 주파수가 최소한 60Hz 이상은 되어야 화면 떨림이 없고 75Hz 이상은 되어야 눈에 피로를 주지 않는다. 일반 가정에서 많이 사용하는 15.1인치 TFT-LCD는 대개 1024×768의 해상도와 75Hz의 수직 주파수를 지원하는데, 이보다 해상도가 높아지면 수직 주파수가 낮아지면서 화면이 떨리는 현상이 나타나게 된다. 저가형 TFT-LCD인 경우에는 1024×768 이상의 고해상도를 지원하지 않는 경우도 있다. 화면 떨림 현상이 나타나면 수직 주파수가 최소한 75Hz 이상 나올 수 있도록 해상도를 조정해 주어야 한다.

    드문 경우이지만 그래픽 카드의 드라이버가 제대로 설치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도 이런 화면 떨림 현상이 나타날 수 있다. 이럴 때에는 그래픽 카드의 드라이버를 최신 버전으로 업그레이드하고 해상도를 다시 한 번 조정해야 한다.

  •  
    궁금증 풀이 [11]
  • 해상도가 높아지면 화면이 떨려요!

    윈도를 이용해 TFT-LCD의 해상도를 높였더니 화면이 심하게 떨린다. 이런 문제는 어떻게 해결해야 하나?

  • 해상도와 수직 주파수가 모니터 크기에 적당한지 체크한다

    해상도를 PC에 장착된 그래픽 카드나 TFT-LCD가 지원하는 것 이상으로 설정했을 때 나타나는 현상이다.

  •  
    궁금증 풀이 [12]
  • TFT-LCD 액정을 잘 관리하려면

    TFT-LCD 액정을 먼지나 이물질에게서 보호하려면 어떻게 해야 하나?

  • 액정 보호 필름을 붙이면 긁히지 않는다

    TFT-LCD 액정은 외부 충격이나 긁힘에 약하므로 액정 보호 필름을 사용하는 것이 좋다. 액정 보호 필름은 액정 외부에 설치하는 보안기의 일종으로, 전자상가나 인터넷 쇼핑몰 등지에서 쉽게 구할 수 있다. 다만 액정 보호 필름은 모니터의 크기나 용도를 고려해 구입해야 한다.

  •  
    궁금증 풀이 [13]
  • TFT-LCD의 수명은 어느 정도인가요?

    TFT-LCD는 사용하는 백 라이트 광원에 따라 수명이 달라진다고 들었다. 그렇다면 광원의 수명은 얼마나 되나?

  • TFT-LCD의 수명은 평균 4만∼5만 시간

    TFT-LCD 모니터에 사용되는 액정은 스스로 빛을 낼 수 없는 물질이라 '백 라이트'라는 광원을 달아야 화면을 제대로 볼 수 있다. 백 라이트는 얇은 막대로 만들어진 작은 형광등의 일종으로 수명은 약 4만∼5만 시간 정도이고, 이 수명이 다하면 더 이상 LCD 모니터를 사용할 수 없다. 결국 LCD 모니터에 들어가는 백 라이트가 LCD 모니터의 수명을 결정짓는다고 할 수 있다.

  •  
    궁금증 풀이 [14]
  • TFT-LCD는 어떻게 청소해야 할까?

    TFT-LCD는 CRT 모니터와 청소하는 방법이 다르다고 들었다. 구체적으로 어떻게 다른지 알고 싶다.

  • 전용 클리닝 도구로 꼼꼼히 청소해야

    TFT-LCD의 청소 방법이 크게 다른 것은 아니다. 다만 TFT-LCD는 충격이나 긁힘에 약하므로 세심하게 다뤄야 하는 것뿐이다. TFT-LCD를 청소할 때에는 우선 얇은 헝겊으로 달라붙어 있는 먼지를 조심스럽게 닦아낸 다음 닦기 힘든 먼지나 얼룩을 전용 클리닝 도구로 꼼꼼히 닦아주면 된다. 전용 클리닝 도구는 전자상가나 인터넷 쇼핑몰 등지에서 쉽게 구할 수 있다.

  •  
    궁금증 풀이 [15]
  • PC 2대를 TFT-LCD 1대에 한꺼번에 연결하려면?

    요즘 출시되는 TFT-LCD는 D-SUB와 DVI 단자를 모두 지원하기 때문에 이들을 활용하면 PC 2대를 연결해 듀얼 모니터 환경을 꾸밀 수도 있다. 이와 TFT-LCD를 구입했으면 단자를 낭비하지 말고 모두 활용해 보는 것도 좋겠다. 단 이 기능을 이용하려면 PC 2대가 D-SUB와 DVI 단자를 모두 지원해야 한다.

  • ◀ 1. 우선 자신이 사용하고 있는 TFT-LCD와 PC에 D-SUB와 DVI 단자가 모두 있는지 확인한다.
    ◀ 2. PC 한 대에 D-SUB 단자를 연결한다.
    ◀ 3. TFT-LCD의 D-SUB 단자에 케이블을 연결한다.
    ◀ 4. 다른 PC의 DVI 단자에 케이블을 연결한다.
    ◀ 5. TFT-LCD의 DVI 단자에 케이블을 연결한다.
    ◀ 6. 이제 모니터 OSD 버튼으로 D-SUB와 DVI 단자 입력을 선택하면 각 단자에 연결된 PC를 골라서 볼 수 있다.

    자료 펌)http://dr.simfile.chol.com/specialReview/view.php?seq=190



    반응형

    'Computing..' 카테고리의 다른 글

    ctfmon.exe 삭제 방법  (0) 2007.07.01
    질병 관련 사이트 모음  (0) 2007.06.28
    글꼴 보기 및 관리 "NexusFont"  (0) 2007.05.26
    Posted by 따뜻한 세상
    ,

     질병관련 사이트 안내 모음 

     학회/협회
      대한가정의학회  대한소아과학회  대한이식학회
      대한간암연구회  대한소화관운동학회  대한임상약리학회
      대한간학회  대한소화기내시경학회  대한자궁내막증학회
      대한감염학회  대한소화기학회  대한장연구학회
      대한결핵및호흡기학회  대한순환기학회  대한정맥마취학회
      대한고혈압학회  대한슬관절학회  대한정형외과학회
      대한골관절종양학회  대한신경과학회  대한진단검사의학회
      대한기생충학회  대한신경외과학회  대한척추외과학회
      대한내과학회  대한신경정신의학회  대한초음파의학회
      대한당뇨병학회  대한신장학회  대한피부과학회
      대한대장항문학회  대한안과학회  대한핵의학회
      대한마취과학회  대한알레르기학회  대한혈관외과학회
      대한방사선의학회  대한암학회  대한화학요법학회
      대한방사선종양학회  대한약리학회  대한흉부외과학회
      대한병리학회  대한약사회  산업미생물학회
      대한병원협회  대한외과학회  한국간담췌외과학회
      대한비만학회  대한외상학회  한국병원약사회
      대한산부인과학회  대한의사협회  한국생물공학회
      대한산업보건협회  대한의학유전학회  한국생화학회
      대한생리학회  대한의학회  한국항공우주의학회
      대한세포병리학회  대한이비인후과학회 
     대학/병원
      가천의과대학교  약학대학  이화여자대학교의료원
      길병원, 가천의과대학교  성균관대학교  동대문병원
      가톨릭대학교 중앙의료원  삼성의료원  목동병원
      성모병원  강북삼성병원  인제대학교
      성가병원  삼성서울병원  백병원, 인제대학교
      건국대학교  삼성제일병원  부산백병원
      건국대학교의료원  순천향대학교  상계백병원
      서울병원  순천향대학교병원  서울백병원
      충주병원  구미병원  인하대학교
      건양의과대학  서울병원  인하대학교병원
      건양병원  천안병원  전남대학교
      경북대학교  아주대학교  전남대학교병원
      경북대학교병원  연세대학교의과대학  전남대학교의과대학
      경상대학교  연세대학교의료원  전북대학교
      경상대학교병원  세브란스병원  조선대학교
      경희대학교  영동세브란스병원  조선대학교병원
      경희의료원  원주의과대학  충남대학교
      계명대학교  영남대학교  충북대학교
      동산의료원, 계명대학교  영남대학교의료원  한림대학교
      고려대학교  울산대학교  한림대학교의료원
      안암병원
      서울중앙병원  강남성심병원
      고신대학교  강릉병원  강동성심병원
      복음병원  울산대학교병원
      동산성심병원
      단국대학교병원  원광대학교  춘천성심병원
      동국대학교  원광대학교의료원  평촌성심병원
      동국대학교의료원  을지의과대학  한강성심병원
      서울대학교  을지대학병원  한양대학교
      서울대학교병원  노원을지병원 
     연구지원기관
      과학기술정책관리연구소(STEPI)  정보통신연구관리단(IITA)  서울대 도서관: 
        CD-(주제별): SCI
      한국과학재단(KOSEF)  농림기술관리센터  한국건설기술연구원(KICT)
      에너지자원기술개발지원센터
        (RaCER)
      한국생산기술연구원  의학연구정보센타(Medric)
      한국학술진흥재단
     기관/단체/연구소
      가톨릭골수이식센터  식품의약품안전청  의학도서관, 울산대학교
      가상뇌연구소  의약정보연구소, 숙명여자대학교  정보통신부
      과학기술부  아산생명과학연구소  첨단학술정보센터
      교육부  암연구소, 서울대학교  통계청
      국립보건원  여성의학연구소, 차병원  한국보건사회연구원
      기구학 및 생체역학 연구실  의료기기기술연구소, 연세대학교  한국보건의료관리연구원
      방사선종합연구소  의료정보연구실, 서울대학교병원  한국식품위생연구원
      보건복지부  의약정보전략연구소  한국신약개발연구조합
      보건연구정보센터  의약품연구정보센터, 한국과학재단  한국재활공학연구센터
      삼성생명과학연구소  의학도서관, 서울대학교  한국과학기술단체총연합회
      생체정보시스템공학연구실, 
        인하대학교
      의학도서관, 연세대학교 
     기관/단체/연구소
      Korea Pharm.net  Med Mark: Medical Bookmarks  전자도서관

    자료 펌) 대한 간학회(http://www.kasl.org/html/sub05_07.asp)



    반응형
    Posted by 따뜻한 세상
    ,

     글꼴 보기 및 관리 "NexusFont"


    개인 개발자인 노정훈님이 제작하신 폰트 보기 프로그램입니다. 정말 좋은 부분은요, 폰트를 설치하지 않고도 결과를 확인할 수 있다는 것입니다. 
    이전까지는 외산 프로그램인 font fitting room deluxe를 썼는데요, 쉐어웨어라 불편했는데..
    NexusFont 너무 좋으네요......

    개발자 노정훈님께 너무 감사드립니다.
    게다가 무료로.......

    프로그램 다운로드) http://xiles.net/
    프로그램 도움말) http://xiles.net/help/nexusfont/

    NexusFont 는 윈도에 설치되어있는 폰트들의 모양을 쉽게 볼 수 있도록 도와주는 프로그램입니다. 그래픽 작업을 할 경우 많은 폰트들 가운데 사용할 폰트를 골라야 할 경우 일일이 그래픽 프로그램에서 폰트들을 다 선택해본다는건 매우 힘든 일입니다. 앤티앨리어싱 처리된 모습도 볼 수 있어 그래픽 작업에 많은 도움이 됩니다. 설치되어있지 않은 글꼴도 미리 보고 설치할 수 있습니다.

    주요 기능

    1. 한글글꼴 지원
    대부분의 외산 글꼴 뷰어/관리 프로그램들이 한글을 제대로 지원하지 못하지만
    NexusFont는 거의 완벽하게 한글 폰트를 지원합니다. 

    2. 유니코드 지원
    유니코드로 프로그래밍되어 OS의 언어에 상관없이 사용이 가능하며, 입력 문장
    및 글꼴이름, 파일명 등이 다국어로 되어 있어도 처리 가능합니다.

    3. 쉬운 글꼴분류 및 관리
    글꼴 파일이 있는 폴더별로 또는 자주사용하는 그룹별로 나누어서 관리할 수 있고,
    각 그룹별로 쉽게 글꼴들을 볼 수 있습니다.

    4. 중복 글꼴 찾기
    여러 폴더 내에 같은 글꼴들을 검색하여 삭제할 수 있습니다.
    많은 글꼴을 관리하는 경우 중복된 글꼴이 여기저기 있는 경우가 있는데, 이런 경우
    쉽게 중복글꼴을 찾을 수 있습니다.

    5. 글꼴 파일명 글꼴명과 동일하게 변경하기
    글꼴 파일명을 일괄적으로 글꼴명과 동일하게 자동으로 변경해줍니다.

    6. 앤티앨리어싱(부드럽게 보기)
    앤티앨리어싱 처리된 글꼴 모양을 보여줌으로써 그래픽 작업시와 좀 더 비슷하게
    봄으로써 글꼴 선택을 쉽게 할 수 있습니다.

    7. 글꼴 설치/제거
    윈도우에 설치된 글꼴을 제거하거나, 새로 받거나 모아둔 글꼴을 설치하기 전에
    미리 보고 원하는 글꼴만 선택하여 설치할 수 있습니다.
    (글꼴 파일을 원하는 곳으로 복사하거나 원래 위치에 남겨둘지 선택하여 설치 가능합니다.)

    8. 인쇄
    글꼴들을 인쇄하여 보실 수 있습니다.

    9. 이미지로 저장
    글꼴 목록을 하나의 이미지 파일로 또는 각 글꼴별로 이미지 파일로 저장시킬 수 있습니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반응형
    Posted by 따뜻한 세상
    ,
    반응형
    Posted by 따뜻한 세상
    ,



    CopyPath-1.2.msi

    WoLoSoft CopyPath는 파일의 전체 경로를 클립보드에 복사해주는 프로그램입니다.
    프리웨어라 더 좋으네요..^^

    탐색기의 마우스 우측 쉘 메뉴에서 삽입되어 지는 프로그램으로 따로 실행파일이 만들어지지 않고 탐색기에서 파일을 마우스 우측 버튼으로 누르면 나오는 쉘 메뉴를 이용해서 기능을 사용할 수 있습니다.

    탐색기에서 원하는 파일을 선택한 후 마우스 우측 버튼을 누르면 Copy Path to Clipboard 메뉴가 나타나고 이 메뉴를 클릭한 후 적당한 곳에 붙여넣기를 하시면 파일의 전체 경로를 복사할 수 있습니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다운로드 사이트) http://www.wolosoft.com/en/copypath/


    반응형
    Posted by 따뜻한 세상
    ,

    자료출처 = http://blog.naver.com/swinter8

    저자 소개

    Dept. Computer science of Engineering

    Moon Jun Hyun

    email : imp@bravo.kwangju.ac.kr

    ps. 기고를 해주신 Moon Jun Hyun 님께 감사를 드립니다.

    UNIX의 역사
    • 1960년 대말 AT&T의 Bell 연구소와 MIT 대학 공동으로 Multics 운영체제 개발
    • 1969년 Bell 연구소 연구원 Thompson이 Ritchie의 도움으로 파일 유틸리티(cp, mv) 및 Shell 명령어 해석기 개발
    • Multics와 유사한 발음으로 UNIX(Brian이 제안)라 명명함
    • 1971년 Ritchie가 B를 기초로 프로그램 언어인 C 개발
    • 1973년까지 기존의 UNIX를 C로 재작성
    • 1970년대 Bell 연구소에서 대학에 UNIX를 저가로 판매
    • 이후 여러 연구소와 단체가 UNIX에 중요한 기능을 추가
    • HP사와 SUN, DEC 등의 회사가 UNIX 개발에 참여
    • 현재 PC 부터 Super-Computer까지 널리 보급됨
    목차
    • UNIX 소개
    • UNIX 기본
    • UNIX 활용
    • System Administration
    • Boot and Shutdown
    • UNIX File System Management
    • User and Group Management
    • Administration Commands
    • Installing Software
    • Backups and Restores
    • Network Management
    UNIX 소개
    • UNIX의 정의
      • 컴퓨터에서 프로그램을 실행시키고 자원을 관리하는 운영체제의 일종
        주로 대형 서버나 Workstation 에서 사용됨
      • System V계열과 BSD계열이 있음
      • PC 에서 사용하는 Linux역시 UNIX 계열의 OS임
    • UNIX의 특징
      • Multi-user : 여러 사용자가 사용 가능하다.
      • Multi-tasking : 사용자가 여러 프로그램을 동시 실행 가능하다.
      • Multi-choice : 다양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지원된다.
      • 이식성(Portability)이 좋다.
      • 컴퓨팅 환경의 확장이 용이하다.
    • UNIX의 역사
      • 1960년 대말 AT&T의 Bell 연구소와 MIT 대학 공동으로 Multics 운영체제 개발
      • 1969년 Bell 연구소 연구원 Thompson이 Ritchie의 도움으로 파일 유틸리티(cp, mv) 및 Shell 명령어 해석기 개발
      • Multics와 유사한 발음으로 UNIX(Brian이 제안)라 명명함
      • 1971년 Ritchie가 B를 기초로 프로그램 언어인 C 개발
      • 1973년까지 기존의 UNIX를 C로 재작성
      • 1970년대 Bell 연구소에서 대학에 UNIX를 저가로 판매
      • 이후 여러 연구소와 단체가 UNIX에 중요한 기능을 추가
      • HP사와 SUN, DEC 등의 회사가 UNIX 개발에 참여
      • 현재 PC 부터 Super-Computer까지 널리 보급됨
    UNIX의 기본 - login
    • Login
      • Consol이나 Terminal을 이용해서 UNIX Server에 접속하는 과정
      • UNIX가 Multi-user환경이기 때문에 각각의 사용자들의 정보를 보호하기 위함
    • login 과정
      • telnet <자신이 접속하고자 하는 서버 이름>
      • 예) telnet bravo
      • login: <사용자 계정>
      • 예) login : imp
      • Password: <사용자 계정 비밀번호>
      • 예) password : (활성화 되지 않음 )
    UNIX의 기본 - Shell
    • Shell
      • DOS의 command.com과 비슷한 역할
      • 프로그램으로 명령을 입력 받아 이를 해석하고 처리해 주는 역할을 수행
      • UNIX는 Multi-choice 환경으로 사용자가 선택 가능함
    • Shell의 종류
      • C Shell - 현재 가장 많이 사용됨
      • Bourne Shell - Linux의 기본 Shell
      • Korn Shell
      • Bourne again Shell
      • tcsh
    • 자신의 Shell 알아보기
      • ps -f
        • sh : Bourne Shell
        • csh : C Shell
        • ksh : Korn Shell
    • 사용자 환경 설정 파일(C Shell 인 경우)
      • .cshrc : DOS의 config.sys(여러 가지 초기화 명령)와 비슷함
      • .login : terminal setup 관련 내용이 들어있음
      • .profile : User만의 독특한 설정 파일
      • .logout : logout 할 때 행하고자 동작 명시
    UNIX의 기본 - 환경 설정
    • 기본적 .cshrc file 내용


    • 기본적 .login file과 .profile내용


    UNIX의 기본 - 기본 명령어
    • passwd (change login passwd)
      • 패스워드를 바꾸는 명령
      • 영문, 숫자를 섞어서 6~8자 내외
      • 첫번째로 숫자나 특수문자가 올 수 없음
    • exit, logout
      • 접속을 종료할 때 사용
    • whoami
      • 현재의 user name을 나타내 줌
    • who (who is logged in, what are they doing)
      • Username, 접속 방법, login time, 접속 IP Address 등
    • id
      • user id 와 user가 속한 group id를 알려줌
    • cal [month] [year]
      • % cal 12 1999 => 1999년 12월 달력을 보여줌
    • env
      • 자신의 설정된 환경 변수들을 보여줌
    • pwd
      • 현재 자신의 directory 를 보여줌
    • cd (change working directory)
      • % cd => user의 Home directory로 이동
      • % cd .. => 현재 directory의 상위 directory로 이동
      • % cd [directory 경로] => 정해진 directory로 이동
    • ls (list contents of directory)
      • 현재의 directory 내용을 보여줌(DOS의 dir 명령과 같다)
      • 예) % ls [-option] [filename]
      • option
        • -a : 숨겨진 파일(‘.’으로 시작하는 파일)까지 보여줌
        • -l : file에 대한 자세한 내용을 보여줌

        • -R : 하위 directory의 내용까지 보여줌
        • root directory에서는 사용하지 말 것.
        • -s : file의 대략적인 크기를 보여줌
        • -t : 최근의 사용순서대로 정렬하여 보여줌
        • (최근에 사용한 file을 찾을 때)
      • option의 중복 사용 가능
        • 예) % ls -alr
        • 숨겨진 file 까지 하위 directory의 내용까지 자세하게 보여줌
    • date (date) : 시스템의 날짜와 시간의 표시
      • 형식 date [MMDDhhmm[YY]]
        • date [+format]
      • 기능
        • 시스템의 현재 시간과 날짜를 표시한다. Superuser는 시간과
          날짜를 변경시킬 수 있다. +format을 사용하여 date의 출력 형식을 명시할 수 있다.
      • option
        • a abbreviated weekday-sun to Sat
        • h abbreviated month-Jan to Dec
        • D date in mm/dd/yy format
        • J Julian date (001-366)
        • r time in A.M/P.M notation
        • T time in HH:MM:SS format
      • 예) % date
        • Weds May 24 14:23:45 KST 1995
        • % date 0524156
        • Weds May 24 15:36:00 KST 1995
        • % date “ +Date = %D Time = %T”
        • Date = 05/26/95 Time = 13:12:07
    • time (time) : 커맨드의 실행시간 표시
      • 형식 time command
      • 기능 command를 실행하고 아래와 같은 실행 시간을 표시함
        • real 전체 실행시간의 Total
        • user CPU의 활동 시간
        • sys 커널의 활동 시간
      • 예) % time cc average .c
        • 4.3 real 1.2 user 1.4 sys
    • touch (change file access and modification times)
      • file의 최종 수정시간을 변경시켜줌
      • 예) % touch [filename]
        • 만약 file name에 해당하는 file이 없는 경우 file 생성
    • du (disk usage)
      • 현 directory의 하위 directory들이 사용하고 있는 디스크 용량을 보여줌
      • option
        • -s : 사용 총량만을 알려줌
        • -a : 모든 file의 사용량을 알려줌
    • df (disk free)
      • 디스크의 총량과 사용량 남은 량 들을 알려줌
      • -k option 사용 시 킬로바이트 단위로 보여줌
    • chmod (change mode) : 파일 액세스 모드의 변경
      • 형식 chmod mode files(s)
      • 기능 파일의 사용 허가권(모드)를 변경한다.
      • option


