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FT-LCD에 대한 궁금증 15가지
| ||||||||||||||||||||||||||||||||||||||||||||||||||||||||||||||||||||||||||||||||||
| ||||||||||||||||||||||||||||||||||||||||||||||||||||||||||||||||||||||||||||||||||
| ||||||||||||||||||||||||||||||||||||||||||||||||||||||||||||||||||||||||||||||||||
| ||||||||||||||||||||||||||||||||||||||||||||||||||||||||||||||||||||||||||||||||||
| ||||||||||||||||||||||||||||||||||||||||||||||||||||||||||||||||||||||||||||||||||
| ||||||||||||||||||||||||||||||||||||||||||||||||||||||||||||||||||||||||||||||||||
| ||||||||||||||||||||||||||||||||||||||||||||||||||||||||||||||||||||||||||||||||||
Dacom MI와 HowPC와의 동의없이 본 기사의 일부 또는 전체의 무단전재를 절대 금합니다. TFT-LCD를 장만한 지 3년이 지났는데, 평상시에는 괜찮다가 액션 게임만 하면 잔상이 나타나서 화면을 보기에 불편하다.
TFT-LCD는 외부에서 전원이 들어오고 나갈 때 분자의 모양이 바뀌는 액정을 이용한 디스플레이다. 따라서 게임과 같이 화면이 빠른 속도로 변하는 프로그램을 실행하면 이전의 액정 모양이 남게 된다. 이것을 바로 '잔상'이라고 한다. 요즘 출시되는 TFT-LCD는 잔상 문제를 많이 해결해 사용하는 데 큰 지장은 없지만 출시된 지 오래된 제품인 경우에는 게임이나 동영상을 볼 때 잔상이 나타나기도 한다. 물론 이 경우에도 웹 서핑이나 워드프로세서 같은 프로그램에서는 별 문제가 없을 것이다. 윈도를 이용해 TFT-LCD의 해상도를 높였더니 화면이 심하게 떨린다. 이런 문제는 어떻게 해결해야 하나?
해상도를 PC에 장착된 그래픽 카드나 TFT-LCD가 지원하는 것 이상으로 설정했을 때 나타나는 현상이다.
TFT-LCD는 수직 주파수가 최소한 60Hz 이상은 되어야 화면 떨림이 없고 75Hz 이상은 되어야 눈에 피로를 주지 않는다. 일반 가정에서 많이 사용하는 15.1인치 TFT-LCD는 대개 1024×768의 해상도와 75Hz의 수직 주파수를 지원하는데, 이보다 해상도가 높아지면 수직 주파수가 낮아지면서 화면이 떨리는 현상이 나타나게 된다. 저가형 TFT-LCD인 경우에는 1024×768 이상의 고해상도를 지원하지 않는 경우도 있다. 화면 떨림 현상이 나타나면 수직 주파수가 최소한 75Hz 이상 나올 수 있도록 해상도를 조정해 주어야 한다.
드문 경우이지만 그래픽 카드의 드라이버가 제대로 설치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도 이런 화면 떨림 현상이 나타날 수 있다. 이럴 때에는 그래픽 카드의 드라이버를 최신 버전으로 업그레이드하고 해상도를 다시 한 번 조정해야 한다. 윈도를 이용해 TFT-LCD의 해상도를 높였더니 화면이 심하게 떨린다. 이런 문제는 어떻게 해결해야 하나?
해상도를 PC에 장착된 그래픽 카드나 TFT-LCD가 지원하는 것 이상으로 설정했을 때 나타나는 현상이다. TFT-LCD 액정을 먼지나 이물질에게서 보호하려면 어떻게 해야 하나?
TFT-LCD 액정은 외부 충격이나 긁힘에 약하므로 액정 보호 필름을 사용하는 것이 좋다. 액정 보호 필름은 액정 외부에 설치하는 보안기의 일종으로, 전자상가나 인터넷 쇼핑몰 등지에서 쉽게 구할 수 있다. 다만 액정 보호 필름은 모니터의 크기나 용도를 고려해 구입해야 한다. TFT-LCD는 사용하는 백 라이트 광원에 따라 수명이 달라진다고 들었다. 그렇다면 광원의 수명은 얼마나 되나?
TFT-LCD 모니터에 사용되는 액정은 스스로 빛을 낼 수 없는 물질이라 '백 라이트'라는 광원을 달아야 화면을 제대로 볼 수 있다. 백 라이트는 얇은 막대로 만들어진 작은 형광등의 일종으로 수명은 약 4만∼5만 시간 정도이고, 이 수명이 다하면 더 이상 LCD 모니터를 사용할 수 없다. 결국 LCD 모니터에 들어가는 백 라이트가 LCD 모니터의 수명을 결정짓는다고 할 수 있다. TFT-LCD는 CRT 모니터와 청소하는 방법이 다르다고 들었다. 구체적으로 어떻게 다른지 알고 싶다.
TFT-LCD의 청소 방법이 크게 다른 것은 아니다. 다만 TFT-LCD는 충격이나 긁힘에 약하므로 세심하게 다뤄야 하는 것뿐이다. TFT-LCD를 청소할 때에는 우선 얇은 헝겊으로 달라붙어 있는 먼지를 조심스럽게 닦아낸 다음 닦기 힘든 먼지나 얼룩을 전용 클리닝 도구로 꼼꼼히 닦아주면 된다. 전용 클리닝 도구는 전자상가나 인터넷 쇼핑몰 등지에서 쉽게 구할 수 있다. 요즘 출시되는 TFT-LCD는 D-SUB와 DVI 단자를 모두 지원하기 때문에 이들을 활용하면 PC 2대를 연결해 듀얼 모니터 환경을 꾸밀 수도 있다. 이와 TFT-LCD를 구입했으면 단자를 낭비하지 말고 모두 활용해 보는 것도 좋겠다. 단 이 기능을 이용하려면 PC 2대가 D-SUB와 DVI 단자를 모두 지원해야 한다. 자료 펌)http://dr.simfile.chol.com/specialReview/view.php?seq=190 |
'Computing..' 카테고리의 다른 글
ctfmon.exe 삭제 방법 (0) | 2007.07.01 |
---|---|
질병 관련 사이트 모음 (0) | 2007.06.28 |
글꼴 보기 및 관리 "NexusFont" (0) | 2007.05.2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