      • access permission
        • r read
        • w write
        • x execute
        • l set locking privilege
        • s set user or group ID mode
        • t set sticky bit(save text) mode
        • u user’s current permission
        • g group’s current permission
        • o other’s current permission
      • 예) chmod 644 test
        • chmod 755 test
        • chmod a+x test
        • chmod o-w test
    • umask (user mask) : 파일 생성시 허가권 요청에 대한 마스크 설정
      • 형식 umank mask
      • 기능 파일을 생성할 때 사용자가 요청하는 허가권에 대하여 시스템이 제한을 가하는 make값을 설정한다. 인수를 정하지 않으면 파일 생성 허가권의 현재 값을 표시한다.
      • option & mask
        • 0 not to restrict any permission
        • 1 to restrict execute permission
        • 2 to restrict write permission
        • 4 to restrict read permission
      • 예)
        • umask 22 test
        • umake 000 test
    • chown (change file ownership)
      • File의 소유권을 다른 사람에게 넘겨주는 명령
      • 예) % chown [소유자] [file name]
    • chgrp (change file group ownership)
      • File의 소유권을 다른 그룹으로 넘겨주는 명령
      • 예) % chgrp [group] [filename or directory]
    • cp (copy files)
      • File을 복사하는 명령
      • 예) % cp [복사할 file name] [복사될 경로]
      • cp 명령은 Meta 문자(‘*’, ‘-’)를 사용 가능함
      • 예) % cp test* ../
    • cat (concatenate and display files)
    • File의 내용을 보여주는 명령.
      • 별로 크기가 크지 않은 text file을 볼 때 사용
      • 예) % cat test.file
      • option
        • % cat -s test.file : 공백라인을 삭제하고 보여줌
        • % cat -n test.file : 화면에 line number를 붙여줌
    • mv (move file)
      • File을 옮기는 명령, 사용법은 cp와 같음.
      • Mv 명령으로 file명을 바꿀 수 있음
      • 예) % mv test.file test.test
    • rm (remove)
      • File을 지우는 명령
      • 예) % rm test*
      • rm -r option은 아주 강력하고도 위험한 명령임.
    • mkdir (make directory)
      • 새로운 directory를 만드는 명령
    • rmdir (remove directory)
      • Directory를 삭제하는 명령
    • chsh (change shell)
      • 자신의 shell을 바꾸는 명령. 이 명령이 없는 경우도 있음.
      • ‘sh’는 bourn shell, ‘ksh’은 korn shell, ‘csh’ 은 C shell로 바꿈
    • file (determine file type)
      • File의 종류가 무엇인지를 알려줍니다.
      • 예) % file [filename]
    • head (display first few lines of files)
      • File의 처음 몇 개의 행을 보여주는 명령
      • 예) % head [-n] [filename] -> ‘n’개의 line을 보여줌
    • tail (deliver the last part of a file)
      • File의 끝부터 몇 개의 행을 보여주는 명령
      • 예) % tail [-n] [filename]
    • cat (concatenate and display files)
      • File의 내용을 보여주는 명령.
      • 별로 크기가 크지 않은 text file을 볼 때 사용
      • 예) % cat test.file
      • option
        • % cat -s test.file : 공백라인을 삭제하고 보여줌
        • % cat -n test.file : 화면에 line number를 붙여줌
    • more (browse or page through a text file)
      • File의 내용을 볼 때 사용하는 명령. File의 내용을 한 화면씩 보여줌. 스페이스바를 누르면 다음 화면이 스크롤 됨.
      • 예) % more [option] [filename]
      • option
        • -s : 공백 line을 제거하고 보여줌
        • +n : ‘n’ line부터 보여줌
        • +/문자열 : 그 문자열이 있는 곳부터 보여줌
      • q : 종료
      • v : 현재 line에서 vi 편집기를 시작함
      • = : 현재의 line number를 알려줌
      • Ctrl-B : 한 화면 전으로 스크롤 됨
    • pg (files perusal filter for CRTs)
      • more와 비슷한 기능을 제공. 이전 화면을 볼 수 있는 기능
      • Enter키를 누르면 다음 화면을 보여줌
      • 예) % pg [option] [filename]
      • option
        • -s : 공벽 line 제거
        • +n : n번 line부터 보여줌
        • +/문자열 : 그 문자열이 있는 위치부터 보여줌
        • nl : n번 line을 보여줌
        • +nl : 현재부터 n행 후의 내용을 보여줌
        • -nl : n행 이전의 내용을 보여줌
        • /문자열 : 문자열 검색
        • // : 반복되는 패턴 검색
        • . : 현재 화면 재 출력
        • v : vi 편집기 실행
    UNIX의 기본 - redirection & pipe
    • redirection
      • 출력 방향을 변경시킴
    • pipe
      • 한번에 여러가지 명령을 처리할수 있음
    • 출력 방향 변경 (‘>’)
      • 우선 file을 생성. ‘%’은 프롬프트임.
      • % touch test : 빈 file 생성
      • % cat test : 아무것도 나타나지 않음
      • % ls -al > test : 화면상엔 변화가 없음
      • % cat test : --
    • uniq (report or filter out repeated lines in a file)
      • 중복된 line, 공백 들을 제거하고 출력하는 명령
      • option
        • -d : 반복되는 line만 출력
        • -c : 중복된 횟수만 출력
        • -u : 반복되지 않은 line만 출력
        • % cat >> test
        • Hello
        • Enter
        • Enter
        • ^Ctrl-D
        • % cat test
        • % uniq test
    • 출력 방향 변경 추가 (‘>>’)
      • % ls -al >> test : 역시 화면 변화 없음
      • % cat test : test file에 내용 추가됨
      • % rm test* : test로 시작하는 모든 파일 지움
    • cat을 이용 edit하는 방법
      • % cat > test
      • 이것은 test입니다. : 문자열 입력후 enter
      • ^Ctrl-D
      • % cat test : ??
    • cat을 이용한 문자열 추가 방법
      • % cat >> test
      • 이번엔 추가입니다. : 문자열 입력후 enter
      • ^Ctrl-D
      • % cat test : 내용이 추가됨
    • 입력 방향 변경 (‘<‘)
    • wc(display a count of lines, words and characters in a file)
      File안의 line수와 단어 수 그리고 문자의 수를 세를 명령
      • option : -l : line 수 -w : 단어의수 -c : 문자의 수
        • % wc test
        • % wc < test
        • % cat test | wc : 모든 line, 단어, 문자의 수가 출력됨
    • Pipe : 파이프
      • Pipe는 명령의 출력을 다른 명령으로 연결할 때에 사용됨
        • % who > wc -l
        • % ls -al
        • % who | wc -l
    • uniq (report or filter out repeated lines in a file)
      • 중복된 line, 공백 들을 제거하고 출력하는 명령
      • option
        • -d : 반복되는 line만 출력
        • -c : 중복된 횟수만 출력
        • -u : 반복되지 않은 line만 출력
        • % cat >> test

          Hello
          Enter
          Enter
          ^Ctrl-D

        • % cat test
        • % uniq test
    UNIX의 기본 - Meta Characters
    • Meta Charcters
    • 다른 문자와는 다르게 독립적으로 다른 의미를 가지고 사용되는 문자
      대표적 Meta Charcters
      • * ? [ ] : Wild card charcters
      • > >> < | : Redirection charcters
      • & : Background job charcters
      • $ : Shell 변수의 값을 이용할 때
      • % ls t* : ‘t’로 시작되는 모든 문자와 대체됨
      • % ls t? : ‘t’로 시작되는 두문자와 대체됨( ?가 하나의 문자 )
      • [a-r] : a에서 r까지의 문자와 대체됨
      • % game & : game을 백그라운드로 실행함
      • % echo $path : 환경변수 path의 값을 보여줌
    UNIX의 기본 - 추가 명령어
    • man (find and display reference manual pages)
      • 각 명령어에 대한 online 도움말을 제공함
      • 예) man [명령어]
        • 이 명령은 자동으로 ‘more’명령을 수행한다.
    • sort (sort, merge, or sequence check text file)
      • 정보를 지정한 방식으로 정렬해 주는 명령
      • 예) sort [filename]
      • option
        • -d : 사전식 정렬
        • -f : 대문자를 소문자로 간주
        • -n : 숫자로 정렬
        • -r : 역순 정렬
        • +m : m번째 필드로 정렬한다.
      • % sort test
      • % cat test
      • % ls -al | sort -f : 알파벳순 정렬
      • % ls -s |sort -n : 크기순 정렬
      • ls -s | sort -n > list : list라는 정렬된 file 생성
    • spell
      • 철자 검사를 하는 명령(대부분 소형 시스템에서는 사용 안함)
    • nl (line numbering filter)
      • line 번호를 붙여주는 명령 = cat -n 과 같은 기능
      • 예) nl [filename]
        • % nl test
        • %cat -n test : 두 명령이 같은 결과를 냄
        • % ls -al | nl
      • option
        • -ba : 공백에도 번호를 붙임
        • -bp문자 : 문자가 있는 line만 번호를 붙임
        • -s문자 : 번호와 line을 지정한 문자로 분리해 줌
        • % ls -al > test
        • % echo ” ” >> test
        • % echo ” ” >> test
        • % ls -al >> test
        • % nl test
        • % nl -ba test
        • % nl -bptest test
        • % nl test -s번째
    • banner (make posters)
      • 입력한 문자를 banner style로 찍어준다.
      • 예) % banner Good-morning!
    • bc (arbitrary precision arithmetic laguage)
      • UNIX에서 제공하는 간단한 계산기(4칙 연산)
      • 예) % bc

        % bc
        1+2+3+4+5+6+7+8+9 <enter>
        45 : 정답
        종료는 ^Ctrl-D 입력

    UNIX의 기본 - 압축 명령어
    • tar (crete tape archives, and add or extract files)
      • File을 묶어주는 명령(압축은 하지 않음)
      • File을 묶을 때
        • % tar cvf [만들 filename.tar] [압축하고자 하는 대상]
      • File을 풀 때
        • % tar xvf [풀고자 하는 filename] [풀어놀 ditectory]
      • File을 풀지 않고 내용만 보고자 할 때
        • % tar tvf [보고자 하는 filename]
    • compress
      • File 압축 명령
      • 예) % compress [filename] : filename.Z가 생성됨
        • % compress temp.tar : temp.tar.Z라는 file이 생성됨
      • option
        • -v : 압축률을 보여줌
        • 예) % compress -v temp.tar
    • uncompress
      • File 압축 해제 명령
      • 예) uncompress [압축된 filename] : 원래의 file이 됨.
    • find (find files)
      • 찾고자 하는 file의 위치를 알려주는 명령
      • 예) find [path] [-option] [pattern]
      • option
        • -atime [n] : file이 n일 전에 touch(접근)되었으면 ‘true’
        • -ctime [n] : file이 n일 전에 생성되었으면 ‘true’
        • -exec [command] : 명령을 실행
        • -mtime [n] : file이 n일 전에 수정되었으면 ‘true’
        • -name [pattern] : 패턴에 맞는 file명이면 ‘true’
        • -type [file 종류] : file이 종류가 맞으면 ‘true’
        • ‘d’ : directory, ‘f’ : file, ‘l’ : link
        • -user [name] : file의 사용자가 name이면 ‘true’
      • 예) % find . -name “*.c” : 현재 디렉토리 밑에 .c로 끝나는 file 검색
        % find /usr1 -user “imp” : file의 소유자가 imp인 모든 file 검색
    UNIX의 기본 - 정보 검색 명령
    • grep (search a file for a pattern)
      • File 내에서 정보를 검색하는 명령
      • 예) % grep [flag] [pattern] [filename]
      • option
        • -c : 일치되는 라인의 수만을 출력
        • -i : 패턴에서 대소문자 구별 무시
        • -l : 패턴에 일치하는 file의 filename만 출력
        • -n : line 번호 포함
      • 검색의 예
        • % grep imp /etc/passwd : /etc/passwd file에서 imp라는 문자를 검색
        • % grep csh /etc/passwd | wc -l
          • /etc/passwd file에서 C Shell을 쓰는 사용자수 검색
    • echo (echo argument)
      • 입력된 명령을 반향(반복)한다.
      • 예) % echo [문자열]
        • % echo * : ls와 같은 기능을 함. ‘*’는 임의의 문자를 의미
        • % echo ? : ls ? 와 같음 ‘?’는 한 문자를 의미
        • % echo t* : t로 시작하는 모든 문자열
    • << (hear current)
      • <<는 >>와 같은 흐름 재지정 명령(Redirection)이다.
      • <<는 입력을 모사(simulate)하는데 쓰인다.
      • 사용 예
        • % cat -n << endtest > myenv : text의 마지막에 endtext를 입력

          my Home Directory is $home
          my Path is $path
          current Directory is $cwd
          endtext

        • % cat myenv
    • sed (stream editor)
      • sed는 파이프라인의 정보의 흐름을 편집하는 명령이다.
      • 예) sed ‘s/피대체어/대체어/플래그’
      • 대표적인 플래그는
        • g : line의 모든 패턴을 대체함. ‘g’를 쓰지 않으면 한 line에서 하나만을 대체한다.
        • ‘;’ : 여러 sed명령을 함께 실행할 수 있다.
        • % who : 이 화면 출력과 다음의 화면 출력을 비교해 보시오.
        • % who | sed ‘s/pts/Device/’
        • % more /etc/passwd
        • % more /etc/passwd | sed ‘s/:/-/g
    • awk (pattern scanning and processing language)
      • 단어 중심으로 text를 분석하는 명령. UNIX에서 가장 강력한 filter중 하나
      • awk는 입력되는 정보를 필드로 나누어 받아들입니다. 필드는 ‘$n’으로 구분함
      • 예) % awk ‘[command]’ : 가장 일반적 명령은 print임
        • % awk ‘[command]’ [filename]
        • % who | awk ‘{print $1}’
        • % who | awk ‘{print “ user ” $1 “ is on terminal ” $2}’
      • Flag
        • -f : 명령의 세부 사항을 file로부터 읽음
        • -F문자 : 입력되는 정보의 필드구분자로서 ‘문자’를 쓴다는 것임
        • % awk -F : ‘{print $7}’/etc/passwd | sort | uniq -c : -c는 중복된 수
      • $0는 line전체를 가르킴
      • 사용 가능한 특수문자
        • “\t” : tab
        • “\n” : 개행 문자
        • 예) % ls -lF | awk ‘{print $5 “\t” $9}’
      • awk 프로그램은 language처럼 변수의 사용이 가능함
        • % ls -l | awk ‘{total = total+$5; print total “\t” $9}’
        • % ls -l | awk ‘{total += $5; print total “\t” $9}’
      • Awk에서 사용되는 유용한 변수
        • NF : number of filed의 뜻으로 마지막 필드의 수를 알 수 있음
        • NR : ordinal number the current record의 뜻으로 행의 수와 같음
        • % awk -F ‘{print $NF}’ /etc/passwd | sort | uniq -c
        • % ls -l | awk ‘{print NR “:” $0}’
    • tee (replicate the standard output)
      • 정보의 흐름을 복사하는 명령. 정보의 흐름을 둘로 쪼개는 것
      • option
        • -a : file에 덮어쓰지 않고 첨가하라는 명령
        • % who | tee who.out : 화면에 who 의 출력도 나오고 who.out이란 file에 출력의 내용이 저장됨
      • 와일드 카드 ‘[ ]’ 를 써서 문자의 영역 지정 가능
        • % ls -l a* b* c* d*
        • % ls -l [abcd]*
        • % ls -l [a-d]*
        • % ls -l [d-f m .]* : d에서 f, m, 도는 ‘.’로 시작하는 file 검색
    • whereis (location the binary, source, and manual page file for a command)
      • 시스템 경로상의 어디에 위치하는가를 알려주는 명령
      • 예) whereis [찾을 filename]
        • % whereis mkdir
        • mkdir: /usr/bin/mkdir /usr/man/man1/mkdir.1 /usr/man/man2/mkdir.2
    UNIX의 기본 - 작업 제어 명령
    • Process
      • UNIX에서 실행 중인 모든 프로그램
      • UNIX는 여러 개의 Process가 동시에 수행 가능함
      • OS차원의 Process scheduling을 지원함
      • 각 Process는 Process ID(PID)를 가지고 있고, 또 상태를 가지고 있음
      • UNIX의 Process는 계층적 구조를 가지고 있음
      • 현재 사용되는 있는 Process는 Foreground라고 하고 잠시 중단되거나 뒤편으로 넘겨논 상태
      • 의 모드를 Background라고 함
      • 예) % man fg : fg에 대한 매뉴얼 페이지를 보여주는 명령
        Ctrl-Z : 작업 중단
        % jobs : 현재의 백그라운드 작업 내용을 보여주는 명령
        [1] +중단됨(사용자) man fg
        % fg : 다시 Foreground로 작업이 넘어옴
      • ^Ctrl-Z를 누름으로써 작업을 백그라운드로 전환할 수 있다.
      • jobs명령으로 작업의 내용을 볼 수 있음
      • fg명령으로 다시 Foreground로 다시 작업을 전환할 수 있음
      • 사용자의 입력을 요하거나 화면에 출력을 해야 하는 Process들은 Background에서는 실행이 중지됨
      • 사용자의 입력이 필요 없는 경우나 잠시 실행을 중지시킬 때 Background로 Process를 실행시켜야 함
      • Background에서 중지되어 있는 명령 Background에서 실행시키려면 bg명령을 줌
      • 프로그램을 Background로 바로 보낼 때는 명령의 끝에 ‘&’를 줌
      • 예) % find / -name “*text*” > test.bg & : text라는 문자열이 들어간 모든 file을 찾아 test.bg에 넣는다.
    • fg
      • Background의 Process를 Foreground로 실행함
      • 예) % fg %[작업ID] : 작업 ID는 jobs를 실행했을 때 제일 앞에 나오는 수
    • bg
      • Background의 중지된 Process를 실행시킴
      • 예) % bg %[작업ID]
    • jobs
      • Background의 작업들의 상태를 보여줌
    • ps (report process stastus)
      • Process의 상태를 보여주는 명령
      • option
        • -a : 현재의 터미널과 연관된 모든 Process를 보여줌
        • -A : 현재 시스템의 모든 Process를 보여줌
        • -e : 현재 실행중인 모든 Process를 보여줌
        • -l : 자세한 Process의 정보를 보여줌
    • kill (terminate or signal processes)
      • Process를 강제 종료시키는 명령
      • 예) % kill [-signal] [PID] [&JOB ID]
      • signal
        • -l : signal의 목록 제공
        • -9 : 무조건 종료시키는 강력한 명령
        • 예) % man ps &

          % ps
          % jobs
          % kill [PID] or [%JOBID]
          % ps
          % jobs

    UNIX의 활용 - VI Editor
    • VI
      • UNIX에서 주로 사용하는 화면지향 편집기
    • Terminal 설정
      • % vi 라고 입력했을 때 에러(error)가 나는 경우
      • csh(C Shell) : .login file에 setenv TERM vt100
      • sh(Bourne Shell) : .profile file에 TERM=vt100; export TERM
    • Mode
      • 명령 모드 : 명령을 입력할 수 있는 모드
      • 입력 모드 : ‘I’를 입력하여 입력이 가능한 모드
    • vi를 이용한 문서 작성
      • % vi [작성할 file name]
    • 커서의 이동
      • 문자 단위의 이동
        • 대부분의 터미널에서는 화살표키로 이동 가능
        • 만약 화살표카가 지원되지 않는 경우는 다음의 키를 이용


      • 줄단위의 이동
        • n : 현재 행으로부터 n번째 행으로 이동
        • + : 다음 행의 처음으로 이동
        • - : 이전 행의 처음으로 이동
      • 단어, 문장 절 단위이동
        • f 문자 : 다음에 나타나는 “문자”로 이동
        • F 문자 : 이전에 나타나는 “문자”로 이동
        • ( : 문장의 처음으로 이동
        • ) : 문장의 끝으로 이동
        • ; : 같은 방향으로 다음 “문자”로 이동
        • { : 커서가 인접한 패러그래프의 시작위치로 이동
        • } : 커서가 인접한 이전 패러그래프의 시작위치로 이동
      • 화면 단위 이동
        • ^B : 이전 화면으로 이동
        • ^F : 다음 화면으로 이동
        • ^U : 반화면 앞으로 이동
        • ^D : 반화면 뒤로 이동
        • z :커서의 위치를 화면의 Top으로 스크롤
        • z. : 커서의 위치를 화면의 중앙으로 스크롤
        • z- : 커서의 위치를 화면의 bottom으로 스크롤
        • ^L : 화면의 재 출력
    • 삽입과 지우기, 복구, 교체
      • 삽입
        • i : 현재 커서의 위치부터 삽입
        • a : 현재 커서의 위치 다음부터 추가 시작
        • A : 현재 줄의 마지막에 추가 시작
        • I : 현재 줄의 처음에 추가 시작
        • o : 현재 라인의 아래에 새로운 라인을 열어준다.
        • O : 현재 라인의 위에 새로운 라인을 열어준다.
      • 지우기
        • x : 커서 위치의 한 문자를 지운다.
        • X : 커서 이전의 한 문자를 지운다.
        • dd : 현재의 행을 지운다.
        • ndd : n개의 라인을 지운다.
        • dG : 현재 행부터 file의 끝까지 지운다
        • d0(숫자 0) : 행의 시작부터 현재 앞 문자까지 지운다.
        • d1G : 현재 행부터 file의 시작까지 지운다.
        • dnG : 현재 행에서 n번째까지 지운다.
      • 복구
        • p : 버퍼의 내용을 현재 줄 이전에 복구한다.
        • P : 버퍼의 내용을 현재 줄 다음에 복구한다.
        • VI -r [작업하던 file name] : 시스템이 갑자기 꺼졌을 때 복구 명령
      • 교체
        • cw : 현재 위치에서 단어 교체
        • cfc : 현재 위치에서 'c' 문자까지 변경
        • ' . ' : VI에서 마지막 명령을 반복하라는 뜻이다.
    • 검색 치환
      • 검색
        • /문자열 : 문자열을 앞으로 검색한다.
        • ?문자열 : 문자열을 뒤로 검색한다.
      • 치환
        • [범위]s/old/new/[cgi] : old를 new로 치환해 준다.
        • [범위] : 숫자, $, .(현재 위치)등을 지정한다.
        • [cgi] : c는 변경시 변경여부를 묻는 플래그
        • g는 한 줄의 모든 것을 변경하는 것이고 I 는 검색시 대소문자를 구분하지 않는다.
        • 예) 10,$s/old/new/g : 10줄에서 파일의 끝까지 수행

          g/foobar/s/bar/baz/g : 전체 file에서 “foobar”를 찾아서 “foobar” 중 bar를 baz로 치환한다.

    • 블록 명령
      • 블록을 file에 저장, 첨가
        • 명령모드 ":" 프롬프트 상에서
        • : 10,20w [file name] : 블록을 file에 저장
        • : 10,20w >> [file name] : 블록을 file에 추가
      • 블록 읽어 오기
        • : 10,20r [file name] : 10에서 20까지에 file을 읽어 현재 줄에 삽입
      • 블록 자르기
        • 여러분이 수정을 하거나 삭제를 하면 버퍼에 그 내용을 복사를 합니다. 여기서 필요한 부분을 버퍼에 복사하는 것을 yank 라 합니다. 이 내용을 나중에 다시 불러와서 사용할 수 있습니다.
        • buffer에도 이름을 부여하여 블록을 저장할 수 있습니다. ( " 사용)
        • "name5dd : 현재 줄에서 5줄을 삭제하고 name으로(여러분이 부여한) 버퍼에 기록
      • 블록 복사
        • yw : 한 단어 버퍼에 기록
        • y$ : 줄의 끝까지 기록
        • yy : 현재 줄을 버퍼에 기록
        • 역시 name을 주어 buffer에 기록 할 수 있다.
      • 블록 붙이기
        • 커서를 원하는 곳으로 이동한 후
        • p : 현재 커서 위치 오른쪽에 추가한다.
        • P : 현재 커서 위치 왼쪽에 추가한다.
        • namep : buffer에 있는 name의 블록을 현재 위치에 추가
      • 다른 file 편집
        • % vi file file file file ......
        • 다른 file로 이동할 때는 : 프롬프트 상에서 :n 이라 입력한다.
        • : shell 이라 치면 VI를 종료하지 않고 shell 화면으로 나갈 수 있다.
        • 다시 VI로 이동할 때는 exit라 입력한다.
    • VI 환경 설정
      • VI에도 환경을 설정할 수 있습니다.
      • Vi 상태에서 :set all을 입력하면 현재 사용중인 VI의 옵션 지정상태를 볼 수 있습니다.
      • 이러한 옵션은 여러분의 HOME DIRECTORY에 .exrc란 file에 지정하지 않으면 디폴트값을 사용합니다.
      • 다음은 현재 저자의 .exrc 의 내용입니다.


    • VI 중요한 옵션

      옵션

      약자

      Default Value

      의미

      autoindent ai noai 자동 들여쓰기, 즉 바로 전의 행과 시작을 같이함
      ignorecase ic noic 탐색에 있어 대소문자를 구별하지 않음
      magic   magic * [ ~ 등을 탐색 또는 정규 표현식의 와일드 카드로 또는 메타문자로 사용
      numver nu nonu 에디터 각 행에 행번호가 매겨짐
      redraw   noredraw 각 문자를 항상 알맞은 위치에 나타내 줌
      noredraw은 1200보울 이하의 느린 터미널에 쓰임
      tabstap ts ts=8 Tab키 또는 Ctrl-I에 대응되는 공백의 개수 저장
      wrapscan ws ws / 또는 ? 연산자로 탐색을 하는 경우 사용됨
      wrapmargin wm ws=0 오른쪽 여백의 크기를지정
    UNIX의 활용 - 자신의 환경 만들기
    • History
      • C shell 과 Korn shell은 여러분이 입력함에 따라 명령표를 만들어내고 각각에 명령 번호를 지정한다.
      • C shell : C shell은 default로 지난번 로그인의 마지막 명령만을 기억하고 있다.
        • 예) & histrory
      • 명령들의 목록을 작성하기 위해서는 set history=n 이라는 환경을 설정해야 한다.
        • 예) % set history=50 : 50개의 이전 명령 기억(화면에 변화 없음)
      • % set
      • 항상 로그인 했을 때 이 history 기능을 사용하려면
        • 환경 설정 file .cshrc에 set history=50 이란 내용을 추가
    • C Shell의 history 명령 사용법

      명령

      기능

      !! 이전의 명령 반복
      !$ 이전 명령의 마지막 단어를 반복
      !* 이전의 명령의 첫번째 단어를 제외한 모든 단어를 반복
      ^a^b 이전 명령에서 a를 b로 대체
      !n History 목록에서 번호 n의 명령을 반복
    • Alias
      • 축약어. 긴 명령을 alias명령을 이용하여 쉽게 타이핑 할 수 있음
      • 이 축약어 역시 여러분이 계속 사용하고 싶다면 .cshrc file 안에 넣어 두면 됩니다.
      • 사용법 : alias [새로운 alias명] [축약할 명령어]
        • 예) DOS명령어 dir를 쳐서 ls -l 의 출력이 나타나게 하는 예제

          % alias : 현재 자신의 alias 상황을 보여줌
          % alias dir ‘ls -l’
          % dir

    • Shell 변수
      • shell에는 각각의 shell이 사용하는 shell 변수가 있음
      • C shell에는 두 가지 종류의 shell 변수가 있습니다.
        • 일반 shell 변수 : set 명령을 사용하여 생성하고 새로운 shell(서브 shell)을 시작하면 인식할 수 없음
        • 환경 shell 변수 : setenv 명령을 사용하여 생성하고 새로운 shell(서브 shell)에서도 인식가능함
      • 일반 변수는 프롬프트 상에서 set 명령을 그리고 환경 shell 변수는 setenv 명령을 내리면 알 수 있습니다.
      • 그리고 shell 변수명을 지정할 때 일반 shell 변수는 알파벳 소문자를 그리고 환경 shell 변수명을 지정할 때는 대문자를 사용하는 것이 BSD 계열의 Unix의 전통이다
      • 환경 shell 변수는 서브 shell에서도 인식이 되므로 보통 .login file에 저장합니다.
      • 환경 변수 값 알아보기
        • % echo $변수 name
      • 일반 shell 변수 값 지정
        • % set 변수명=값
      • 보통 값을 지정할 때 "="기호 사이에 빈칸이 포함되어서는 안되나 ' 기호나 " 기호를 사용하면 가능하다.
      • 환경 shell 변수 값 지정
        • % setenv 변수명 값 : "=" 기호를 사용하지 않는다.
      • shell 변수 제거
        • % unset 변수명
        • % unsetenv 변수명
    • Default Shell 변수
      변수 설명
      HOME 사용자의 홈 디렉토리. 아무런 디렉토리 지정없이 cd명령을 수행했을 때 이동되는 디렉토리
      SHELL 사용자가 사용하는 Shell. VI같은 프로그램에서 Shell로 잠시 빠져 나갈 때 생성하는 새로운 Shell이 바로 이 SHELL이다.
      TERM 터미널에 관련된 값. DEC사의 Visual Terminal Model 100이 표준임
      USER UID와 계정이름을 확인할 때 사용하는 사용자 이름
      MAIL 편지가 Default로 들어가게 되는 우편함의 위치
      LONGNAME USER의 Full Name
      PATH 사용자가 명령을 입력했을 때 검색할 디렉토리와 순서 정의
      NAME 사용자의 전체이름. 전자우편과 인쇄용 프로그램들은 사용자의 전체이름이 필요할 때가 있음. 이 때 이 정보가 사용됨
    • Shell Script
      • Unix 표준 명령어를 조합하여 새로운 명령어를 만들 수 있도록 shell의 기능을 활용할 수 있음
      • shell은 Unix 프로그램과 마찬가지로 file로부터 명령을 입력받을 수 있다. 이런 Unix 명령들로 구성된 file을 Shell Script라 함.
      • shell script는 Unix의 명령어들을 기록한 파일로 이루어진다.
      • shell script는 sh 'file name' 으로 실행된다.
      • shell script가 기록된 file을 Unix 명령어처럼 직접 실행할 수 있도록 하려면 chmod 명령으로 실행 권한을 부여하면 된다.
      • C shell은 sh(bourn shell)의 script도 실행할 수 있고 C shell의 script 언어를 이용한 script 명령을 실행할 수 있다.
      • Shell script 예제
        • 다음을 입력한 file을 만들고 chmod 명령으로 실행권한을 부여하여 실행시켜보십시오.


        • .cshrc에 다음의 내용을 적어주면


        • 파일 이름의 전체를 입력하지 않아도 인식가능한 곳까지만 타이핑해도 shell 자체에서 file name을 결정해 준다.
    UNIX의 활용 - Communication
    • tty : 어떤 디바이스를 통해 연결되었는가를 알기 위해서 사용.
      • tty 디바이스는 하나의 Unix file 이다.
    • Write
      • 다른 사람(같은 서버 사용자)과 메시지를 주고받을 수 있도록 명령입니다.
      • 예) write [응답할 사용자 ID]
        • 만약 당신이 write imp 이라고 했다면 imp 사용자의 화면에는 다음의 내용이 표시된다.


        • 이때 통신 예의는 imp가 응답하기 전까지는 먼저 메시지를 보내서는 안된다는 것이다.
          imp가 응답을 하면 그때부터 서로 메시지를 주고받으면 된다.
        • 종료는 ctrl-D를 누르시면 됩니다
    • mesg : 상대방의 메시지를 수신 할 것인가 안 할 것인가를 결정.
      • mesg y : 메시지 수신 허가
      • mesg n : 메시지 수신 불허
    • Mail
      • Unix의 모든 기능중 가장 인기 있는 것 중의 하나
      • 메일 프로그램은 여러 가지가 있음
      • mail 그리고 SVR4 이후에 mailx 라고 불리는 것이 있음
      • mailx는 Berkeley mail이라고도 불림
      • 여러분이 만일 이미 메일을 받았을 때 mailx를 실행시키면 다음과 같은 내용이 출력된다.


      • 메시지를 일기 위해서는 읽고자하는 색인번호 입력
      • 메시지 작성의 종료 : ^Ctrl-D나 ‘.’를 새로운 라인에서 입력
      • Mailx의 대부분의 명령은 첫글지만 입력하여 실행 가능.


      • mail 보내기
        • % mailx [받을 사람 ID]

          Subject : 보내고자 하는 메시지의 제목

        • 미리 file로 작성한 내용을 메일로 보내고자 할 때
          • % mailx -s “메일 제목” [받는 사람 ID] < 보낼 filename
        • 메시지를 입력하면서 사용할 수 있는 명령
          • ~- : 도움말
          • ~b : 메시지를 여러 명에게 복사해서 보낼 때 사용. 받은 사람들은 공동 수신자를 알 수 없음
          • ~c : 메시지를 여러 명에게 복사해서 보낼 때 사용. 받은 사람들이 공동 수신자를 알 수 있음
        • 메일 환경 설정 파일(.mailrc)


    System Administraion
    • 시스템 관리
      • 시스템 관리자가 UNIX System이 원할하게 작동되도록 하기 위해서 UNIX System상에서 수행하는 모든 관리작업들
      • 전반적인 시스템 관리자의 책임 작업들
        • 시스템 구성과 관련되는 작업
          • 커널의 구성
          • 주변장치의 구성과 설치
          • 새로운 소프트웨어 설치
        • 파일 시스템 관리
          • 파일 시스템의 무결성 유지 보수
          • 디스크의 사용도 점검
          • 디스크 공간의 배정
          • 파일 시스템의 생성, mount, unmount
        • 반복적인 작업의 자동화
          • cron 유틸리티의 활용
      • 사용자 계정(account)의 관리
        • /etc/passwd 파일에 새로운 사용자 추가
        • /etc/group 파일에 새로운 그룹 추가
        • 사용자를 위한 홈 디렉토리의 생성
        • 사용자를 위한 start-up의 작성
      • 시스템 운영에 대한 평가
        • /usr/adm/acct 파일에 의한 시스템 사용도 평가
        • /usr/adm/wtmp 파일에 대한 로그인 정보의 추적
        • 프린터 사용도 추적
        • log파일의 생성과 추적 평가
      • 시스템 보안 관리
        • 중요 데이터의 2차 보전
        • 해커(hacker)들로부터의 시스템 침입에 대한 대비
        • 시스템 장애시의 비상 대책 수립
    • 시스템 특권 사용자
      • Superuser
        • 대부분의 시스템 관리 작업들은 시스템 전반에 관하여 중대한 영향을 미치는 정보에의 접근을 의미하므로 superuser의 권한이 필요함
        • Superuser의 권한을 얻는 방법
          • 사용자가 시스템 콘솔(console)에서 시스템의 가동을 시작하여 단일 사용자 모드(single user mode)로 선택하면 자동적으로 superuser로서 login된다. 단일 사용자 모드에서는 root로만 login할 수 있다
          • Superuser의 ID인 root를 사용하여 login하는 방법
          • 일반 사용자로 login한 상태에서 su command를 사용하는 방법
        • 시스템의 안전을 위해서 su command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 어느 방법을 사용하든지 간에 superuser의 비밀번호를 요청한다.
        • 올바른 비밀번호를 입력하면 superuser 특권으로 수행되고 있음을 의미하는 프롬프트 #를 출력한다.
        • Superuer 특권이 요청되는 작업을 마치면 Ctrl-D를 입력해서 종료한다.
    • su (substitute user/supeuser) : 새로운 사용자로 임시 교체
      • 형식 su [option] [user]
      • 기능
        • 시스템 상에서 임시로 다른 사용자가 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다른 사용자의 화일들을 액세스할 수 있도록 한다.
        • 인수를 지정하지 않으면 root(superuser)로 가정한다.
      • option
        • - 완전한 다른 사용자로 로그인한다.
        • -c command 새로운 사용자로서 로그인한 후에 수행할 명령 지정
      • % su - super user로 로그인
        password 비밀번호 입력
        # root로 로그인한 결과
        $su - imp imp란 사용자로 로그인
    • Superuser로 가능한 작업
      • 시스템의 시동 및 종료
      • 사용자 계정의 관리
      • 시스템 clock의 설정
      • 자원 사용의 제한에 대한 확장과 프로세스의 우선순의 결정
      • 파일 소유자 변경
      • 파일 시스템의 생성, 점검, 보수
      • 파일 시스템의 mounting과 unmounting
      • 장치 화일의 생성
      • 시스템의 backup과 복구
      • crontab 파일의 조작
    • 그 밖의 특권 사용자
      • bin : system command의 소유자
        • Bin은 superuser에 비교해 별다른 특권은 없지만 /bin, /usr/bin의 모든 프로그램과 장치화일을 소유한다.
        • 일반적인 시스템 소유의 화일들은 root또는 bin으로 되어있다.
        • root대신에 bin으로 로그인하는 이유는 만약에 발생할 지 모르는 실수에 대비하기 위함이다.
      • daemon : 비특권 프로그램의 소유자
        • daemon은 보통 UID 1을 갖는다
        • 화일들 중에는 어떤 특정한 사용자에 속하기 보다는 적절하게 UNIX에 속해야만 하는 것들이 있는데 이런한 화일을 바로 daemon이 소유하게 된다.
        • 그 이유는 root의 소유로 인하여 발생할 수 있는 보안상의 장애를 피하기 위함이다.
        • 비슷한 이유로 UNIX 그룹인 daemon이 생성되어 있다.
    • sys : kernel과 메모리 image들이 소유자
      • 시스템에 따라서는 kernel의 주소공간(/dev/kmem), 시스템 실 메모리(/dev/mem), 시스템 swap 공간의 iamge(/dev/swap)와 같은 특수화일들은 sys사용가가 소유한다.
      • 어떤 시스템에서는 sys 대신에 그룹 kernel이 사용된다.
    • nobody : 무소유의 소유자
      • 대부분의 UNIX는 UID -1 또는 -2로 정의한다.
      • nobody는 특별한 허가권을 가져서는 않되거나 필요치 않는 프로그램의 소유자이다.
      • NFS(Network File System)는 네트워크 상의 source 파일 server들에게 이것을 사용한다.
      • 여기서는 diskless client들은 단일 사용자 모드에서 어느 누구에게 의해서도 reboot되어질 수 있다.
    Boot and Shutdown
    • 시스템 부팅 순서 (예 : Solaris 2.x)
      • Boot PROM 단계
        • System identification banner 표시
          • System 의 model, keyboard, host ID, PROM version, Ethernet address를 표시
        • Self-test diagnostics의 실행
          • Boot PROM의 자기 진단 Program이 System의 Hardware와 memory 확인함
          • 자가 진단을 성공적으로 마쳐야만 다음 Boot과정을 실행함
        • PROM에 정의된 Boot장치에서 Boot program을 찾음
          • Boot program은 UFS Filesystem reader를 포함하고 있는 System 첫번째 Boot program인 Boot block(1-15 sector에 위치함)을 읽는다.(Boot PROM 내의 Boot 장치는 변경시킬 수 있음)
        • Boot program load
          • Filesystem reader는 Boot 장치를 열고 두번째 Boot program인 /ufsboot를 memory에 load한다.
        • /ufsboot program을 load한 후 Boot PROM은 Kernel(/kernel/unix)을 load함
      • Kernel 초기화 단계
        • Kernel은 스스로 초기화 한 후 /ufsboot program을 이용하여 module들을 load함
        • Kernel이 Root partition을 mount 하는 데 필요한 module을 읽고나면 /ufsboot program은 momory에서 제거되고, 계속해서 Kernel이 자원을 이용하여 초기화한다.
      • /sbin/init 단계
        • Kernel이 사용자 프로세스를 생성하며 /sbin/init program을 실행시킨다.
        • /sbin/init program은 /etc/inittab file에 기록된 내용을 실행함
        • Init process는 하나의 rc script 또는 실행 가능한 다른 script 들을 차례로 실행시킨다.
        • 이러한 script(/sbin/rc*)들은 Filesystem을 Check하고 mount하며, 여러 process들을 기동시킨다.
    • System Init State(Run Level)
      • Solaris는 다음과 같이 8개의 Run level이 존재함
      • Run level : 선택된 프로세스 그룹하에서 실행하도록 하여진 소프트웨어 구성을 말함.
      • 현재 자신의 Run level이 몇인지 알고자 할 경우 사용하는 명령
      • % who -r

    • Solaris와 Linux의 Run level 비교
      Run State Solaris 2.x Action Linux Action
      s,S Single user mode  

      0

      PROM Monitor level Halt (Do Not set initdefault to this)

      1

      Single user mode :
      root & user mounted
      Single user mode

      2

      Multi user mode :
      No Resources exported
      Multi user mode :
      Without NFS and Networking

      3

      Multi user mode :
      Machine Resource exported
      Full Multi user mode

      4

      Not Currently used Not Currently used

      5

      PROM Monitor level(Power off) X11 (X-Window Start mode)

      6

      Halt and reboot to default state Reboot (Do Not set initdefault to this)
    • Shutdown
      • SunOS 5.x, Solaris 등의 UNIX System은 여러 프로그램은 계속해서 Running하기 위해 설계되었음
      • 다음과 같은 경우에은 반드시 시스템을 halt하거나 shutdown시켜야 함
        • Turning off system power
        • Installing a new release of the operating system
        • Anticipating a power outage
        • Adding hardware to the system
        • Performing maintenance on a file system
      • Shutdown 시키는 방법
        • % shutdown -y -i[바꾸고자 하는 run level] ?g[대기시간]
        • % shutdown -y -i5 -g5 : 5분 후에 시스템을 power off 하고자 할 때
        • % shutdown -y -i6 -g0 : 곧바로 시스템을 리부팅하고자 할 때
    • Run Level Change
      • Run level은 telinit 명령이나 init명령으로 바꿀 수 있다.
      • Shutdown the system
        • telinit0
      • Single-user state
        • telinit1
      • Multi-user state
        • telinit 3
      • Shutdown and Reboot
        • telinit 6

    ※ 많은 사용자가 log-in 하고 있을 때 갑자기 run level을 바꾸면 File system의 손상을 가져올 수 있다. (STOP-A와 마찬가지 효과)

    UNIX File System Management
    • UNIX Kernel
      • UNIX의 핵심
      • 특정 컴퓨터 시스템에서 UNIX 환경을 구축하는 핵심기능을 구축
      • 하드웨어와 직접적으로 관계하며 UNIX 시스템의 다른 부분이 하드웨어의 영향을 받지 않도록 함
      • UNIX 유틸리티와 사용자 프로그램은 커널을 호출하여 서비스를 받음
      • Kernel이 제공하는 서비스
        • 파일관리와 보안, 입출력 서비스, 프로세서 스케쥴링과 관리
        • 기억장소 관리, 인터럽트와 에러 처리, 날짜와 시간 서비스
        • 시스템 작동 상황을 기록하는 사용상황통계 등
      • UNIX의 이식 작업(Porting)은 커널의 하드웨어 의존부를 하드웨어에 맞게 변경하는 작업을 말한다.
      • UNIX의 Kernel은 80개가 넘는 시스템 호출을 제공함.
    • UNIX의 File System
      • UNIX System은 여러 개의 물리적 디스크를 가지며 각각의 디스크는 하나 이상의 file system을 가지게 된다.
      • 커널은 이런한 각각의 file system을 다루며 각각의 file system마다 device number(ex:/dev/dsk/c0t0d0s0)를 부여하며 이를 논리적 device로 다루게 된다.
      • File System은 데이터를 file 단위로 저장하며 이 file들의 집합이 적절한형태로 구성된 것을 말하며 UNIX의 file system은 tree구조를 이룸
      • 하나의 file system은 boot block, super block, inode list, data block으로 구성된다.

    • Boot Block
      • File System의 첫부분에 위치하며 Sun의 경우 첫번째 sector에 디스크 레이블이 들어가며 그 다음 15개 sector에 boot block가 들어감
      • 이 16개의 sector는 8192byte(512*16)의 file system을 구성함
      • Boot block에는 운영체제를 boot하거나 초기화 할 bootstrap code가 들어감
      • 물론 시스템에서 boot하기위한 boot block이는 하나지만 각각의 file system은 boot block을 가지고 있음
    • Super Block
      • File System에 관한 중요한 정보를 저장하는 block
      • 구성 요소
        • File system의 크기, Free block의 수
        • Inode list 크기, Free inode의 수, Free inod의 list, Free inode의 list 다음의 Free inode의 list
        • Free block list와 Free inode의 list를 위한 lock field
      • 이 Super block은 메모리에 적재되어 사용되므로 시스템을 정지하고자 할때는 항상 이 내용을 sync해야 함
    • Inode list
      • UNIX는 sequential file, index acess file, direct acess file 등의 파일 구조를 가지고 있지 않음
      • 모든 파일은 index node 혹은 inode 라고 불리우는 정보 블록과 연결되어 있고 이 안에 다음과 같은 파일에 관한 정보를 포함한다.
        • 파일의 길이
        • 디스크 안의 파일의 소유 블록
        • 파일의 소유주(UID & GID)와 이 파일을 다른 사용자가 이용할 수 있는지에 관한 정보
        • 파일의 종류(일반, 특수, 디렉토리,…)
        • 시스템 안에서의 reference counter(링크 수)
        • 날짜 (생성일, 변경일, 접근일)
      • 이 정보블럭 안에는 어떠한 파일이름도 들어있지 않으며 한 파일의 선택은 디렉토리라는 중간 과정을 통해서 이루어짐
      • 디렉토리 또한 한 파일로 이루어졌기 때문에 이 안에는 시스템이 파일을 구별할 수 있도록 일련의 번호(Index)들과 이름이 나열되어 있음
      • 이렇게 함으로써 어떠한 파일도 디렉토리를 통하여 쉽게 reference에 의한 구별이 될 수 있으며 한 파일이 여러 디렉토리안에 저장 가능함
      • 만약 inode가 0이라면 이 파일은 완전히 삭제된 것을 의미함
      • 디렉토리 또한 한 파일에 속하기 때문에 디렉토리는 다른 디렉토리의 reference를 가지고 있을 수 있음
      • 이러한 구조는 우리가 일반적으로 생각하는 디렉토리 구조 tree구조와 유사하다.
      • inode하나는 64byte의 크기를 갖는다.
    • UNIX File의 종류\
      • 일반 파일(ordinary file)
        • 일반적인 데이터 파일과 소스코 등의 text file과 binary file을 말함
        • UNIX에서는 확장자가 어떤 특별한 의미를 지니는 것이 아니고 단지 사용자가 편의상 사용하는 것이다.
        • 따라서 확장자의 제한이 없다. 단지 컴파일러 등의 프로그램이 특별한 확장자를 요구할 뿐이다.
        • File I/O는 커널 단계에서 buffering 작업을 해주기 때문에 file을 단순히 byte로 연결된 형태로 간주 할 수 있게 해준다.
        • 이는 곧 디스크 상의 여러 곳에 저장되어 있는 file을 하나로 연결된 것처럼 해준다.
        • UNIX에서 파일의 구조는 OS에 의해 제어되는 것이 아니고 이를 처리하는 프로그램에 의해 제어된다.
      • Directory file
        • 디렉토리는 파일을 저장하는 파일이다.
        • 디렉토리는 파일을 포함하며 또한 파일을 포함하고 있는 서브 디렉토리를 가질 수 있다.
        • 디렉토리는 일반 파일과는 다른 개념이지만 읽을 때는 일반 파일과 똑같이 취급되며 빈 디렉토리라도 ‘.’과 ‘..’ 두 파일을 가지고 있다.
        • ‘.’는 자기 자신을 가르키며 ‘..’는 상위 디렉토리를 가르킨다.
      • 특수 파일(special file)
        • UNIX의 특별한 파일 타입으로 UNIX는 주변 장치도 하나의 파일로 간주하기 때문에 Printer, Tape, Memory 등은 파일 구조상의 하나의 파일로 나타낸다.
        • 이러한 개념으로 UNIX는 모든 Device의 Input, Output 을 이 특수파일을 통해 Channel을 형성하여 처리한다.
      • Hard link & Symbolic link file
        • Link란 하나의 inode 에 여러 개의 파일이 연결되는 것을 뜻한다.
        • 예를 들어 /home/user1/data라는 디렉토리가 있을 때 “..”파일은 user1 디렉토리의 ‘.’ 파일을 가르키고 있다.
        • Hard link는 이러한 link의 개념과 같이 똑같은 inode를 가지는 파일을 생성하는 것이다.
        • 이는 동일한 파일이 여러 곳에 존재하는 것과 같이 보인다.
        • ‘ln’명령으로 새로 Hard link를 만들 수 있으며 새로운 Hard link 파일이 생성되어도 디스크 용량에는 변함이 없다.
        • Symbolic link란 단지 한 파일을 다른 이름으로 지시하는 파일 타입니다.
        • 이 것은 윈도우의 ‘바로가기 아이콘’ 과 유사하다.
        • ‘ln -s’ 명령으로 Symbolic link파일을 생성하거나 이 파일을 삭제해도 실제 파일에는 아무런 영향이 없다.
      • Socket file
        • 이는 Process간의 Communication을 빠르고 신뢰성 있게 수행해 주는 것으로 여러 종류의 Socket이 있지만 대부분 Network을 경유해서 서로 다른 호스트 간 process를 connect하는 데 사용된다.
        • Socket file 은 다른 Process에게 디렉토리의 Entry로 보여지기는 하지만 Connection에 포함되지 않은 Process는 읽거나 쓸 수 없다.
        • 이 Socket file type은 4.3+BSD 운영체제에서만 사용되고 SVR4에서는 IPC(Interprocess Communication)을 위해 Socket을 사용하나 커널의 파일 타입으로서 사용하지 않고 Socket function의 libtary level에서 제공한다.
    • Controllers and Disk Drivers
      • 한 개의 controller에 여러 개의 unit(즉 디바이스)들을 연결 가능
      • 즉 여러 개의 하드 디스크, CD-ROM, Tape Drive 등을 연결 가능

    • Physical Disk Structure

    • Disk Partitions
      • 제일 바깥 쪽이 Volume Header이고, 다음 안쪽으로 root file system, swap space, user file system으로 구성됨

    • Devices Naming Conventions for Disk and Tapes
      System SCSI DISK Tape Drive NR Tape
      Solaris /dev/[r]dsk/cCtAdNsP /dev/rmt/N /dev/rmt/Nn
      HP-UX /dev/[r]dsk/c201dNsP /dev/rmt/Nm /dev/rmt/Nmm
      IRIX /dev/[r]dsk/dskCdNsP /dev/tape /dev/ntTape
      Sun OS /dev/[r]sdNP /dev/rmtN /dev/nrmtN
      • C : Controller Number
      • A : SCSI Targer Number
      • N : Device or LUN Number
      • P : Slice or Disk Partition Number
    • Metadevice
      • Disksuit Tool을 사용해서 여러 개의 Partition을 합쳐서 대형 Disk를 만드는 것

    • 디스크 추가
      • UNIX System에 새로운 Disk를 추가하는 과정
        • Disk를 컴퓨터에 접속
        • Disk 접근을 위한 장치 파일 생성
        • Disk formating
        • Disk partitioning and labeling
        • UNIX File system의 구성
        • File system mounting
        • File system 무결성(integrity) 검정
      • 장치화일의 생성
        • 새로운 디스크에 접근하기 위해서는 먼저 이 디스크를 가르키는 파일을/dev 디렉토리에 생성
        • Disk를 SCSI Bus에 접속시킬 경우 UNIX가 자동적으로 장치화일 생성
        • 그 밖의 경우는 시스템 공급업자의 절차에 따라 생성시키면 됨
      • Disk Formating
        • 새로운 Disk 표면에 미리 정해진 형식으로 표시를 하여 데이터를 구조화시키는 작업
        • 이 과정을 통해 주소에 대한 timing mark가 기록됨
        • Disk 총 용량의 약 10%가 format과정에서 사용됨
        • SCSI Disk의 경우는 보통 미리 format이 되어져 있음
      • Disk Partitioning and labeling
        • Partitioning : Format된 Disk를 독립된 데이터 영역들로 나누는 과정
        • Partition은 dump를 보다 용이하게 하며 사용자들이 다른 디스크 공간을 침범하는 것을 방지하고 성능을 향상시킴
        • Partition table은 디스크에 대한 그 밖의 정보들과 함께 label이라는 디스크 상의 레코드에 기록된다.
        • Label은 보통 Disk의 처음 한 두 블록을 차지함
        • 하나의 디스크는 보통 최대 8개의 Partition을 가지질 수 있음.
        • 각 Partition은 소문자 a부터 h로 표시한다.
        • 전통적으로 a Partition은 root Partition, b Partition은 swapping을 위하여 사용된다.
        • Partition c 는 전체 디스크를 관리하기위해 사용됨
        • Partition d에서 h까지는 관리자가 임의로 할당 가능함
        • System V Release 4 UNIX에서는 Partition을 slice라고 부르며 기능도 약간 다르다.
        • 최대 8개의 slice가 있으며 각 slice들은 0에서 7까지의 번호로 표시함
        • Slice 0, 1, 2는 Partiton a, b, c에 대응된다.
        • Slice 3에서 6까지는 다른 운영체제의 화일들을 위하여 사용된다.
        • Slice 7은 단지 사용자 화일들만을 포함하는 영역을 나타낸다.
    • Physical Disk Partition Layout

      • Disk Partition
      Patition
      Number
      Name Function
      0 root Root Partition
      1 swap Swap Partition. 물리적 메모리가 부족할 때 사용
      6 usr Usr Partition. Root 나 System이 주로 사용하는 디렉토리
      7 (none) The entire disk except the volume header and xflog Partition
      8 volhdr Volume header
      9 (none) Reservation Partition
      10 volume The entire disk, Including the Volume header
      • UNIX File system 구성
        • 하드 디스크 Partition이 끝난 후 바로 UNIX 화일들을 저장할 수 있는 것이 아니다.
        • mkfs 또는 newfs command를 사용하여 Partition 또는 slice에 File system을 구성해야 한다.
        • newfs command를 수행하면 Disk의 그 영역에 존재하던 데이터는 지워지고 디렉토리 구조의 골격이 형성된다.
      • newfs command
        • 형식 : newfs [option] [mkfs-option] block-special-file
        • 기능 :
          • newfs는 mkfs command의 friendly front-end이다.
          • newfs는 표준 장치들의 특성에 관한 정보가 기록되어 있는 /etc/disktab 파일을 탐색하여 디스크 유형의 sector 수를 검색한 후 mkfs를 호출(fork)한다.
          • mkfs 프로그램은 block-special-file에 기록함으로써 파일 시스템을 구축함
          • mkfs는 root 디렉토리와 lost+found 디렉토리로 이루어진 파일시스템을 구축함
          • 만약 File System이 root Partition이면 최초의 16 sector에 bootstrap 프로그램을 설치함
      • option
        • -n : bootstrap program을 install 하지 않음
        • -N : file system을 실제로 만들지 않고 file system parameter를 출력함
        • -v : 모든 발생 가능한 사건 메시지 출력할 것
      • mkfs-options
        • -b : block-size 새로운 file system의 블록 사이즈. 409 또는 8192 byte 가능
          8129 byte가 default임
        • -m : free-space% 일반 유저를 위해 예약한 공간의 비율(default - 10%)
        • -c : #cylinder 실린더 그룹에 대한 실린더 수 (default - 16)
        • -i : i-size inode 개수 (default - 2048)
        • -f : frag-size fragment size (default ? 1024), 최대 블럭 사이즈
      • File system mounting
        • File system이 사용 가능하려면 mount가 되어야 한다.
          • mount는 file system 을 root file system의 일부로 부착하여 계층 구조화 시키는 작업
          • 한번 file system이 mount 되면 이 file system의 화일들은 root file system 의 일부인 것처럼 접근이 가능하다.
          • file system은 mount과정의 반대, 즉 unmount를 통해 root file system과의 연결을 단절시킨다.
      • mount, unmount command
        • 형식
          • % mount [options] [block-special-file directory]
          • % unmount [options] block-special-file | directory

        ※ 부팅시 자동으로 자동으로 mount를 시키도록 하기 위해서는 기종에 따라서 /etc/vfstab file이나 /etc/fstab file에 mount 명령 첨가하면 된다.

    • General File System Concepts
      Disk mount

      % whoami : mount는 root만 가능함
      % cd / : root 디렉토리로 이동
      %mkdir /d2 /d3 : mount point 생성
      % mount /dev/dsk/c0t1d0s0 /d2
      : Disk2를 /d2에 mount
      % mount /dev/dsk/c0t2d0s0 /d3
      : Disk3를 /d3에 mount
      % cd /d2 : Disk2로 이동
      % cd /d3 : Disk3로 이동
    • File System Mouting and Unmounting
      Disk mount 명령

      % mount /dev/rdsk/dks0d2s7 /proj

      Disk mount를 해제 명령

      % unmount /proj
    • UNIX Directory Structure

    • UNIX 주요 디렉토리의 역할과 기능
      • / (root)
        • Boot directory. IRIX의 경우는 Kernel이 들어있는 Directory(/unix)
      • /dev
        • 컴퓨터의 가장 중요한 부분 중 하나인 Device를 관리하는 Directory
        • 디스플레이 및 터미널, 키보드를 비롯한 UNIX System의 모든 자원들을 집중 관리하는 곳이다.
        • 모든 디바이스들은 dev 디렉토리에 파일의 형태로 독립적으로 존재한다.
      • /etc
        • UNIX는 관리는 사용자 계정, File system, security, Device Drivers, 하드웨어 구성 등의 관리를 포함하여 매우 복잡할 수 있다.
        • 이러한 모든 관리상에 필요한 파일과 정보를 저장하는 디렉토리이다.
        • 참고로 유저를 관리하는 ‘passwd’파일도 바로 이 디렉토리에 존재한다.
      • /etc/config
        • System configuration file 들이 담겨있는 Directory
      • /lib
        • UNIX System에서 사용되는 함수나 절차적 라이브러리를 보관하는 장소
      • /lib32
        • 컴퍼일러에 의해서 참조되고 사용되는 binaries, library file 이 담겨있음
      • /lib64
        • 64bit system을 사용하는 Compiler에 의해서 참조되고 사용되는 binaries, libraries file 이 담겨있음
      • /lost+found
        • 파일이 어떤 종류의 문제나 오류로 부터(fsck명령에 의해) 복구되었을 때 커널 파일 시스템 내의 올바른 위치를 알아내지 못할 때 저장되는 장소
      • /proc
        • 현재 수행중인 모든 Process들의 이미지들이 보관된 Directory
      • /sbin
        • Commands needed for minimal system operability
      • /stand
        • Kernel image가 저장되어 있는 Directory. Standalone Utilities(fx, ide, sash)
      • /tmp
        • UNIX에서 많이 프로그램에 의해 사용되는 일시적인 file 저장 장소
      • 임시 작업 Directory
        • Reboot시에 없어지는 임시 파일들
      • /tmp/mnt
        • Automount File system의 mount Point
      • /usr
        • 자체적으로 만든 프로그램, 사용자와 시스템 관리에 필요한 명령들, 공유 라이브러리들
        • UNIX System의 일부분들이 서브 Directory형태로 존재함
        • 어떤 시스템의 경우는 monut point로 사용되기도 하는 Directory
      • /usr/bin
        • 일반적으로 많이 사용되는 실행파일들을 저장
        • 초기의 UNIX에서 모든 실행 파일들을 일괄적으로 보관하기 위해 사용되었다.
        • 하지만 점점 UNIX에 첨가되는 실행파일이 많아짐에 따라 여러 Directory로 분리되어 저장하게 되었다.(/bin, /usr/bin)
      • /usr/include
        • 표준 System과 Program Library들에 대한 Interface를 정의한 C 언어 header file들이 들어 있음
      • /usr/man
        • 온라인 매뉴얼 페이지가 들어있는 Directory
      • /usr/lib
        • 표준 유닉스를 지원하는 파일들이 있는 Directory
      • /usr/local
        • 지역적인 소프트웨어(관리자에 의해 설치된 소프트웨어)
      • /usr/local/adm
        • 지역적인 계정과 log 파일들
      • /usr/local/bin
        • 지역적인 실행 파일들
      • /usr/local/etc
        • 지역적인 시스템 구성 파일과 명령어들
      • /usr/local/sbin
        • 지역적인 시스템 유지 명령어들
      • /usr/local/src
        • /usr/local/*을 위한 원시 코드들
      • /usr/share
        • 다양한 응용프로그램의 공유파일들
      • /var
        • 시스템의 파일들이나 로그 기록을 관리하는 파일이 있는 Directory
      • /var/adm
        • 계정 파일들, 자원의 사용법을 기록한 파일들이 있는 Directory
      • /var/spool
        • 프린터, UUCP, 메일 등을 모아서 보관
      • /var/tmp
        • 임시 저장 공간(reboot 해도 없어지지 않음)
      • /var/ucb
        • 버클리 유틸리티와 프로그램들
      • /var/x11
        • X11 coniguration files
      • /var/yp
        • NIS Command files
      • /kernel
        • 커널을 설치하는데 필요한 파일들(Solaris)

        ※만약 /sbin이 존재한다면 일반적으로 /usr/sbin으로 심볼릭 링크되어 있다.

    User and Group Management
    • Adding User
      • 시스템 관리자의 가장 중요한 업무 중 하나
      • System에 User를 등록하는 방법은 다음과 같다..(Solaris의 경우)
      • Admin Tool을 이용한 방법
        • Solaris에 포함된 관리 툴인 admintool을 사용하는 방법으로 X-Window상에서 편리하게 사용자를 추가 삭제 할 수 있음
        • 또한 그룹, 호스트, 프린터, 직렬포트, 소프트웨어까지 열람 및 편집 가능
        • 사용자 추가를 선택하여 사용자 아이디 등의 몇가지 정보를 입력하면 장동으로 홈 디렉토리가 만들어지며 계정이 생성된다.
        • Note: admin tool은 사용이 편리하기는 하지만 파일을 덮어쓸 때 심볼릭 링크인지를 검사하지 않기 때문에 타인의 root권한의 획득이 가능하다. 때문에 일반적으로 사용하지 않고 Permission을 ‘100’으로 바꾸고 사용하지않는 경향이 있다.
      • useradd command을 이용한 방법
        • 사용자를 추가하는 명령어
        • % useradd [-c comment] [-d dir] [-e expire] [-f inactive] [-g group] [-G group [group…]] [-m[-k skel_dir]] [-u uid [-o]] [-s shell] login-ID
          • -c : 사용자의 이름
          • -d : 사용자 home directory 절대경로
          • -g : 사용자의 기본 그룹 아이디
          • -G : 사용자의 2차 그룹 아이디
          • -m : 사용자의 home directory가 존재하지 않으면 생성하는 옵션
          • -k : ‘.cshrc’ 또는 ‘.profile’과 같은 파일을 복사해 올 ditectory 지정. 시스템은 기본적으로 ‘/etc/skel’ directory를 사용하도록 한다. 관리자는 이 directory의 파일들을 수정해서 쉽게 사용자들에 기본적인 환경을 구성할 수 있다.
          • -u : 사용자의 UID(integer). 이 ID는 시스템에서 유일해야 한다.
          • -s : 사용자가 사용할 shell 지정. ‘/bin/sh’이나 ‘/bin/ksh’을 넣어준다.
          • login-ID : 사용자가 실제 사용할 ID
        • 예) % useradd -c 문준현 -d /user/imp -m -k /etc/skel -u 1004 -g 1000 -s /bin/csh imp
      • vipw command을 이용한 방법
        • vipw 명령을 이용해서 사용자를 추가하는 방법
        • vipw명령을 입력하면 ‘/etc/passwd’ 파일이 화면에 편집모드로 나타난다.
        • 한 라인을 복사하고 추가할 사용자에게 맞게 수정한다.
        • 수정한 후 ‘wq’로 저장하고 나오면 다음과 같은 화면이 나타난다.
          You have modified the password file.
          Press ‘e’ to edit the shadow file for consistency, ‘q’ to quit:
        • 여기서 ‘e’를 입력하면 ‘/etc/shadow’ 파일을 편집할 수 있다.
        • 마찬가지로 한 라인을 복사하여 사용자에게 맞게 수정한다.
        • 마지막으로 사용자의 home directory를 만들고 사용자에게 chown 명령으로 권한을 넘겨준다.
      • pwconv command을 이용한 방법
        • 이 명령은 /etc/passwd file의 내용을 /etc/shadow file에 적용시키는 명령
        • /etc/passwd file을 수정하고 이 명령을 실행시키면 그대로 /etc/shadow file에 적용이 가능하다.
        • 그 다음에 사용자의 home directory 생성
        • /etc/skel directory의 file을 사용자 home directory에 복사
        • 사용자 home ditectory 하위를 chown 명령으로 소유권 넘김
    • Delete user
      • 사용자를 시스템에서 삭제할 때는 다음과 같은 명령을 사용함
      • % userdel ?r login-ID
      • -r : 사용자의 home directory 삭제
    • Adding group
      • 시스템에 새로운 그룹을 추가할 때는 admin tool을 사용하거나 다음의 명령을 이용한다.
      • % groupadd [-g gid [-o]] group
        • -g gid : 이 옵션은 추가될 Group의 GID(integer)를 지정하는 것이고 이 옵션을 지정하지 않으면 가장 높은 GID의 다음의 숫자가 GID가 된다.
        • -o : 하나의 GID를 다른 Group이 중복해서 사용하는 것을 허용하는 옵션.
    • Delete group
      • 시스템에서 Group을 삭제할 때는 다음과 같은 명령을 사용한다.
      • % groupdel group
    • Accounting
      • Passwd file
        • UNIX는 system의 모든 사용자 정보를 /etc/passwd file에 기록한다.
        • 저장된 정보는 모두 7가지로 ‘:’으로 구분한다.
        • 각각의 정보는 다음과 같다.
          • Username : 사용자가 사용하는 login-ID
          • Password : 암호화 되어 기록된다. /etc/shadow에 저장되기도 한다.
          • User ID : 사용자의 ID로 음수가 아닌 정수여야 한다. 0은 root 사용자
          • Group ID : 사용자가 속한 Group ID. 사용자는 반드시 하나 이상의 Group에 속해야 한다.
          • Full-name : 보통 사용자의 실제 이름을 나타낸다.
          • Login directory : 사용자의 home directory
          • Login shell : 사용자가 사용하는 shell
      • Password file을 관리할 때 주의 사항
        • 일반 사용자는 UID 0을 갖지 않아야 한다.
        • 일반 사용자는 GID 0을 갖지 않아야 한다.
        • Password란은 공백이어서는 안된다.
        • Password file에는 주석문(#)이 사용되지 않는다.
        • Password file에는 공백 라인이 있어서는 안된다.

        ※ System이 제공하는 Password file checking program : /etc/pwck

      • Group file
        • UNIX System은 Group에 관한 정보를 /etc/group file에 저장한다.
        • 저장된 정보는 다음의 네 가지이다.
        • Group name : 그룹의 이름
        • Password : 보통 사용하지 않음
        • Group ID : 그룹의 실제 ID
        • Member : 그룹의 사용자 목록. ‘,’로 구분한다.

        ※ System이 제공하는 Group file checking program : /etc/grpck

    Administration Commands
    • Monitoring Processes
      • 다중 사용자 운영체제인 UNIX의 특징 때문에 프로세스의 관리는 시스템관리자의 중요한 업무이다.
    • ps(report process status)
      • ps명령은 process의 상태를 보여주는 명령으로 daemon 등의 여러 process의 상태를 확인하는 데 요긴하게 쓰인다.
      • 형식 ps [-aSdeflcj] [-o format] [-t termlist] [-u userlist] [-U userlist][-G grouplist] [-p proclist] [-g pgrplist] [-s silist]
      • Process를 관리할 때는 다음의 값들이 중요하게 이용됨
        • PID : process의 식별번호
        • PPID : 해당 process를 생성한 parent process의 PI값
        • UID : 해당 process에 접근할 수 있는 User ID
        • GID : 해당 process에 접근할 수 있는 Group ID
      • Process들이 가질 수 있는 상태(state)들
        • Running (O) : 현재 실행되고 있는 상태
        • Runnable (R) : 실행 가능한 상태(process가 queue에 들어 있을 때)
        • Sleeping (S) : 어떠한 event가 완료되기를 기다리는 상태
        • Zombie (Z) : process는 종료했지만 parent는 이를 기다리지 않는 상태
        • Stopped (T) : 정지되어있는 대기 상태 (실행 가능하지 않음)

        ※ 이들을 확인하려면 ps 명령의 -e, -f, -l option을 사용하면된다.

    • kill(terminate or signal processes)
      • process를 완전히 종료시키고자 할때 사용하는 명령
      • 형식
        • kill -s signal pid
        • kill -l [exit_status]
        • kill [ -signal ] pid
      • kill 명령에서 사용되는 signal
        • 1 HUP : Hangup(종료)
        • 2 INT : Interrupt(중지)
        • 3 QUIT : Quit(탈출)
        • 9 KILL : Kill(무조건 중지)
        • 15 TERM : Software Termination(정상 종료)
      • 다음의 세 명령은 PID 100번을 무조건 종료하라는 똑같은 의미이다.
        • kill -9 100
        • kill -s kill 100
        • kill -s KILL 100

        ※ kill 명령은 반드시 정상적인 방법으로 종료할 수 없을 때에만 사용해야 한다.

      • pkginfo
        • 현재 자신의 시스템에 설치되었있는 소프트웨어의 리스트를 보여줌
        • Super user가 옵션을 가지고 사용할 경우 설치된 소프트웨어를 삭제할 수도 있다.
        • IRIX
          • Version [-vFV] remove name

      sysdef

      • 시스템 하드웨어 configuration 정보들을 보여줌
      • 어떤 디바이스가 인스톨 되어 있는지 CPU는 어떤 종류를 사용하는지 등 하드웨어 정보를 보여준다.
      • IRIX : hinv
      • AIX : iscfg, isdev
    • swap -a
      • UNIX System의 swap space를 monitoring, deleting, adding 하는데 사용
        Swap은 UNIX System에서 하드디스크를 메모리처럼 사용하여 부족한 메모리의 용량을 증대시킴으로서 프로그램 수행 속도를 향상시키기 위해서 사용
      • option
        • -a : swap resource를 add
        • -d : swap resource를 delete
        • -l : 현재 사용되고 있는 모든 swap resource 정보를 보여줌
    • mkfile
      • 형식 mkfile size[k|b|m|g] filename
      • 기능
        • swap space 등을 증대하기 위하여 file을 만들어 주어야 할 경우 사용
      • option
        • -v : 만들어질 file에 대한 이름이나 크기 등의 정보를 표시함
      • 예) % mkfile 50m testfile
    • passwd
      • 형식 passwd [-df] user-name
      • 기능
        • 사용자의 패스워드를 변경 도는 패스워드 파일에 사용자를 등록시키는 명령
      • option
        • -d :사용자 패스워드를 삭제할 때
        • -f : 사용자 패스워드를 강제로 변경(새로이 로그인시 변경 요구)
    • quot : 각 사용자별 디스크 공간 사용 상태 표시
      • 형식 quot [option][filesystem]
      • 기능
        • 화일 시스템의 각 사용자가 소유한 디스크 공간의 블럭수를 리포트한다.
      • option
        • -f 사용자들이 소유한 file의 개수를 표시
        • -a 모든 화일 시스템에 대한 리포트 생성
        • -c 전체 블럭 또는 적은 화일들의 누적된 사이즈, 화일내의 블럭 사이즈등을 리포트
        • -V 지난 30, 60, 90일 동안 접근되지 않은 블럭의 개수를 리포트
    • cron : 주기적으로 command 수행시키는 daemon
      • 형식 cron
      • 기능
        • 명시한 날짜와 시간에 지정한 command들을 수행한다.
        • 정규적으로 스케쥴된 command 들이 /var/spool/cron/crontabs 디렉토리의 crontabs화일에 명시될 수 있다.
        • 사용자들이 crontab command 를 사용하여 자신의 crontab 화일을 제공할 수 있다.
        • 단 한번만 실행될 command는 at command를 사용하여 crontab파일을 제공한다.
    • crontab : crontab 파일의 생성, 편집, 삭제
      • 형식 crontab [option] [username]
        crontab [filename]
      • 기능
        • 지정한 파일 또는 표준 입력을 복사하여 사용자들이 crontab 파일을 보관하는 디렉토리에 포함시킨다.
        • 사용자의 crontab 파일에는 그 사용자를 대신하여 지정한 날짜와 시간에 수행시켜야 하는 command들이 나열되어 있다.
    • uname
      • 형식 uname -a
      • 기능
        • 현재 시스템의 Identify를 보여줌
        • 보여주는 내용은 현재 자신의 시스템의 O/S 버전 및 Hostname, Process name, 그래픽 보드 등
      • option
        • -a : 모든 내용을 보여주는 option
    • hostname
      • 형식 hostname [-s] [nameofhost]
        hostname newhostname
      • 기능
        • 뒤에 아무런 내용없이 hostname을 실행하면 현재 자신의 시스템의 이름을 보여줌
        • 그러나 root가 hostname newhostname이라고 입력하면 시스템의 이름이 바뀌게 됨
    • hostid
      • 형식 hostid
      • 기능
        • 자신의 장비의 고유 ID를 보여줌
        • 이것은 장비 생산 업체에서 부여한 고유한 ID로서 유일함
        • UNIX OS에서는 대부분의 사용 가능한 상업적인 소프트웨어들이 위의 명령을 가지고 얻은 고유 ID로서 소프트웨어 라이센스를 만들어 낸다.
        • 상업적인 소프트웨어를 사용하기 위해서는 위 명령어를 가지고 얻어진 ID를 소프트웨어 판매회사에 보내어 라이센스를 받아야 함
      • IRIX
        • sysinfo [-s][-v][-vv]
    • eeprom (ROM 모니터 패스워드)
      • 형식 eeprom
      • 기능
        • 시스템을 다른 사람이 수동으로 부트하지 못하게 하기 위하여 ROM Program에 Password를 할당할 수 있음
      • IRIX
        • nvram
        이것은 매우 주의해서 사용해야 한다. 만약 이 패스워드를 잊어버리면 하드웨어에 손을 대야 복구가 가능하게 때문에 조심해서 사용해야 한다.
    • sync (syncronize) : 디스크 정보의 동기화
      • 형식 sync
      • 기능
        • 디스크 상에 써넣을 메모리 내의 buffer의 내용을 출력함
        • 수정된 수퍼 블록, 수정된 i-node 및 지연된 블럭형 입출력을 포함한다.
        • CPU가 비정상적으로 정지되기 전에 호출되어 모든 디스크 write들이 완료된것을 확인할 수 있다.
        • 사용자가 많은 시간대에 부득이 시스템을 리부팅해야 하는 경우는 이 sync명령을 필히 해주어야 한다.
        • 이 sync명령은 약간의 delay time이 생길수 있으므로 보통 3-4번 정도를 연속해서 해주는 것이 좋다.
    • System crash
      • UNIX System은 때때로 급작스런 정전이나 하드웨어 고장, 조작 실수 등으로 인하여 시스템이 정지되는 수가 있다.
      • 이러한 경우를 System crash라고 한다.
      • Crash가 발생한 경우 파일 시스템이 손상되거나 파괴될수 있다.
      • 이런 경우는 조속히 보수를 하는 것이 중요하다.
      • 파일 시스템의 가능한 손상을 최소화시키기 위해서는 먼저 UNIX System을 booting시켜야 한다.
      • 이 때 시스템의 boot는 단일 사용자 모드로 하고 root system disk를 제외한 다른 장치를 mount시키지 않아야 한다.
      • 시스템의 booting이 완료되면 곧 fsck command를 root 디스크에 대하여 실행하여 root를 보수한다.
      • 만일 파일 시스템이 보수되면 sync를 실행하지 않고 곧바로 시스템을 reboot한다.
      • 그리고 다른 모든 파일 시스템을 mount 시키기 전에 fsck command를 실행시킨다.
      • Crash가 발생한경우 발생 가능한 손상의 종류
        • Superblock의 정보가 맞지 않는다.
        • i-node의 link 개수가 맞지 않는다.
        • 하나 이상의 i-node가 동일한 블록을 참조한다.
        • 사용한 i-node가 어느 디렉토리로부터도 참조되지 않는다.
        • 블록이 미사용으로 표시되어 있는데 i-node로부터 참조된다.
        • 블록이 사용 중으로 표시되어 있는데 i-node로부터 참조되지 않는다.
      • 보수한 파일이나 디렉토리들은 소유자들에게 통보하여 완전성을 점검토록해야 한다.
    • fsck (file search check) : File System의 점검과 보수
      • 형식 fsck [option] [filesystem(s)]
      • 기능
        • UNIX File System의 오류 상태를 조사하여 대화식으로 복원한다.
        • Fils System이 정상 상태로 되어 있으면 화일, 사용 블럭, 미사용 블럭의 수를 출력한다.
        • File System이 오류 상태로 되어 있으면 수정 여부를 묻는 메시지를 사용자에게 출력한다.
        • 수정 처리를 실행하면 그 결과로 어느 정도의 데이터가 손실될 수 있다.
        • 손실된 데이터의 양과 중요도는 진단 출력에 표시된다.
        • 옵션을 지정하지 않으면 사용자의 yes/no 응답에 의해 수행된다.
        • 화일시스템을 명시하지 않으면 /etc/fstab 화일에 기록된 화일 시스템을 참조한다.
      • option
        • -y : fsck에 의한 질문에 무조건 yes로 답한다.
        • -n : fsck에 의한 질문에 무조건 no로 답한다.
        • -w : File system을 단지 check만 한다.
      • 사용예
        • % fsck -y /dev/dsk/c0t0d0s0
        • % fsck -n /dev/dsk/c0t0d0s0
        • % fsck -w /dev/dsk/c0t0d0s0
    • UNIX System Management Tool
      UNIX 종류 관리도구 명령어
      Solaris Admin Tool
      AIX smit, VSM
      IRIX Cadmin facility
      Digital UNIX setup
      HP-UX SAM
      • 이러한 툴들은 모두 시스템 관리자의 편의를 돕기 위한 그래픽 툴이다.
      • 때로는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으나, 종종 부주의한 실수를 일으키거나 이러한 툴들을 사용할 수 없는 경우가 종종 발생한다.
      • 그래서 유능한 시스템 관리자가 되기 위해서는 시스템관리 명령어들을 잘 익혀두는 것이 좋다.
    Installing Software
    • Installing Software
      • 사용자를 위해 새로운 소프트웨어를 설치하는 것 역시 관리자의 중요한 일중의 하나이다
      • 관리자는 항상 사용자를 위해 새로운 Applicaition이나 OS Upgrade를 실시해야 한다.
    • 새로운 Sofeware Package Install(pkgadd command)
      • Binary package를 install하는 방법
      • 일반적으로 Software는 Package의 형태로 부여된다.
      • 이러한 Package를 설치하는 명령으로 pkgadd명령이 있다.
    • pkgadd (transfer software package to the system)
      • 형식 pkgadd [-nv][-a admin][-d device][[-M] -R root_path][-r response][-V fs_file][pkginst..]
      • -d option을 사용하지 않으면 pkgadd명령은 기본 스풀 드렉토리(/var/spool/pkg)에서 package를 찾는다.
      • 또 -s option을 사용하면 package를 install하는 대산 이것을스풀 디렉토리로 복사한다.
      • option
        • -d device package를 install 또는 copy한다.
          device는 fullname이거나 tape, floppy disk, hard disk가 될 수 있다.
          또한 device alias를 쓸 수 있다.(예-/floppy/floppy0)
        • -n Non-interative mode로 작동한다. Default는 interative이다.
        • -s spool install 대신에 spool directory에 copy한다.
    • Source Code Install
      • 이미 컴파일된 binary를 받아 설치하지 않고 source code를 받아서 시스템에서 compile하여 설치하는 방법이다.
      • 이는 시스템에 좀 더 최적화된 software를 설치하기 위해서이다.
      • 일반적인 순서
        • 필요한 software source code를 다운 받는다.
        • 시스템에 적절하게 configuration 한다.
          • % ./configure
        • Compile 한다.
          • % make
        • Install 한다.
          • % make install
        • 설치한 software를 실행한다.
    • Software Administering
      • 설치한 소프트웨어에 대한 정보를 알아내는 방법과 이를 삭제하는 방법
    • pkginfo (display software package information)
      • 시스템내에 설치되어 있는 software package들의 정보를 알려주는 명령
      • 형식 pkginfo [-q|-x|-l][-p|-i][-r][-a arch][-v version][-c category][pkginst]
        pkginfo [-d device][-R root_path][-q|-x|-l][-a arch][-v version][-c category][pkginst]
      • option
        • -q : 정숙 모드
        • -p : 부분적으로 설치된 패키지 선택
        • -i : 완전히 설치된 패키지 선택
        • -x : 추출된 목록
        • -ㅣ : 긴 목록
        • -r : 이동하기 위한 기준
        • -c : 범주, [범주…]
        • -a : 구조
        • -v : 버전
      • 일반적으로 시스템의 package를 알아보기 위해
        • % pkginfo | more
        • % pkginfo -c applicationn
      • 설치한 package에 대한 자세한 정보를 알아내는 방법
        • % pkginfo -l <package>
    • pkgparam (display package parameter values)
      • 시스템에 설치된 package에 관련된 여러 parameter value를 알려줌
      • 형식 pkgparam [-v][-d device][-R root_path]pkginst[param]
        pkgparam -f filename [-v][param]
      • 예) % pkgparam -v <pakage>
    • pkgrm (remove a package from the system)
      • 시스템에 설치된 Soft pakage를 제거할 때 사용함
      • 형식 pkgrm [-nv][-a admin][[-A|-M] -R root_path][-V fs_file]
        pkgrm -s spool [pkglist...]
      • 특정 package를 시스템에서 제거하는 방법
        • % pkgrm <package-name>
    Backups and Restores
    • 백업 관리 유틸리티
      • dump 전체 백업 또는 최근에 변경된 데이터의 백업
      • restore dump command에 의해 백업된 테이프에서 파일의 복원
      • volcopy 하나의 디스크의 파일시스템 전체 혹은 일부를 다른 디스크 또는 테이프에 압축된 이미지로 복사
      • labelit 파일 시트템의 superblock에 label을 기록
    • 시스템 Backup
      • 디스크를 기반으로 한 시스템에서 디스크 화일들의 복사본을 다른 매체에 보관하는 2차적인 보전 작업
      • UNIX의 dump에는 0~9까지의 서로 다른 수준이 있음
      • 수준 0은 total dump로서 모든 파일이 dump되며 이 dump 출력은 시스템이 재복구에 사용될 수 있다.
      • 1~9까지는 부분 dump애며 수준차에 따라 변경된 화일들만 dump된다.
      • 완전히 디스크 전체를 dump하는 수준 0은 정보의 양이 많고 시간을 많이 필요로 하기 때문에 자주 실행할 수는 없다.
      • 보통 total dump는 일주일에 한번 정도 실행한다.
      • 나머지 한 주간 동안의 1일 dump는 시스템의 상황에 따라서 결정된다.
        • 하루 동안에 변경된 부분만 dump
          • 매일 같은 수준번호로 dump
        • total dump이래 변경된부분만 dump
          • 매일 수준번호를 낮춰서 dump
        • ruler sequence로 dump
          • 예를 들면 연속으로 매일의 수준을 3,2,3,1,2,3,2,3,로 하여 dump
          • 위의 두가지 방법을 보완한 형태
    • dump : 파일 시스템의 dump
      • 형식 dump [option] filesystem
      • 기능
        • UNIX File system의 모든 파일 또는 어떤 날짜 이후 변경된 화일들을 마그네틱 tape로 dump한다.
        • 옵션을 정하지 않으면 default로서 9u가 된다.
      • option
        • level dump의 수준 0~9까지 있음
        • u 전체 백업 이 후 달라진 내용만을 백업하는 옵션
        • f dump-file dump를 file의 형태로 한다. 예를 들면 /dev/rmt/0
        • D dump를 disk로 한다.
        • b factor 테이프에 기록할 블록 사이즈 명시
    • volcopy : 파일 시스템의 복사
      • 형식 volcopy [option] fsname srcdev vol1 destdev vol2
      • 기능
        • 디스크의 모든 파일 시스템의 image를 다른 디스크 또는 tape에 똑같이 복사함
        • bit-for-bit 복사이므로 total backup으로만 사용가능
        • 보통 신속한 disk-to-disk 복사에 사용된다.
        • volcoy의 가장 큰 장점은 손실한 데이터를 아주 용이하게 복구 가능함.
      • option
        • -F ufs 복사하고자 하는 File system의 type
        • fsname File system을 복사할 때의 mount point
        • scrdev File system을 복사할 device명 (source device)
        • vol1 source device의 volumn label
        • destdev 복사할 destination device의 device명
        • vol2 destination device의 volumn label
    • labelit : 파일 시스템에 label 부여
      • 형식 labelit [option] dev [faname vol]
      • 기능
        • 파일 시스템의 superblock에 짧은 label을 기록한다.
        • 이후의 작업에서 파일 시스템을 식별하는데 사용된다.
      • option
        • -F ufs ufs file system type
        • dev raw disk device의 label
        • fsname File system을 복사할 때의 mount point
        • vol physical media의 임의의 식별자
    • restore : dump로부터의 복구
      • 형식 restore options [filename(s)]
      • 기능
        • Dump command로부터 생성된 backup 데이프트로부터 화일들을 복구한다.
        • 반드시 옵션을 지정해야 한다.
      • option
        • i : 복구를 대화식으로 하도록 함
        • r : 수준 0으로 dump된 것을 새로운 file system이나 빈 file system으로 전체 복구함.
        • R : 복구 재개. 전체 백업된 것중에서 부분적인 복구 가능
        • t : 백업 content 표시
        • X : 파일또는 디렉토리를 복구또는 압축해제
        • h : 디렉만을 복구 파일이 들어 있지 않은 경오는 복구 하지 않음
        • v : 복구한 파일 이름을 표시함
    • UNIX System의 Network 관련 File
      • /etc/hosts
      • /etc/networks
      • /etc/netmasks
      • /etc/protocols
      • /etc/services
      • /etc/ethers
      • /etc/bootptab
      • /etc/inetd.conf
    • /etc/hosts
      • 사용되는 host 주소들의 모임을 기록한 화일
        # Internet host table
        #
        127.0.0.1 localhost
        202.30.35.54 bravo.kwangju.ac.kr ice1 loghost
        210.110.193.11 ice1
        210.110.193.11 ice2
        203.246.48.7 cse1
        203.246.48.13 cse2
        203.246.48.15 cse4
        203.246.48.18 cse7
        203.246.48.8 dblab
        203.246.48.9 dblabs
        203.246.48.17 cse6
    • /etc/networks
      • 네트워크 이름과 각각의 인터네트 주소
        #ident "@(#)networks 1.4 92/07/14 SMI" /* SVr4.0 1.1 */
        #
        # The networks file associates Internet Protocol (IP) network numbers
        # with network names. The format of this file is:
        #
        # network-name network-number nicnames . . .
        # The loopback network is used only for intra-machine communication
        #
        loopback 127
        #
        # Internet networks
        arpanet 10 arpa # Historical
    • /etc/netmasks
      • 경로 설정에 필요한 네트 마스크를 지정하는 파일
        Subnet mask가 제공하는 세 가지 정보
        Network, Subnetwork, Host
        The netmasks file associates Internet Protocol (IP) address
        # masks with IP network numbers.
        #
        # network-number netmask
        #
        #
        # Both the network-number and the netmasks are specified in
        # "decimal dot" notation, e.g:
        #
        # 128.32.0.0 255.255.255.0
    • /etc/services
      • 네트워크 서비스 이름
        사용하는 포트 이름
        트랜스포트 프로토콜의 종류 지정
        ftp-data 20/tcp
        ftp 21/tcp
        telnet 23/tcp
        smtp 25/tcp mail
        time 37/tcp timserver
        time 37/udp timserver
        name 42/udp nameserver
        whois 43/tcp nicname # usually to sri-nic
        domain 53/udp
        domain 53/tcp
        hostnames 101/tcp hostname # usually to sri-nic
        sunrpc 111/udp rpcbind
    • /etc/protocols
      • 트랜스포트 프로토콜의 번호 기록
        #ident "@(#)protocols 1.2 90/02/03 SMI" /* SVr4.0 1.1 */
        #
        # Internet (IP) protocols
        #
        ip 0 IP # internet protocol, pseudo protocol number
        icmp 1 ICMP # internet control message protocol
        ggp 3 GGP # gateway-gateway protocol
        tcp 6 TCP # transmission control protocol
        egp 8 EGP # exterior gateway protocol
        pup 12 PUP # PARC universal packet protocol
        udp 17 UDP # user datagram protocol
        hmp 20 HMP # host monitoring protocol
        xns-idp 22 XNS-IDP # Xerox NS IDP
        rdp 27 RDP # "reliable datagram" protocol
    • /etc/ethers
      • ethernet 주소와 시스템의 host name을 갖고 있음
      • rarpd에 의해 사용됨
      • 형식
        • Ethernet-address host-name
        • 예: 8:0:20:f:aa:d9 ganesh
    • /etc/bootptab
      • startup시 bootpd에 읽혀짐
      • 형식
        • bootp-client:tag
        • bootp-client는 bootp-client의 실질적인 이름
    • /etc/inetd.conf
      • 화일 /etc/inetd.conf에 포함되어 있는 정보를 inetd이 사용하여 네트워크 서비스를 관리
      • ftp,telnet 등의 요구가 오면 새로운 프로세스가 connection을 위해 inetd에 의해 시작됨
        Configuration file for inetd(1M). See inetd.conf(4).
        # To re-configure the running inetd process, edit this file, then
        # send the inetd process a SIGHUP.
        # Syntax for socket-based Internet services:
        # <service_name> <socket_type> <proto> <flags> <user> <server_pathname> <args>
        #
        # Ftp and telnet are standard Internet services.
        #
        ftp stream tcp nowait root /usr/sbin/in.ftpd in.ftpd
        telnet stream tcp nowait root /usr/sbin/in.telnetd in.telnetd
    • UNIX System의 Network Process
      • inetd
        • 모든 네트워크 서비스 daemon을 관리
        • /etc/inetd.conf 란 configuration 화일에 따라 수행
        • boot time 에 시작
        • 시스템상에 항상 running
      • routed
        • RIP(routing information protocol)를 구현한 process
        • 동적으로 routing table 을 생성하는 기능
        • host가 internetwork router이면 주기적으로 send
        • routing table 복사본을 연결된 호스트 혹은 네트웍에 전송함
    • rarpd
      • RARP daemon
      • /etc/hosts, /etc/ethers 화일을 참조
      • IP address를 발견하지 못하면 no reply를 전송
    • bootpd
      • BOOT server process
      • BOOT protocol을 정의(RFC 951,1048)
      • bootpd 명령 형식
        • /etc/bootpd [-s -t -d]
        • -s는 standalone mode, -t는 분 단위의 timeout value, -d는 debugging을 위해 사용됨
      • boot request를 수신할 때 daemon이 시작
    • nfsd
      • NFS server상에서 실행
      • 클라이언트로부터 RPC call을 accept
    • named
      • Internet-domain 스타일 네임 서버 daemon
      • host name을 네트워크 주소로 mapping
      • dynamically provide host-to-address lookup
      • maintain distributed database of hostname-to-IP address mappings(4.3 BSD)
    • automount
      • 자동적으로 NFS 화일 시스템을 mount
      • 더이상 필요하지 않으면 unmount
    • rpcbind
      • Solaris 시스템에서 실행
      • SunOS 상에서는 동일한 기능인 portmap process가 사용됨
      • RPC 서비스 전에 시작되어야 함
      • universal address(port number)를 RPC 프로그램 number 로 mapping 하는 기능
    • UNIX System의 Network Command
      • hostname
      • netstat
      • route
      • ifconfig
      • ping
      • arp
      • nslookup
      • domainname
      • rpcinfo
      • snoop
    • hostname
      • 현재의 host name을 출력
      • /etc/rc.boot 파일이 수행될 때 결정됨
      • host name에 대한 정보는 화일 /etc/hostname.xx0에서 유지됨
      • host name의 변경
        • super user에 의해 변경 가능
      • 사용 예
        • [bravo]hostname
        • bravo
    • netstat
      • 기능
        • 연결되어 있는 종단간 호스트의 정보
          • 두 호스트의 이름, 사용 포트 번호
        • 네트워크 접속 하드웨어에 대한 정보
        • 데이터 버퍼
        • 경로 결정 표 및 통계
        • 프로토콜별 통계
      • netstat의 실행 결과
        • 종단간 호스트의 정보
        • netstat -a
        • 현재 연결되어 있는 모든 종단간 호스트에 대한 정보 표시
        • 클라이언트로부터 연결을 기다리고 있는 모든 서버에 대한 정보까지 표시
        • 실행 예
        TCP
        Local Address
        -----------------------

        *.ftp
        .telnet

        bravo.kwangju.ac.kr.telnet
        bravo.kwangju.ac.kr.nfsd

        Remote Address
        -----------

        *.*
        *.*

        ice1.1210
        ice2.985

        Swind
        ------

        0
        0

        8647
        8760

        Send-Q
        --------

        0
        0

        0
        0

        Rwind
        ------

        0
        0

        8760
        8760

        Recv-Q
        -------

        0
        0

        0
        0

        State
        ----------

        LISTEN
        LISTEN

        ESTABLISHED
        ESTABLISHED

      • 네트워크 접속 하드웨어에 관한 정보
        • netstat -i [네트웍 인터페이스]
        Name Mtu Net/Dest Address Ipkts Ierrs Opkts Oerrs Collis Queue
        lo0 8232 loopback localhost 198611 0 198611 0 0 0
        lane0 1500 bravo.kwangju.ac.kr bravo.kwangju.ac.kr 2513926 0 1324269 0 0 0
      • 데이터 버퍼
        • netstat -m
        streams allocation:      
          current maximum cumulative
        total
        allocation
        failures
        streams
        queues
        msg
        linkblk
        strevent
        syncq
        qband
        154
        459
        267
        8
        6
        15
        0
        255
        640
        16313
        340
        340
        113
        255
        8026
        19003
        11213297
        172
        36693
        629
        2
        0
        0
        0
        0
        0
        0
        0
        167 Kbytes allocated for streams data
      • 경로 결정 표 및 통계
        • 경로 결정표의 수정은 route 명령 사용
        • 수정된 경로 결정 표 확인
        • netstat -r
          Routing Table:
          Destination
          Gateway Flags Ref Use Interface
          ------------- ------------------- ------ ---- ------- ---------
          202.30.35.0
          224.0.0.0
          default
          localhost
          bravo.kwangju.ac.kr
          bravo.kwangju.ac.kr
          202.30.35.33
          localhost
          U
          U
          UG
          UH
          3
          3
          0
          0
          209
          0
          4096
          195006
          lane0
          lane0

          lo0
      • 프로토콜별 통계
        • netstat -s
          UDP udpInDatagrams = 1493
          udpOutDatagrams = 1488
          udpInErrors = 0
          TCP tcpRtoAlgorithm = 4
          tcpRtoMax = 60000
          tcpActiveOpens = 2147
          tcpAttemptFails = 1
          tcpCurrEstab = 1
          tcpOutDataSegs =191769
          tcpRtoMin = 200
          tcpMaxConn = -1
          tcpPassiveOpens = 638
          tcpEstabResets = 29
          tcpOutSegs =319932
          tcpOutDataBytes =159754275
          IP ipForwarding = 2
          ipInReceives =760857
          ipInAddrErrors = 0
          ipForwDatagrams = 0
          ipDefaultTTL = 255
          ipInHdrErrors = 0
          ipInCksumErrs = 0
          ipForwProhibits = 0
          ICMP icmpInMsgs = 286
          icmpInCksumErrs = 2
          IcmpInDestUnreachs = 4
          icmpInErrors = 0
          icmpInUnknowns = 0
          icmpInTimeExcds = 0
      • netstat -rs
        Routing Table:
        Destination
        Gateway Flags Ref Use Interface
        ------------- ------------------- ------ ---- ------- ---------
        202.30.35.0
        224.0.0.0
        default
        localhost
        bravo.kwangju.ac.kr
        bravo.kwangju.ac.kr
        202.30.35.33
        localhost
        U
        U
        UG
        UH
        3
        3
        0
        0
        209
        0
        4096
        195006
        lane0
        lane0

        lo0
        UDP udpInDatagrams = 1493
        udpOutDatagrams = 1488
        udpInErrors = 0
        TCP tcpRtoAlgorithm = 4
        tcpRtoMax = 60000
        tcpActiveOpens = 2147
        tcpAttemptFails = 1
        tcpCurrEstab = 1
        tcpOutDataSegs =191769
        tcpRtoMin = 200
        tcpMaxConn = -1
        tcpPassiveOpens = 638
        tcpEstabResets = 29
        tcpOutSegs =319932
        tcpOutDataBytes =159754275
        IP ipForwarding = 2
        ipInReceives =760857
        ipInAddrErrors = 0
        ipForwDatagrams = 0
        ipDefaultTTL = 255
        ipInHdrErrors = 0
        ipInCksumErrs = 0
        ipForwProhibits = 0
        ICMP icmpInMsgs = 286
        icmpInCksumErrs = 2
        IcmpInDestUnreachs = 4
        icmpInErrors = 0
        icmpInUnknowns = 0
        icmpInTimeExcds = 0
    • route
      • 경로 결정표를 수동으로 변경하는 명령
        • 관리자에 의해 수행
        • 경로 결정 daemon process의 실행을 중지
      • 사용 형식

        route add | delete 목적지, 게이트웨이, 홉 수

        • add: 경로 결정 표에 한 행을 첨가
        • delete:경로 결정 표에 한 행을 삭제
    • ifconfig
      • ifconfig의 기능
        • 네트워크 접속에 관련된 변수 조정
        • 접속 하드웨어에 대한 정보
        • 정보에 대한 새로운 값의 설정
        • 네트워크 관리자만이 주로 사용 가능함
      • ifconfig le0 (Backbone line이 Fiber인 경우는 lane0)
        • 네트워크 접속 방법으로 ethernet 카드 지정
        • [bravo] ifconfig lane0
          lane0: flags=863<UP,BROADCAST,NOTRAILERS,RUNNING,MULTICAST> mtu 1500
          inet 202.30.35.54 netmask ffffff00 broadcast 202.30.35.255
          ether 8:0:20:96:fd:d0
      • ifconfig -a
        • 호스트에서 사용하고 있는 모든 네트워크 접속 하드웨어에 대한 변수 값 출력
        • 실행 예
          [bravo]ifconfig -a
          lo0: flags=849<UP,LOOPBACK,RUNNING,MULTICAST> mtu 8232
          inet 127.0.0.1 netmask ff000000
          lane0: flags=863<UP,BROADCAST,NOTRAILERS,RUNNING,MULTICAST> mtu 1500
          inet 202.30.35.54 netmask ffffff00 broadcast 202.30.35.255
          ether 8:0:20:96:fd:d0
    • ping
      • 접속하고자 하는 호스트가 사용가능한지를 check하는 명령
      • ping 호스트 [제한시간]
        • 제한 시간은 기본적으로 20초
      • 사용 예
        • [bravo]ping honey
        • honey.kwangju.ac.kr is alive
      • [bravo]ping -s honey 64 10
        PING honey.kwangju.ac.kr: 64 data bytes
        72 bytes from honey.kwangju.ac.kr (202.30.35.45): icmp_seq=0. time=2. ms
        72 bytes from honey.kwangju.ac.kr (202.30.35.45): icmp_seq=1. time=2. ms
        72 bytes from honey.kwangju.ac.kr (202.30.35.45): icmp_seq=2. time=2. ms
        72 bytes from honey.kwangju.ac.kr (202.30.35.45): icmp_seq=3. time=2. ms
        72 bytes from honey.kwangju.ac.kr (202.30.35.45): icmp_seq=4. time=2. ms
        72 bytes from honey.kwangju.ac.kr (202.30.35.45): icmp_seq=5. time=2. ms
        72 bytes from honey.kwangju.ac.kr (202.30.35.45): icmp_seq=6. time=2. ms
        72 bytes from honey.kwangju.ac.kr (202.30.35.45): icmp_seq=7. time=1. ms
        72 bytes from honey.kwangju.ac.kr (202.30.35.45): icmp_seq=8. time=2. ms
        72 bytes from honey.kwangju.ac.kr (202.30.35.45): icmp_seq=9. time=2. ms

        ----honey.kwangju.ac.kr PING Statistics----
        10 packets transmitted, 10 packets received, 0% packet loss
        round-trip (ms) min/avg/max = 1/1/2
    • arp
      • ARP 프로토콜에 의해 사용됨
      • Internet-to-Ethernet 변환 테이블을 표시하거나 변경
      • 사용 예
        • arp hostname
        • arp -a
        • arp -d hostname
        • arp -f filename
        • arp -s hostname ether_addr [temp] [pub] [trail]
      • [bravo]arp -a
        Net to Media Table
        Device IP Address Mask Flags Phys Addr
        ------------------ ------------------ ---------------- ------ ------------------
        lane0
        lane0
        lane0
        lane0
        lane0
        lane0
        lane0
        202.30.35.33
        dns.kwangju.ac.kr
        202.30.35.130
        bravo.kwangju.ac.kr
        klic.kwangju.ac.kr
        203.246.50.209
        224.0.0.0
        255.255.255.255
        255.255.255.255
        255.255.255.255
        255.255.255.255
        255.255.255.255
        255.255.255.255
        240.0.0.0



        SP


        SM
        00:00:ef:04:d1:10
        08:00:5a:99:81:bc
        00:60:2f:03:bc:81
        08:00:20:96:fd:d0
        00:20:48:09:0b:95
        00:10:5a:82:ee:00
        01:00:5e:00:00:00
    • nslookup
      • Internet domain name server를 찾기 위해 사용되는 interactive 명령
      • nslookup 명령 형식: nslookup [address]
        [bravo]nslookup honey
        Server: dns.kwangju.ac.kr
        Address: 202.30.35.43
        Name: honey.kwangju.ac.kr
        Address: 202.30.35.45

        [bravo ]nslookup hosim
        Server: dns.kwangju.ac.kr
        Address: 202.30.35.43
        Name: hosim.kwangju.ac.kr
        Address: 202.30.35.55
    • domainname
      • domainname의 기능
        • 현재의 네트워크 정보 서비스 기능을 제공
        • domain name을 set하거나 display하는데 사용
      • 사용 형식
        • domainname [name-of-domain]
        • 인수 없이 사용하면 현재의 도메인 이름
      • domain name에 관한 정보는 파일 /etc/defaultdomain에서 유지하고 있음
    • rpcinfo
      • rpc와 관련된 정보를 보고하는 기능
      • 사용 형식
        • rpcinfo [-m] [-s] host
        • rpcinfo [-p] host
      • rpcinfo -s
        • 간결한 형태로 정보를 display
        • [bravo ]rpcinfo -s
          program version(s) netid(s) service owner
          100000
          100029
          100078
          100024
          100232
          2,3,4
          2,1
          4
          1
          10
          udp,tcp,ticlts,ticotsord,ticots
          ticots,ticotsord,ticlts
          ticots,ticotsord,ticlts
          ticots,ticotsord,ticlts,tcp,udp
          udp
          rpcbind
          keyserv
          kerbd
          status
          sadmind
          superuser
          superuser
          superuser
          superuser
          superuser
      • rpcinfo
        • displays all RPC services registered on the local host
          program version netid address service owner
          100000
          100000
          100000
          100000
          100000
          100000
          100000
          100000
          100000
          100000
          100000
          100000
          4
          3
          4
          3
          4
          3
          4
          3
          2
          4
          3
          2
          ticots
          ticots
          ticotsord
          ticotsord
          ticlts
          ticlts
          tcp
          tcp
          tcp
          udp
          udp
          udp
          bravo.rpc
          bravo.rpc
          bravo.rpc
          bravo.rpc
          bravo.rpc
          bravo.rpc
          0.0.0.0.0.111
          0.0.0.0.0.111
          0.0.0.0.0.111
          0.0.0.0.0.111
          0.0.0.0.0.111
          0.0.0.0.0.111
          rpcbind
          rpcbind
          rpcbind
          rpcbind
          rpcbind
          rpcbind
          rpcbind
          rpcbind
          rpcbind
          rpcbind
          rpcbind
          rpcbind
          superuser
          superuser
          superuser
          superuser
          superuser
          superuser
          superuser
          superuser
          superuser
          superuser
          superuser
          superuser
    • uname
      • 현재 시스템의 정보를 display
      • 사용 예
        • [bravo]uname
        • SunOS
        • [bravo]uname -a
        • SunOS bravo 5.6 Generic_105181-16 sun4u sparc SUNW,Ultra-Enterprise
    • snoop
      • 네트웍 상에서 패켓의 내용을 display and capture한다
      • Sun 시스템에서 사용됨
      • [bravo / 6 ]snoop -c 5
        Using device /dev/lane (promiscuous mode)
        203.245.15.12 -> bravo.kwangju.ac.kr HTTP GET /~c96141058/st_white.mid HTTP/1.1
        bravo.kwangju.ac.kr -> 203.245.15.12 HTTP HTTP/1.1 404 Not Found
        210.110.193.20 -> bravo.kwangju.ac.kr TELNET C port=1169
        bravo.kwangju.ac.kr -> 210.110.193.20 TELNET R port=1169 Using device /dev/la
        202.30.35.130 -> bravo.kwangju.ac.kr ICMP Redirect (for network to 202.30.35.29)
        snoop: 5 packets captured
      • snoop -v arp
        ETHER: ----- Ether Header -----
        ETHER: Packet 1 arrived at 14:13:36.88
        ETHER: Packet size = 60 bytes
        ETHER: Destination = ff:ff:ff:ff:ff:ff, (broadcast)
        ETHER: Source = 0:a0:24:3d:2:97,
        ETHER: Ethertype = 0806 (ARP)
        ARP: ----- ARP/RARP Frame -----
        ARP: Hardware type = 1
        ARP: Protocol type = 0800 (IP)
        ARP: Length of hardware address = 6 bytes
        ARP: Length of protocol address = 4 bytes
        ARP: Opcode 1 (ARP Request)
        ARP: Sender's hardware address = 0:a0:24:3d:2:97
        ARP: Sender's protocol address = 203.246.48.203, 203.246.48.203
        ARP: Target hardware address = ?
        ARP: Target protocol address = 203.246.48.203, 203.246.48.203
    참고 서적 및 인터넷 사이트
    • 참고 서적
      • UNIX 시스템 이론과 실습. 金明昊 저. 大英社.1998
      • UNIX System Administration Handbook. Nemeth,Snyder,Seebass,Hein 저
      • 최재영, 김명호, 김영배 공역. 홍릉과학 출판사.1998
      • 초보자를 위한 유닉스 일주일 완성. Taylor 저. 김창룡 역. 인포북
      • UNIX System V Primer 한국어판. Matin & Prata 저. 김형태, 박찬열 역. 인포북
      • 정보화를 살아가는 현대인을 위한 UNIX & Internet. 이상복,음호식 공저. 도서출판 기한재
    • 인터넷 사이트


    반응형
    Posted by 따뜻한 세상
    ,
    어떤 기똥차고(=돈이 될만한) 획기적인(투자대비 수익이 높은)아이디어가 있다면, 이것을 문서화(Documents)하여 다른 사람들의 흥미와 관심을 이끌어 내야합니다. 이 부분은 기획자와 PM이 해야 하는역할중에서도 어려운 편에 속하는데, 이것을 제대로 하기 위해서는 논리적이고(반박 당할 꺼리를 없애고)현실성 있으며(돈과 시간을 조금 들여 더 많은 돈을 벌 수 있는) 사업주가 쉽게 도장을 찍어 줄 수 있는 그럴듯한(혹 이것이 50%의 거짓이 섞여 있다 해도) 문서가 필요합니다.
     
    왜 “말”이 아닌 “문서” 일까요. 그것은 논리적인 것을 장기간 유지할 수 있는 유일한 수단이기 때문입니다. “말”은 당장은 효과가 좋을지는 몰라도 시간이 지날수록 그 허점을 들어내게 되어 있습니다. 하지만 문서는 허점이 들어나도 “재고”의 여지가 있다는 점이죠. 사실 사람의 마음은 갈대 이기 때문에 처음에 홀깃하더라도 시간이 지나면 불안해 합니다. 그렇기 때문에 “보험”차원에서 문서가 필요한 것이고, 업무추진과 진행에 있어 “문서”라는 증거는 사업주에게 대항할 수 있는 효과적인 수단이기도 합니다.
     
    그렇다면, 효율적인 “문서” 의 근거는 어디서 나오는 것인가? 그건 최초의 아이디어를 “얼마나 체계적이고 효율적으로 정리하였는가”에 기인합니다.
     
    내 생각을 “누가,언제,어디서,무엇을, 어떻게, 왜?” 육하원칙에 따라서 정리하면 향후 프로젝트를 진행함에 있어 발생되는 트러블을 효과적으로 대처할 수 있는 좋은 자료가 됩니다. 통상적으로 아이디어를 문서화 시키는 대부분은(저를 예를 들자면..ㅡ.ㅡ) 생각나는대로 수첩에도 기록했다가, 포스트 잇에도 기록했다가, PC의 메모장에도 기했다가 하는등 생각나는걸 써놓고 후에 기획서나 제안서 개발문서등 작성할 때 와 아이디어 회의 때 참고하는데, 사실 이것이 그리 좋은 버릇이라고는 할 수 없습니다.
     
    아이디어에서 메모(Meno)는 아주 훌륭한 기록 방법이긴 하지만 제대로 정리되지 않은 메모는 이후 혼란을 불러 올 수 있는 “덧”이기도 합니다. 그리고 아이디어가 나오기 시작하면 다른 사람과의 “연동”과 “첨삭” 과정을 거쳐야 합니다. 이때부터 “문서”의 중요성이 강조되기 시작합니다. 두서없이 작성된 메모들, 여기저기서 튀어나오는 개선점들, 잘못된 점들 등등 수많은 내용이 추가되고 사라지고 수정되어 집니다.
    이때 많은 기획자들과 PM들이 자신이 만든 함정에 스스로 빠지기 시작합니다 머리속에 생각이 들어가 있는 건 많으나, 뜬 구름잡듯 모호한~사태, 이른바 자가당착에 빠지기 시작하는데, 기록해놓은 메모는 이것 같기도 하고 저것 같기도 하고… 처음에 생각했던 그 기발한 아이디어는 점점 누더기가 되가고…
     
    이런 상황을 겪은 사람은 비단 저만이 아니라 많은 경험많으신 분들도 마찬가지라고 생각합니다. 이런 상황을 벗어나서 효율적이고 체계적인 “메모 버릇”을 가지는게 매우 중요합니다. 기획자(PM)치고 메모나 수첩에 회의내용이나 아이디어를 정리하지 않는 사람은 없습니다.

    제가 생각하는 가장 효율적인 메모 방법은
     
    1)내가 메모한 내용 그 자체가 그것을 자료(Data)로써 가치가 있는가?

    2)메모를 다른 사람에게 보여주어도 이해할 수 있는가?

    3)일별로(혹은 순서대로) 정리가 되어 있는가?

    4)다른사람의 의견이나 수정방안이 나올 경우 첨삭할 여지(여분의 공백)이 있는가?

    아이디어 메모들이 모여 "데이터"가 되고 데이터들이 모여 문서가 되고 문서는 프로젝트의 기반이 되어갑니다. 본격적으로 문서(개발기획서, 제안서 등등)를 만들게 되면 이제부터 "문서"는 PM의 강력한 방어수단이자 공격 수단입니다.(어째 전쟁하는 느낌...) 보다 강한 공방 수단이자 지침서로 만들기 위해서는 해당 프로젝트의 디자이너/개발자/기획자/마캐팅담당과 PM이 머리를 싸메면서 완성을 하는데 이때 중요한 것은 "보여주기" 위한 문서와 "각 담당자용" 이 따로 존재하는것이 좋을 때도 있고 "보여주기"위한 문서와 "각 담당자용"문서가 동일하는게 좋은 경우가 있습니다.

    (재차 말씀드리지만 교과서적인 이야기는 생략합니다. 뭐가 꼭 필요하고 이건 이렇게 해야되고..이런건 서점가서 찾는게 빠릅니다. 제가 이야기 하고 싶은건 현실적인 이야기 입니다....가끔 현실이 결여된 이야기도 좀 하지만요..히힛~)

    우선 기본적으로 프로젝트의 결정권자가 어떤 취향과 출신을 파악해 둘 필요가 있습니다.
    실 예로. 개발자 출신의 오너들은 "보여주기"문서를 그리 달가워 하지 않는것이 보편적입니다. 이미 IT계에서 산전수전우주전 다 겪어서 CEO가 되면  실무적인것을 좋아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보고서를 쓰더라도  서술형 보다는 단답형으로 Yes Or No를 확실하게 해주는  보고서를 선호하게 되지요. 마찬가지로 기획서를 보더라도  실제로 어떻게  "만들것" 에 중점을 두고 보게 됩니다.

    이와는 반대로 마캐팅 출신의 오너들은 "어떻게 표현할것인가"를 더 중시합니다. 기술적인 부분보다는 디자인,  홍보효과,부수적인 것에 더 신경을 씁니다. 이분들의 기본 베이스는 "기술은 가능할것이다. 중요한건 어떻게 팔아먹느냐!" 입니다. 이런분들에게는 "보여주기"를 위한 문서를 따로 작성하는게 여러모로 편합니다. :-D

    마지막으로 이것도 저것도 아닌 타업계 오너형들은  짧은 지식과 어중간한(?) 귓동냥으로 인해 아주 어려운 경우입니다. 문서작업은 물론 기반 지식이 적기 때문에 단어선택에도 신중해야 하며 간단한 내용에도 반드시 "근거"가 존재해야 합니다. 제일 까다로운 CEO 형태이며, 또 가장 보편적인 형태입니다.(적어도 제가 겪어보기론...)

    오너(혹은 "갑")에게 프로젝트를 진행하기 위한 OK 사인(또는 자금을..) 받아내기 위해서는 오너의 취향이 어떤지, 무엇을 선호하는지, 어떤 글꼴을 좋아하는지, 공백의 미를 중요시하는지 등까지 모두 파악해야 합니다. 특히 한국말은 "아" 다르고 "어" 다르다는 속담처럼 애매한 문장으로는 자승자박의 형태가 될 가능성이 높습니다.

    두번째로, 충분히 검증이 되거나 반드시! 구현가능한 혹은 DeadLine(마감일)에 대한 명확한 근거가 마련되야 합니다.

    기획단계에서 모든게 확정되고 결정될수는 없습니다. 중간에 잦은 업데이트와 수정은 불가피한데, 수정되는 것을 미리 감안하여 유드리있는 문서를 작성하다보면 되려 프로젝트를 진행하는 원래의 목적이 티미해지는 경우가 발생합니다. 또한 어떤 일을 진행하는데 근거가 약해지기도 합니다. 유들있는 문서는 차후 수정이나 업데이트에 보다 쉬워지고 빨라 질수 있으나 원 프로젝트에 대한 본질을 흐리게 합니다. 또 원 프로젝트의 개발을 어렵게 할 수도 있습니다. 이는 두마리 토끼를 쫓다가 둘 다 놓치는 우를 범할 수 있으니 문서 작성시 최대한 확정을 짓되 변화가 불가피한 부분에 대해서는 그부분에 대한 명확한 설명과 대처방안 돌발상황등을 허락하는한 자세히 기록하는것이 좋습니다.
    또 마감일은 DeadLine이라고 불리는 만큼. 반드시 지켜야 합니다.(사실 이건 금강석에 꽃피길 바라는 것일수도 있습니다...현실적으로..)
    이 프로젝트의 마감일이 왜 이렇게 나왔는지, 해당 마감일을 지키기 위해서는 어떤 일련의 과정이 필요한지등을 반드시 정리하여 "문서"에 기록해야 합니다.

    제가 생각하는 "프로젝트의 기본 = 잘 짜여진 문서" 입니다.

    "잘 짜여진 문서 =

    1)잘 정리된 메모를 기반으로 실무자가 가장 보기 편한 방법(그것이 메모장으로 작성한것이라도 개발자/디자이너가 편하면 장땡)으로 작성된 실무자용 문서.

    2)결정권자의 맘에 들게 작성한 문서.(허풍이라도 구현할 확신만 있다면 오너에게 주머니를 열게할만한 화려한 문서 혹은 세세한 스캐줄)

    3)세분화 된 스캐줄(최악의 상황을 고려한 스캐줄링, 프로젝트 진행시 항상 최악의 경우로 일을 한다고 생각해야야 합니다.)
    입니다.

    이외에도 프로젝트의 기본 이라고 할 수 있는 것에는

       1) 커뮤니케이션 로그를 남길수 있는 Tools( Program이든 Web이든 수단과 방법을 가리지 말고 대화기록을(또는 구두로 대화한 내용을) 저장할 수 있는)

       2) 다른 팀원이 남긴 "메모"나 "기록"을 I/O가 편하게 이루어 질 수 있는 수단.
       3) 화자간(개발자/기획자/디자이너/마캐터등) 가장 빠르게 대화할 수 있는 수단.
    입니다.

    아이디어를 정리하는 방법이나 문서화 시키는 방법은 개인과 취향에 따라 가지각색의 모습을 가지고 있습니다. 그러나 그 여러가지 방법을 살펴보면 기본은 모두 동일합니다.

    "잘 정리된 메모" + "명확한 근거"에 추가적으로  "보는사람 맘에 드는 스타일의 문서"  정도만 갖추면 어디다 내놔도 일할 기분이 들게 하는 문서를 갖추게 될 수 있습니다.
    반응형

    'Computing..' 카테고리의 다른 글

    너무나도 잘 정리된 UNIX 자료  (0) 2007.05.17
    인터넷 보안  (0) 2007.05.07
    전자상거래의 보안기술 및 암호알고리즘  (0) 2007.05.07
    Posted by 따뜻한 세상
    ,

    인터넷 보안

    Computing.. 2007. 5. 7. 16:08

    1.인터넷 보안

    1.1.인터넷 보안의 현실과 필요성

    전 세계가 하나의 전자 시장으로 연결되어 있고 인터넷을 통해 쉽게 정보를 입수 할 수 있다. 그러나 해킹으로 인한 위협등 보안상의 위협의 내재로 가상공간의 사기와 속임수가 발생할 가능성이 높다.

    보안 서비스의 문제는 전자상거래 활성화의 가장 큰요소 중의 하나로 이에 대한 연구와 보완은 정보 기술과 인터넷 기술의 발전과 함께 앞으로도 꾸준히 그 역할이 증대하게 된다.

    해킹-승인 없이 컴퓨터 시스템에 접근하여 이를 사용하여 이익을  취하는 것
     

    1.2.인터넷 보안을 위한 암호 방식

    ♠.암호방식

    인터넷에서 보안을 유지하기 위한 방안

    전자상거래 지불 시스템에서는 이 둘의 장단점을 결합한 복합 암호 방식이 많이 이용되고 있다.


    1)비밀키 암호 방식

    전통적인 비밀키 암호 시스템에서는 송수신자 둘 다가 샅은 비밀키를 알 있어서 송신자가 비밀키를 사용하여 메시지를 암호화하고 수신자는 같은 비밀키를 복호화 한다.

      =>비밀키 알고리즘의 예

       DES : 전세계에서 가장 많이 사용하지만 키의 크기가 작음

       3DES : DES보다 3배나 길어 깨기 힘든 키를 사용하고 있음

       FEAL : 빨리 작동 할 수 있도록 개발

       IDEA : DES보다 두배 긴키를 사용하고 PGP에서는 메시지 암호화에 이 알고리            즘을 사용

       RC2와RC4 : DES보다 처리속도 빠르고 긴키를 사용

       SKIPJACK : 클리퍼라는 컴퓨터 칩용으로 개발한 비밀키 암호 알고리듬이다.


    2)공개키 암호 방식

    공개키와 비밀키라는 한쌍의 키가 사용.

    이 암호 방식에서는 공개키를 공개하여 많은 사람들아 알 수 있도록 하지만,비밀키는 본인만이 알고 다른 사람은 알 수 없도록 비밀로 유지되어야 함

    공개키 알고리듬 - RSA


    3)복합 암호 방식

    DES 방식의 처리 시간 단축과 RSA 방식의  키 관리를  결합한 방식이 널리 이용, 이 두 암호 방식의 장점을 이용한 것이 복합 암호 방식이다.

    전자봉투-복합암호 방식에서 메시지의 암호화 및 복호화에 사용되는 임의의 비밀  키를 안전하게 전송하는 방법


    ♠.암호 방식을 적용한 인터넷 보안 서비스

    1)기밀성

    거래 당사자 외의 다른 사람이 비밀 메시지를 알아 볼 수 없도록 하는 것, 즉 도청을 방지하는 것이다.


    2)인증성

    거래 당사자가 상호 상대를 확인할 수 있는 것을 의미.

    사용자의 신원을 확인하는 과정, 또는 메시지를 작성한 사람의 신원과 그 메시지의 무결성을 확인하는 과정


    3)무결성

    매세지의 내용이 전송 중에 수정되지 않고 전달되는 것을 의미. 

    송신자의 메시지가 수정, 변조, 파괴되지 않고 수신자에게 전달될 수 있을 때 메시지의 무결성을 보증됨


    4)무인 봉쇄

    거래상대가 거래 사실을 번복하거나 부인하지 못하도록 하는 것이다. 인터넷 상거래에서 판매자는 구매자가 특정 품목을 실제로 주문했다는 것을 입증할 수 있어야 한다.


    ♠.전자서명

    업무의 안정성을 보증하기 위해 종이 문서에 서명을 하듯이 전자 문서에 전자적 방식으로 서명한 것으로 송신자가 자신의 비밀키로 암호화한 메시지 다이제스트임

    다이제스트-서로 다른 메시지에서 같은 다이제스트가 산출될 수 없도록 메시지의 텍스트에서 산출된 간단한 문자열이다.


    ♠.비밀번호와 공개키 암호 방식을 이용한 보안 서비스

    공개키와 비밀키는 단순히 몇 자리의 숫자나 문자가 아니라 수백 자리의 복잡한 문자와 숫자로 구성되어있다.

    비밀번호를 통해 사용자임을 인증받고 불법적인 사용자가 승인 받지 않고 시스템에 접근하는 것을 방지하고 있다.


    ♠.공개키와 비밀키의 입력 방안

    비밀키가 저장된 스마트 카드를 컴퓨터에 설치된 스마트 카드 입력 장치에 삽입하거나, 비밀키를 컴퓨터에 저장해 두고 비밀번호를 입력하여 비밀키가 입력되도록 하는 것.


    1.3.인터넷 보안 및 지불 프로토콜

    ♠.SSL :프로토콜 계층도에서 가장 낮은 단계의 보안을 제공한다. 제공되는 보안은 사용자에게 투명하게 인식되며 기본 TCP/IP 서비스 바로 위 단계에서 제공된다.


    ♠.S-HTTP :웹 전송 표준인 HTTP에 보안측면을 강화시킨 것이다.

    클라이언트와 서버가 독립적으로 암호화, 인증, 전자서명을 어떻게 조합하든 어떤 방향이든지 독립적으로 수행할 수 있도록 해준다.

    S-HTTP는 개별 파일 단위로 기밀성, 인증, 무결성보장, 부인 방지 등을 제공한다.


    ♠.SET : 인터넷에서 안전한 신용카드 거래를 지원하도록 비자와 마스터카드에서 개발한 지불 프로토콜이다.

      =>SET의 특징 : 통지 암호를 통한 정보전송에의 신뢰성

                     전자서명 통한 데이터 완전성

                     자료의 기밀성 유지

                     메시지 무결성


    ♠.소액거래를 지원하는 프로토콜

    W3C, MPTP, 컴팩의 밀리센트, IBM의 IKP등이 있다.


    ♠.케르베로스

    전자수표 지불 수단으로 사용하는 넷체크는 케르베로스에 기반을 둔  지불 시스템이다.



    2.전자 인증

    2.1.공개키

    ♠.수기서명과 전자서명

    거래시 서명을 통해 서로의 거래를 합의하게된다.

    가상공간에서의 거래는 전자서명이 이용되고 있다. 수기서명에 비해 전자서명을 위조하기란 어렵지만 가상인물이라는 위험성도 가지고 있다.


    ♠.공개키 인증의 필요성

    공개키 암호 방식의 전자서명을 통해서도 거래 당사자들은 상호간 상대를 완전하게 신뢰할수 없다. 전자서명을 이용하는 시스템에서는  공개키가 다른 사람을 사칭하지 않은 실제 전자서명을 한 당사자의 것이라는 전제하에 상대를 인증해 줄뿐이다.

    =>공개키 사칭과 신뢰할 수 있는 웹공동체를 구성하기 위한 두가지 접근법

      ① 전자인증서를 이용하는 방법

      ② 웹 사용자간에 공개키를 인증할 수 있도록 하는것


    2.2.서비스별 인증 방법

    본인 인증이란 미리 본인에 대한 것을 등록해두고 그 증거를 제시함으로서 본인을 확인 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신용카드 사용 시의 본인 인증

    판매직원의 구매자의 신용카드확인

    카드 뒷면의 소유자의서명이 기록되어야 하며 카드전표에 서명과 카드 뒷면의 서명이 같아야 함


    ♠.시스템 접속 시의 본인 인증

    아이디나 비밀번호로 정당한 사용자임을 증명할수 있다. 시스템 사용자는 접속할 때마다 사용자의 ID와 비밀번호를 제시해야 한다.


    ♠.입장 시의 본인 인증

    신분증이나 증명서를 제시하거나 지문, 비밀번호등을 통해서 정당한 권한을 가진 사람임을 확인

    자료 펌) http://cafe.naver.com/happyhan42/714

    반응형
    Posted by 따뜻한 세상
    ,


     전자상거래의 보안기술 및 암호알고리즘


    1 물리적 보안

    전자상거래라 해서 기본적인 컴퓨터 네트웍의 보안과 다른 것은 아니다즉 일반적으로 쇼핑몰시스템에는 외부에서 인가받지 않은 사람의 침입을 방지하는 “침입차단 시스템” 많이 알려진 용어로는 방화벽(firewall)을 통한 보안을 확보 할수 있겠다방화벽은 그야말로 보안의 기본이 된다집을 지으면 담장을 만들고 대문을 만들고 쪽문도 만든다방화벽을 설치해 보안을 확보한다는 것은 바로 집에 담장을 쌓는것과 같은 이치이다그러나 집에 담장이 있다해도 대문을 만들지 않을수 없다왜냐하면 주인은 들어가고 나가고 해야하기때문이다또 필요하면 쪽문도 만들어야 한다이런 대문을 쉽게 이야기한다면 바로 WWW서버를 접근하도록 하기위한 TCP 80번포트와 같은 곳을 말한다전자상거래는 주로 WWW서버를 이용해 구축하고 일반에게 공개하는데 앞단에 방화벽을 두고 WWW마져도 막아버린다면 그건 정말 담장을 쌓고 주인조차도 나가거나 들어가지 못하는 꼴이 되고 마는것이다방화벽시스템에는 이런 문들이 많이 존재한다이런 것들이 바로 보안상 허점이 되고 있다또 방화벽이 설치되었다 하더라도 전자상거래시 네트웍을 통해 오가는 거래정보지불정보사용자 개인정보등이 보호되는 것이 아니므로 그야말로 시스템을 위한 침입차단정도의 보안만을 지원하기 때문에 방화벽을 설치했다고 전자상거래보안이 다 되었다고 안심할 수 있는 것은 아니다.

    정보 보안

    전자상거래 보안에 있어서 궁극적인 보안은 바로 정보의 보안 즉 컴퓨터 데이터베이스나 디스크에 저장된 정보나 네트웍을 타고 흘러다니는 정보를 어떻게 외부인들로부터 보거나 수정하는것으로부터 보호할 것인가에 대한 문제를 푸는 것이다정보의 보안을 위해서는 한마디로 암호기술을 사용해 정보를 암호화해서 통신하는 것만이 유일한 해결책이라고 할 수 있다전자상거래에서 거래정보개인정보개인의 금융정보금융거래나 상거래를 위한 비밀번호등 중요한 디지털 정보가 수없이 생성되고 또 저장되고 왔다 갔다 하게된다이런 중요한 정보를 암호화함으로써 도용이나 오용을 막을수 있고 위험으로부터 소비자나 상거래쇼핑몰을 보호 할 수 있다.

    기밀성보증을 위한 자료의 암호화

    기밀성 즉 내용을 다른 사람이 볼수 없도록 암호화하는 기술은 바로 암호화의 기본이라 할수 있겠다자료의 암호화에 필요한 암호기술은 일반적으로 대칭형 암호기술비대칭형 암호기술 둘로 나누어진다. 70년대와 80년대에는 주로 대칭형암호기술만으로 보안시스템을 구축했었으나 최근에는 비대칭형암호기술 즉 RSA, ECC와같은 암호기술을 이용해 네트웍환경에서도 자연스럽게 적응할수 있는 보안시스템을 구축하는 것이 일반화되었다전자상거래에 있어서 중요한 정보들을 암호화함으로써 거래의 기밀을 기할수 있게된다최근 (98년 2월 11일자 전자신문 1국내 정부가 발표한 전자상거래 종합대책을 보면 그가운데 민간상업분야의 암호기술을 양성화하기위한 법제도의 정비가 들어있다.

    암호기술에서 가장 논란이 되고 있는 것은 바로 암호기술의 강함과 약함에 대한 이야기이다암호기술의 안전함은 주로 암호화를 할 때 사용하는 암호알고리즘의 키의 길이를 가지고 이야기한다즉 40bit키를 가지는 암호기술(RC4-40)이 과연 안전한가? 56bit키를 가지는 DES암호알고리즘은 안전한가? 128bit키를 가지는 IDEA알고리즘은 과연 얼마나 안전한가하는 질문을 던질수 있다여기서 중요한 포인트하나를 짚고 넘어가자암호알고리즘의 키의 길이와 안전도에 대해서는 절대로 미국사람들의 말을 믿지 말라는 것이다왜냐하면 미국정부의 규제로 미국에서 특별한 처리없이 그냥 수출이 되는 암호제품은 40bit 혹은 56bit로 제한되어 있기 때문에 미국기업가들은 외국에 나와서 56bit암호기술이 절대로 안전하다고 말할 수 밖에 없게된다그래야 자신들의 제품을 외국에 팔 수가 있으니까전세계적으로 암호학의 대가들이 모여서 96년에 쓴 “암호키의 길이와 보안성정도”에 대한 논문(http://theory.lcs.mit.edu/~rivest/bsa-final-report.ascii)으로는 40bit암호정보를 현재 ASIC기술로 보드를 만들면 0.0002초만에 전부 깰수 있다는 계산이 나왔다동일한 기술로 56bit암호화기술은 12초면 모든 암호를 풀수 있다는 계산이 나왔다대칭형암호기술의 경우 적어도 100bit이상의 키의 길이를 갖는 암호기술을 사용해야한다

    1 자료의 무결성 보증을 위한 해쉬함수

    자료가 암호화되어 있다고 보안이 다 해결되는 것이 아니다. 중간에 누군가 자료를 수정했거나 자료를 받은 수신자가 해당자료를 임의로 고쳐서 이익을 취하려고 할때를 대비해야 한다. 여기서 말하는 자료란 바로 디지털 정보이기 때문에 고친다고 흔적이 남는 것도 아니고 완벽하게 수정/복제할 수 있기 때문에 자료가 변조되지 않았는지도 증명하는 방식이 필요하게 된다. 이런것을 알아내는 암호적 방식이 바로 단방향해쉬함수들이다.

    2 거래 당사자의 신분확인을 위한 전자인증기술

    앞에서 언급했듯이 인터넷전자상거래는 네트웍저편에서 컴퓨터를 통해 거래하는 것이므로 정말 저편에 있는 사람이 바로 그사람인가를 확인할수 있는 방법이 필요하게 된다. 얼굴을 마주보고서도 사기를 당하는 시대인데 네트웍환경에서 속이는 방법은 더욱 다양해 질 것이기때문이다.

    그러므로 네트웍상 즉 사이버스페이스상에서의 각각의 사람의 신분을 확인 할 수 있는 인프라가 바로 전자상거래의 기반 인프라가운데 하나라 할 수 있겠다. 이것이 바로 전자인증기술이다.

    전자인증기술은 여러가지 암호의 방식을 사용해 구현할 수 있다. 그러나 80년대 후반부터는 공개키 암호기술을 이용해 ITU-T X.509기술을 기반으로 CA(Certificate Authority)서버를 중심으로 한 전자인증기술이 국제적으로 표준으로 사용되고 있고 또 앞으로도 많이 확산될 것이다.

    단적인 예로서 WWW프로토콜의 보안 프로토콜로 널리 사용되고 있는 SSL(Secure Socket Layer), RSA사가 제안한 보안전자우편프로토콜인 S/MIME, 국제표준 보안전자우편프로토콜인 PEM(Privacy Enhanced Mail)들도 전부 X.509기술을 인증방법으로 채택하고 있다.

    심지어 그룹웨어인 로터스 노츠역시 인증기술은 X.509기술을 기반으로 한다. 전자인증기술과 서비스인프라는 크게 두가지로 나누어 볼수 있다.

    공공성을 띠는 인증서비스인프라와 민간분야의 인증서비스 인프라이다.

    공공인증서비스인프라는 금융망, 행정전산망, 교육망등 공공성을 띠는 인증업무에 적용하는 인증서비스를 말하며 이는 국가적으로 인증체계와 구조를 형성해 공신력을 가져야 한다.

    민간인증서비스인프라는 예를들면 어떤회사가 회사내에서 싱글사인온(Sigle Sign On, 자신이 사용하는 많은 컴퓨터를 접속하기위해 복수개의 사용자명과 패스워드를 관리하는 불편을 덜기위해, 회사에서 하나의 X.509전자인증서를 발급받고 그 인증서 하나로 모든 시스템에 자신의 신분을 확인받고 접속사용하도록 함으로써 관리비용이나 편리성을 도모하는 시스템)을 위해 직원을 대상으로 인증서를 발급하는 경우는 오로지 회사내에서의 네트웍과 컴퓨터시스템에서만 적용되므로 굳이 정부기관의 공인받지 않더라도 회사자체적으로 신분증을 발급할 수 있게된다.

    예를 들면 주민등록증의 발급은 동사무소등 국가기관의 통제를 받는 신분확인 절차를 받아서 발급받지만 회사의 사원증을 발급받는데는 회사 자체의 판단으로 발급할 수 있는 것과 같은 이치이다.

    Digest

    비대칭키 알고리즘

    비대칭키 암호화 알고리즘은 서로 다른 두개의 키를 이용하여 하나의 키는 Encryption에

    다른 하나의 키는 Decryption에 사용한다.

    1.RSA (Rivest Shamir Adleman) : RSA는 1978년 Rivest, Shamir, Adleman이 발표한 논문인 "A Method for Obtaining Digital Signatures and Public Key Cryptosystems"에 제안된 암호 시스템을 말하며, 발표자의 머리 문자를 연결한 것이다.

    1) 시스템 설명 : RSA 암호 시스템은 매우 큰 정수의 소인수 분해가 어렵다는 가정하에서 설계된 것이다.

    시스템 구성은 다음과 같다.

    ① 두개의 큰 소수 p와 q를 랜덤하게 생성하여 n=pq를 계산한다.

    ② Euler 함수값 oslash(n)=(p-1)(q-1)과 서로 소가 되는 e를 계산한다. (gcd(e,oslash(n))=1)

    ③ oslash(n)과 e로부터 유클리드 알고리즘을 사용하여 ed≡1(mod oslash(n))가 되는 d를 계산한다.

    이로부터 다음과 같은 공개키 암호 시스템을 구성한다.

    공개키 : n, e

    비밀키 : p, q, d

    Message Space = M∈Z | 0≤M≤n-1

    암호화 : C = E(M) ≡ Me (mod n)

    복호화 : M = D(C) = D(E(M)) ≡ Cd mod n ≡ Med mod n

    위에서 서술한 내용은 다음 몇 가지 정리에 근거하고 있다.

    [정리] (Euler의 정리) 만약 a와 n이 서로 소이면 aoslash(n) ≡ 1 (mod n)이다.

    p, q가 소수이고 n=pq라 하자.

    만약 gcd(e, oslash(n)) = 1 이고, ed ≡ 1 (mod oslash(n)) 이면

    Med ≡ M (mod n) (0≤M≤n)

    <증명> oslash(n) = oslash(p)oslash(q)이다.

    그러므로 Med = Mkoslash(n)+1 ≡(Moslash(p))koslash(q)middotM(mod q)≡M(mod p)

    마찬가지로 Med ≡ M (mod q)

    따라서 중국인의 나머지 정리를 이용하면

    Med ≡ M (mod n) 임을 알 수 있다.

    [예] p=47, q=59, n=pmiddotq=2773이라 하자.

    그러면 oslash(2773)=(47-1)middot(59-1)=2668

    비밀키를 d=157이라 하면, 유클리드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공개키 e=17을 구할 수 있다.

    만약 A=01, B=02, ……, Z=26을 대응시키고 blank=00을 대응 시키자.

    "Its all greek to me"라는 message에 대응하는 숫자열은

    0920 1900 0112 1200 0718 0505 1100 2015 0013 0500 이 된다.

    이때 (0920)e = (0920)17 ≡ (0948) (mod 2773)이고, 전체 message를 암호화 하면,

    0948 2342 1084 1444 2663 2390 0778 0774 0219 1655가 된다.

    2) RSA 암호 시스템의 안전성

    공개키 e와 n을 가지고 비밀키 d를 구할 수 있다면 RSA는 해독 되게 된다.

    그런데 n으로부터 oslash(n)을 구현한다면 유클리드 알고리즘을 사용하여 d를 쉽게 계산 할 수 있으므로 전체적인 비도는 oslash(n)의 계산에 달려 있다.

    그런데 n을 소인수 분해할 수 있다면 oslash(n)은 자동적으로 계산된다. 따라서 n의 소 인수 분해는 곧 RSA 암호 시스템의 해독을 의미한다.

    한편 n의 소인수 분해를 모르고 oslash(n)의 값을 결정하는 방법은 알려지지 않고 있다.

    RSA 암호 시스템을 구성하기 위한 소수 p와 q는 다음 조건을 만족해야 한다.

    ①p와 q는 거의 같은 크기의 수이다.

    ②p-1과 q-1은 큰 소인수를 갖는다.

    ③gcd(p-1, q-1)은 작은 수이다.

    위와 같은 조건에 의해 선택된 n=pq는 인수 분해하기 어려운 형태중의 하나이다.

    현재까지 알려진 인수분해 알고리즘 중 가장 좋은 것의 복잡도는

    exp((O(1) + 1 )lognfrac12 log lognfrac12)이고, 특수한 형태의 정수에 대한 인수분해

    알고리즘은 exp(O(1)+1)logn⅓ log logn⅔ )임이 알려져 있고 아직 다항식 시간 알고리즘은 없다.

    * RANDOM NUMBER GENERATOR

    1) LFSR Random : Linear Feedback Shift Registers를 사용한 Random number generator로써 수행속도가 빠르다.

    2) Real Random : LFSR Random과 algorithm M을 사용하여 Random number를 생성시킨 후에 MessageDigest로 Hash하여 사용하게 된다.

    대칭키 알고리즘

    대칭키 암호화 알고리즘은 Encryption과 Decryption에 하나의 키를 사용하며,

    대칭키 암호화 알고리즘의 종류는 DES, RC2, RC4, RC5, IDEA, Blowfish 등이 있다.

    1. RC2 : RC2는 secret key를 사용하는 block encryption algorithm으로써, DES를 대체하고자 하는 목적으로

    개발되었다. Input Block과 Output Block의 크기는 8byte이며, key의 길이는 1 ~ 128 bytes 에 이르기까지 다양하게 사용될 수 있다. 보통은 8 byte의 키를 사용한다.

    2. RC4 : RC4는 다양한 길이의 key size를 가지는 stream cipher이다.

    algorithm은 OFB mode의 형태로 작동하게 되며, keystream은 plaintext와 독립적이다.

    3. RC5 : RC5는 word에 기초한 BlockCipher로써 다양한 Parameter들을 가진다. ( BlockSize, KeySize, WordSize, number of Rounds.) 이때 BlockSize는 WordSize의 두배이며, 일반적으로는 16, 32, 64...등과 같이 사용된다. Round는 최소 6 이상이 되어야 보안적인 의미를 지니게 되며, 최소 12이상, 가능하다면 16정도가 권장된다.

    4. IDEA : IDEA는 8bytes의 block과 16bytes의 secret key를 지닌다.

    cipher IDEA는 output의 변화에 따라 8 round로 구성되는 iterated cipher이다.

    5. DES : DES는 8bytes의 plaintext/ciphertext와 8bytes의 key를 지니는 BlockCipher Algorithm으로써 decryption algorithm은 incryption algorithm을 역으로 적용하게 된다. 8bytes key중에서 실제로 사용되는 key length는 56bits이며, 각 byte의 least significant bit은 parity check에 사용된다.

    6. DES3 : DES3(tripleDES, DES_EDE3)는 DES의 보안적 효과를 증가시키기 위해서 사용되며, 각 8bytes의 key를 사용하여 encryption- decryption-encryption을 행한다. 따라서 key size는 24bytes가 되며, plaintext/ciphertext의 크기는 DES와 같이 8bytes이다.

    7. DESX : DESX는 DES_EDE3수준의 암호화 Strength를 지니면서 DES_EDE3의 단점인 속도를 극복하고자 개발되었다. DESX는 DES_EDE3와 마찬가지로 24bytes의 key size를 가지는데, plaintext는 첫 번째 8bytes key와 xor operation을 하며, 이 결과를 두 번째 8bytes key로 encryption/decryption하고 다시 이 결과와 세 번째 8bytes 키로 xor operation을 한다.

    8. Blowfish : BLOWFISH는 DES를 대체하기위한 새로운 대칭키 블록 암호화 알고리즘으로서 1993년 BRUCE SCHNEIER에의해 만들어진 알고리즘이다.

    [ 특 징 ]

    1) 블록 사이즈 : 64 비트

    2) KEY LENGTH : 32비트 ~ 448비트

    3) 암호화 속도는 DES나 IDEA보다 빠르다. ( 과거 15년 동안 내구력이 있었던 DES는 이제는 수명이 끝나가고 있다. 56 비트 키 사이즈는 BRUTE-FORCE 공격에 공격받기 쉽다. DIFFERENTIAL CRYPTANALYSIS(미분암호해독)와 LINEAR - CRYPTANALYSIS에서의 최근 발표는 DES가 다른 공격에서도 공격 받기 쉽다는 것을 지적하고 있다. )

    4) UNPATENTED AND ROYALTY-FREE

    2. Diffie-Hellman

    Diffie-Hellman은 1976년에 개발된 최초의 public-key algorithm이다. 이것은 제한된 영역에서 멱의 계산에 비하여 이산 대수의 계산이 어렵다는 것에 그 보안적인 기초를 둔다.

    iffie-Hellman은 key distribution에는 사용될 수 있으나 message를 암호화하거나 복호화 하는데에는 사용될 수 없다. 연산 과정은 간단하다.

    key를 교환하고자 하는 양 party(A, B)가 prime n 과 g의 사용에 동의하였다고 할 때, protocol은 다음과 같이 동작한다.

    A : X = g**x mod n ( x는 large random integer )

    B : Y = g**y mod n ( y는 large random integer )

    => 이때 A, B는 각각 X와 Y를 상대방으로 전달한다.

    A : k = Y**x mod n

    B : kp = X**y mod n

    => 이때 k와 kp는 g**(xy) mod n과 동일하다.

    Diffie-Hellman implementation은 PKCS#3 Diffie-Hellman Key Agreement Standard

    (An RSA Laboratories Technical Note Version 1.4)에 따른다.

    3. ElGamal

    ElGamal 알고리즘은 제한된 영역에서의 이산대수의 계산이 어렵다는 것에 그 소수 p와

    random number g, x를 생성하고, y = g**x mod p가 된다.

    이때 y, g, p는 public-key를 이루고 x는 private-key를 이루는데,

    이 key pair를 사용하여 Encryption과 Decryption이 수행된다.

    4. 타원곡선 알고리즘

    요즘 보안에 관심있는 사람들은 타원곡선(Elliptic Curve) 알고리즘에 푹 빠져있다.

    이유는 하나. 공개키 암호화 기술의 대명사로 널리 쓰이는 RSA보다 키의 크기가 작으면서도 비슷한 수준의 보안 기능을 자랑하기 때문.

    사실 타원곡선 알고리즘은 최근에 등장한 기술이 아니다. 이미 100여년 전부터 연구되기 시작한 이론으로 지난 85년 닐 코블리츠(Neal Koblitz)와 빅터 밀러(Victor Miller)가 발표했다.

    이 알고리즘의 원리는 타원곡선 한 점 Q와 P의 관계가 'Q = dP'라고 할 때, d를 알아내 기가 어렵다는 데서 출발한다.

    RSA가 인수분해(Factorization) 문제에 기반을 두고 있다면, 타원곡선 알고리즘은 이산로그 문제(Discrete log problem)에 초점을 두고 있다.

    그러나 무엇보다도 타원곡선 알고리즘이 많은 반향을 불러일으키고 있는 것은 기존 RSA, Diffie-Hellman, DSA, ElGamal 등의 보다 작은 크기의 키를 사용하면서 거의 비슷한 수준의 보안을 보장해준다는 것이다.

    게다가 하드웨어 이식이 쉬워 휴대 전화나 호출기와 같이 휴대형 시스템에 적용하기 쉽다.

    RSA에서 보통의 보안도를 제공하는 1,024비트가 갖는 보안도를 타원곡선 알고리즘에서는 160비트로 구현하고 있다.

    또한 단지 600비트만을 사용해서 RSA에서 21,000비트가 갖는 보안도를 제공한다는 놀라운 사실을 알 수 있다.

    RSA에서 사용하는 주요 연산은 곱하기이다.

    곱하기가 연속으로 사용되는 만큼 수행 시간이 길어진다.

    그러나 타원곡선 알고리즘에서는 주요 연산이 더하기이기 때문에 수행 시간에서도 많은 절약을 할 수 있다.

    수행 속도의 차이를 보면 타원곡선 알고리즘이 RSA에 비해 약 10배 정도 빠르다.

    메시지를 암호화할 때는 메시지 크기에 따라 결과가 달라진다.

    메시지 크기가 커지면 커질수록 RSA와의 차이가 줄어든다.

    하지만 공개키 암호 방식이 사용되는 주요 분야 중 하나가 사용된 관용키를 암호화하는 것이라는 것을 상기하면 이것도 큰 장점이 될 수 있다.

    관용키 크기는 대체적으로 약 62비트에서부터 200비트 사이의 크기가 대부분이기 때문이다.

    타원곡선 알고리즘의 장점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middot기존의 공개키 암호 방식에 비해 단위 비트당 안전도가 높다.

    middot키 크기가 작으며 구현시 암호화와 서명이 빠르다.

    middot스마트 카드나 휴대 통신기처럼 작은 하드웨어에서 적용하기 쉽다.

    middot수출입 문제를 피하기 위해 암호화와 서명 단계를 분리할 수 있다.

    middot계산량이 작고 저장이 유리하다.

    하지만 타원곡선 알고리즘은 아직 기술적으로나 학문적으로 검증받아야 할 부분이 많다.

    위에서 언급한 장점에도 불구하고 아직 실용화되지 못하고 있는 것은 타원곡선 알고리즘의 약점과 문제점이 완벽하게 검증받지 못했기 때문이다.

    또한 이 알고리즘이 관심을 받기 시작하면서 다양한 해킹 방법들이 연구될 것으로 예상된다.

    해쉬함수

    해쉬함수는 임의의 길이를 가지고 있는 메세지를 입력으로 받아 일정한 길이의 bit으로 표현하는 함수이다. 원래의 메세지 X를 해쉬함수 f를 사용하여 나온 결과를 x라 하는 경우를 식으로 나타내면 f(X) = x 이 된다. 안전한 해쉬함수가 되기 위해서는 다음의 조건을 만족해야 한다.

    조건 1 : 임의의 길이의 메세지를 입력으로 받을 수 있어야 한다.

    조건 2 : 고정된 길이의 출력을 만들어야 한다.

    조건 3 : 모든 X에 대해서, f(X)의 계산이 쉬워야 한다.

    조건 4 : 주어진 x에 대해서 원래의 X를 구할 수 없어야 한다.

    조건 5 : f(X) = f(Y)인 X,Y를 구하기가 어려워야 한다.

    해쉬함수는 메세지 인증이나 전자서명 등에 사용된다.

    메세지 인증과 전자서명은 메세지를 송신자의 비밀키로 암호화함으로써 이루어지는 데 공개키 암호방식은 관용 암호방식에 비해 시간이 오래 걸리게 된다.

    그래서 메세지를 해쉬함수를 이용하여 원래보 다 짧은 길이로 바꾸어 놓은 다음에 비밀키로 암호화하게 된다.

    해쉬함수의 종류로 MD4, MD5는 각각 128-bit의 결과를 내놓고 SHA(Secure Hash Algorithm)는 160-bit의 결과를 내놓는다.

    ◎ 메시지 다이제스트 ( Message Digest )

    1. 메시지 다이제스트 인증

    단방향 함수(One-Way Function)의 특성을 지닌다.

    수신자와 송신자는 단방향 함수를 이용하여 데이터의 Modify 여부를 확인할 수 있는데,

    이 방법의 가장 큰 장점은 아무런 여과 없이 사용자의 Password가 망상에 그대로 유출되는

    기본 인증 기법의 단점을 극복한 것이다.

    또한 기본 인증 방법에서 문제시 되었던 재연 공격(Replay Attack)에 대한 대비책으로,

    시간 정보를 함께 전송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그러나 이 방법도 가장 공격 (Masquerade Attack)에 대한 위협 요소는 존재한다.

    다음에는 메시지 다이제스트 알고리즘에 대하여 간략히 알아보기로 하자.


    2. 메시지 다이제스트 알고리즘 ( Mesage Digest Algorithms )

    메시지 다이제스트 알고리즘의 보안 효과는 실지로 그 알고리즘이 적용되는 메시지의

    사이즈 크기에 달려있다.

    전형적인 메시지 다이제스트 사이즈는 128 비트에서 160 비트까지이다.

    전형적으로 2가지의 알고리즘이 사용되고 있는데, 첫번째는 Rivest Message Digest 2

    ( MD2 라고 흔히 부른다 ) 이고, 차후 효율성을 높인 Mesage Digest 4 ( MD4 ), Message

    Digest 5 ( MD5 ) algorithm이 소개되었다. 각각의 알고리즘들은 임의의 메시지 사이즈,

    그리고 128 bit 메시지 다이제스트를 생성할 수 있도록 구성되었다.

    메시지 다이제스트는 수신자와 발신자가 각각 비밀 키를 나누어 가지도록 구성되었고,

    이런 구성법을 이용하여 발신자는 수신자의 신분 확인(authentication)을 할 수 있다.

    하지만 이런 구조도 단점은 지적되고 있는데, 예를 들면 제 3자로(A Third Party)

    인한 수신자와 발신자의 보호 방법이 채택되기는 하지만, 실지로 강력한 보안 방법으로는

    인식되지 않는다.

     

    3. 해쉬를 이용한 전자서명 방법과 x.509에 기초한 인증서의 역할과 내용

     

    2 전자서명기술

    전자상거래는 하나의 거래이자 계약활동이므로 계약 당사자간에 분쟁의 소지를 없애기위해 상호 확인하는 절차가 필요하다.

    서로 만나서 계약을 하는 경우 녹음을 한다던가 펜으로 서명을 하거나 도장을 찍거나 하지만 네트웍상에서는 그럴수 없다.

    그러므로 네트웍환경에 적합한 서명기술이 필요한데 그것이 바로 전자서명기술이다.

    전자서명기술은 암호학적 처리를 통해 다음 세가지를 검증할 수 있는 기술을 말한다.

     

    1 서명자의 신분을 확인 할 수 있어야한다.

    즉 누가 서명했는지 검증되어야 한다.

    2 서명한 문서(자료)의 수정/삭제등을 검출할 수 있어야 한다.

    3 서명자가 후에 서명이나 문서(자료)의 작성을 부인하는 것을 방지하고,

    그 진위를 확인할 수 있어야 한다.

    오늘날 사용되는 여러가지 전자서명기술은 수학적 근거를 기반으로해서 증명이 가능한 서명기술이기 때문에 실세계의 서명보다도 훨씬 더 정확하다고 할수 있다.

    실세계의 서명은 필적감정을 통해 진위를 확인하지만 상당히 주관적이고 비과학적인 요소가 들어있지만 전자서명의 경우는 진위의 정확성이 분명하기 때문에 오히려 더 확실한 방식이라고 할수 있겠다.

    전자상거래를 구축하거나 또 이용하기 전에 정말 이 시스템이 안전한가를 확인하는 기본적인 정보를 제공했다.

    많은 쇼핑몰들이 우리는 정말 안전하다고 말하지만 실질적으로 안전한가는 소비자가 직접 판단해야 한다. 그러기위한 기본적인 판단 기준을 제시하였다.

     

    [ 암호의 역사 ]

    사이테일 : 기원전 5세기 무렵 고대 그리스인들이 쓰던 최초의 암호문.

    둥근 막대기에 기다란 양피지를 둘둘 말아 가로로 글을 써넣은 뒤

    다시 펴면 세로로 쓰인 글자 순서가 뒤죽박죽이 된다.

    똑같은 굵기의 막대기에 양피지를 감으면 원래의 통신문이 나타난다.


    시저 암호문
     : 기원전 1세기 로마 제국의 시저 황제가 고안한 글자 바꾸기 암호법.

    알파벳을 일정하게 건너뛰어 쓰는 방법이다.

    예를 들어 HOME을 3칸씩 건너뛰면 KRPH가 된다.


    비지넬
     : 16세기 프랑스인 비지넬이 만든 최초의 근대 암호.

    복잡한 표를 미리 만들어두고 이에 따라 암호를 조립하거나 푼다.

    예를 들어,암호 열쇠가 'HOME’일 경우 '…HmiddotOmiddotMmiddot EmiddotHmiddotO…’의

    순서에따라 'enemy’라는 원문의 암호문을 찾으면 'lbqqf’가 된다.

     

    난수표 : 가장 많이 알려진 암호법. 0부터 9까지의 수를 완전히 무질 서하게 배열했다.

    예를 들어 5,7이란 난수 암호를 받으면 난수표에 따라 이는 3,9로 풀이되는데

    만일 3이 내일,9가 공격이란 뜻으로 미리 약속돼 있다면 5,7은 ‘내일 공격 한다’

    는 뜻이 된다.


    DES
     : 77년 개발된 글자 바꾸기식 전산암호법. 다단계의 글자 바꾸 기 과정을 거쳐

    암호문을 만들어낸다. 암호를 만드는 열쇠와 이를 푸는 열쇠가 같다.

     

    RSA : 78년 개발된 전산암호법.

    인간과 컴퓨터가 가장 계산하기 힘들다는 소인수분해를 이용했다.

    공개열쇠와 비밀열쇠를 따로 두어 ,공개열쇠는 한사람 또는 다수의 사람에게 공개하며

    비밀열쇠는 자신만이 갖는다.

    다른 사람이 공개열쇠로 암호문을 보내면 이를 비밀열쇠로 따서 볼 수 있다.

     

    1. 전자상거래에서 보안측면의 요구사항을 서술하고 이를 만족시키기 위한 보안기술과 활용에 대해 다음과 같은 관점에서 서술하시오.

     

    1 전자상거래 보안기술체계

    2 암호시스템의 유형과 용도 및 대푶적 암호알고리즘

    3 해쉬를 이용한 전자서명 방법과 x.509에 기초한 인증서의 역할과 내용

    4 SET의 특성 및 사용된 암호기술

     

    2. 전자상거래와 관련된 법률의 종류와 내용을 간략히 기술하고 문제점과 대응방안을 기술하시오

     

    3. 사이버 쇼핑몰 구축을 위한 기술요소와 그내용을 간략히 기술해 주십시오

     

     4. SET의 특성 및 사용된 암호기술

     

    SET (Secure Electronic Transaction) [4]

     

    SET은 신용카드 회사인 VISA와 Master Card 사가 신용카드들 기반으로 한 인터넷 상의 전자결제를 안전하게 이룰 수 있도록 마련한 전자결제과정 표준안이다. 이것은 아직 시험 단계이며 SET을 바탕으로 실용화된 전자결제시스템은 아직 나오지 않은 상태이다. 그리고, SET은 어디까지나 일개 신용카드 회사에서 제안한 안에 불과하며 이것이 표준으로 자리잡기 위해서는 업계에서 얼마나 많이 사용해 주느냐에 달려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VISA와 Master Card 사는 전세계 신용카드 거래의 거의 대부분을 도맡고 있는 회사들이고, 또 SET이 암호학의 방법론의 잘 결합한 안전한 전자결제방안이기 때문에 많은 사람들이 관심을 갖고 있고, 또 이를 구현하려고 노력하는 중이다. 또, SET이 신용카드 기반 전자결제를 위한 표준안이기는 하지만 계좌이체나 직불카드 등의 결제수단에도 확대될 수 있는 구조이고, 실제로 VISA와 Master Card 사는 그렇게 확대할 계획을 갖고 있다. 본 절에서는 SET의 목표 및 SET의 내용을 일부 살펴봄으로써 8절까지 설명한 암호화 방법이 SET에서 어떻게 구현되었는지를 알아보고자 한다.

     

    (1) SET의 목표 : SET의 목적은 다음의 세가지를 제공하는데 있다.

    ▶ 정보의 기밀성 제공

    ▶ 지불정보의 무결성 확보

    ▶ 상인과 고객 쌍방의 확인

     

    SET에서는 위 세가지 목적을 이루기 위하여 앞에서 설명한 암호화 알고리즘, 전자서명, 전자인증서 등의 암호학 방법론들을 사용한다.

     

    (2) 전자지불 시스템 참여자의 종류

    1 절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SET에서는 신용카드를 이용한 전자지불 참여자 간의 각 거래(Transaction)의 과정들을 정의하고 있으며, 이 과정들은 보안이 유지되도록 암호학 방법론을 사용하고 있다. 예를 들어, 고객과 상인 간에는 구매요구(Purchase Request) 거래가 있고, 상인과 금융기관 간에는 지불승인(Payment Authorization) 거래가 있다.

    이러한 거래를 정의하기 전에 SET에서는 이러한 거래 당사자의 종류를 먼저 정의하고

    있다. 이들은 다음과 같다.

     

    고객(카드 소지자, Cardholder) : 소지한 카드를 이용하여 구매대금을 결제하려는 사람

    발행사(Issuer) : 신용카드를 발행한 회사

    상인(Merchant) : 상품을 판매하고 그 대금을 카드를 이용하여 받으려는 사람

    매입사(Acquirer) :상인이 요구한 신용카드 결제를 승인하고 그 대금의 지불을 처리하는 회사

    Payment Gateway : 매입사 또는 매입사를 대신하는 제 3자가 상인과의 결제 처리를 수행하기 위해 사용하는 시스템

    상표(Brand) : 신용카드의 상표권을 갖고 있는 카드회사 (예: VISA, Master)

    제 3 자(Third Parties) : 발행사나 매입사의 카드결제거래를 대신하는 제 3 자  

    (3) 거래의 종류

     

    SET의 (1)절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2)절에 나열한 각 거래 참가자들 간의 가능한 모든 거래 과정을 암호학에 기초하여 정의하고 있다. 예를 들어 고객과 상인 간의 구매요구(Purchase Request) 과정에서는 주문정보와 지불정보가 기밀이 유지된 채로 상인 및 매입사에게 전달되어야 하며 또, 인증, 무결성, 부인방지도 확보되어야 한다. 또, 상거래의 특성상 상인은 주문정보만을 알 수 있고 지불정보는 알 수 없어야 하며, 매입사는 그 반대이어야 한다. 이것을 이루기 위하여 고객인 상인에게 정보를 보낼 때 어떻게 암호화를 하고 어떻게 전자서명을 하고 전자인증서는 어떻게 이용해야 하는가 등을 자세히 기술하고 있다. SET이 기술하고 있는 거래의 종류는 다음과 같은 것들이 있다.

     

    고객 등록(Cardholder Registration)

    상인 등록(Merchant Registration)

    구매 요구(Purchase Request)

    지불 승인(Payment Authorization)

    지불 캡쳐(Payment Capture)

    인증서 검색(Certificate Query)

    구매 조회(Purchase Inquiry)

    구매 통보(Purchase Notification)

    승인 취소(Authorization Reversal)

    캡쳐 취소(Capture Reversal)

    환불(Credit)

    환불 취소(Credit Reversal)

     

    위의 목록에서 나오는 캡쳐란 상인이 갖고 있는 매입전표를 말한다. 상인이 매입사로부터 지불승인을 받을 때 매입사로부터 캡쳐토큰(Capture Token)도 함께 받는다. 이 캡쳐토큰을 후에 (예를 들어 일일 결산 시) 매입사에 제시하면 (대부분 Batch 처리를 한다) 캡쳐를 받는다. 상인은 이 캡쳐를 모아 두었다가 결제일에 가서 이 캡쳐를 매입사에 제시하고 캡쳐에 표시된 금액 중 매입사의 수수료를 감한 금액을 받음으로써 최종적으로 고객이 지불한 대금을 받게 되는 것이다.

     

    (4) 인증서의 발행

     

    8절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전자인증을 위한 기간구조로 CA 계층구조가 있어야 한다. 이것은 SET에서도 예외가 아니다. SET에서 정의한 각 거래 당사자들은 자신의 CA로부터 전자인증서를 받아야 한다. 이들은 고객, 상인, Payment Gateway, 매입사, 발행사들인데 그들에게 전자인증서를 발행하는 기관은 각각 다음과 같다.

     

    고객 : 소지한 카드의 발행사

    상인 : 상인이 거래하는 매입사

    Payment Gateway : Payment Gateway가 연결된 매입사

    매입사 : 카드 상표 회사(Brand)

    발행사 : 카드 상표 회사(Brand)

     

    또한, SET에서는 보안을 강화하기 위하여 서로 다른 두 쌍의 공개키, 개인키들을 갖도록 하고 있고, 따라서 각각에 대해 다른 전자인증서가 발행된다. 한 쌍은 키는 전자서명을 위해서 사용되므로 서명 쌍(Signature Pair)이라 불리고, 다른 한 쌍은 전자봉투를 위해서 사용되므로 키교환 쌍(Key Exchange Pair)이라고 불린다. SET에서 권고하는 CA 계층구조의 한 예를 그림으로 도시하면 아래와 같다.

     

    위 그림에서 Geo-political Signature는 해당 국가의 서명용 인증서를 나타내고, Association Signature는 카드상표사(VISA, Master Card)의 서명용 인증서를 나타낸다.

     

    (5) 이중서명(Dual Signature)

     

    구매요구(Purchase Request) 거래에서 상인은 주문정보만을 알아야 하고, 매입사(Payment Gateway)는 지불정보만을 알아야 한다. 이를 위해서 고객이 결제정보를 상인에게 보낼 때 주문정보는 상인의 공개키를 이용하여 암호화하고, 지불정보는 매입사(Payment Gateway)의 공개키를 이용하여 암호화하여야 한다. 이 각각의 암호문에 고객의 전자서명이 붙어야 하는데 각각에 대해 따로 만들어 붙인다면 상대편 정보와의 연결성을 확보할 방법이 없어진다. 이를 위해서 SET에서는 이중서명(Dual Signature)을 제안하고 있다. 이중서명이란 주문정보의 메시지 다이제스트와 지불정보의 메시지 다이제스트를 합하여(Concatenate) 다시 이것의 메시지 다이제스트를 구한 후 고객의 서명용 개인키로 암호화한 것을 말한다.

    주문정보와 지불정보 각각에는 이중서명과 함께 상대편 정보의 메시지 다이제스트가 포함되어 있다. 따라서, 이 정보를 받은 상인 또는 매입사(Payment Gateway)는 자신이 받은 정보의 메시지 다이제스트를 구한 것과 상대편 정보의 메시지 다이제스트를 합하여 메시지 다이제스트를 다시 구한 후 이중서명을 고객의 서명용 공개키로 푼 것을 비교함으로써 서명을 확인할 수 있다.

     

    (6) 최상위 키(Root Key)의 관리

     

    CA 계층구조를 따라 전자인증서를 확인하기 위한 기본 키는 최상위 키(Root Key)이다. 일반적으로 최상위 키는 미리 모두에게 알려져 있고, 누구나 믿고 있는 것이라고 말해지지만 컴퓨터 시스템의 입장에서는 결코 그러하지 못하다. 컴퓨터는 최상위 키를 필요시마다 최상위 인증기관(Root CA)에게 받거나, 또는 자신의 하드 디스크에 파일로 관리해야 하는데 두 가지 모두 보안상의 허점이 있다. 만약, 필요시마다 받는다면 최상위 인증기관의 확인(Authentication)이 어려워지며, 파일로 관리한다면 해커가 파일을 바꿔 치는 것을 고려해야 한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SET에서는 최상위 키의 분배, 확인, 대체 과정을 정의하고 있다.

     

    10. 결론

     

    이상으로 인터넷에 안전한 전자지불 시스템을 구현하기 위하여 암호화 방법론을 살펴보고, 이것을 응용한 SET 표준안을 알아보았다. 인터넷이 구조적으로 보안상의 허점이 있음을 알아 보았고, 이것을 해결하기 위하여 암호화 방법들을 어떻게 적용할 수 있는가를 살펴보았다. 그러나, 암호화가 모든 것을 해결해주지는 못한다. 흔히 말하듯이 보안은 95%의 알고리즘과 5%의 제도로써 이루어진다. 따라서, 보안을 볼 때는 암호화 방법의 관점에서의 해결 방법만 찾을 것이 아니라 제도적인 해결 방안도 살펴 보아야 할 것이다.

    또한, SET이 전자지불거래의 표준안으로 자리잡을 것이라는 것은 거의 확실한 것으로 보여진다. 그러나, SET 표준안 자체가 최종 버전이 나온 상태가 아니고(97년 5월 말에 나올 예정이라고 한다.), 더욱이 완전한 표준으로 자리잡은 것도 아니다. 또, SET을 바탕으로 한 전자지불시스템이 아직 완성되어 출시되지도 않았다. 이것은 전자상거래 분야에 있어서 우리가 선진국에 뒤지지 않고 주도권을 잡을 수 있는 기회가 아직 남아있다는 뜻이다. 우리나라의 전자상거래 업계가 이 기회를 놓치지 않고 우리 실정에 맞으며 국제적 상관행과도 배치되지 않는 SET의 보완 표준안을 내놓고 이를 구현한 전자지불 시스템을 빠른 시일 내에 완성함으로써 앞으로의 전세계 전자상거래 시장을 주도해 나갔으면 하는 바람이다.


    반응형
    Posted by 따뜻한 세상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