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케팅 전략 중 하나인 마케팅 믹스의 4P는 마케팅 전략을 수립할 때 큰 도움을 주는 툴이다. 여기서 4P란 Product, Price, Place, Promotion을 일컫는다. 예를 들어 만일 휴대폰을 새롭게 출시해서 이것을 시장에 소개한다고 할 때 마케팅 믹스에 의해서 4P를 정리하면 아래와 같다.

우선 Product로서 휴대폰이 어떠한 성능과 기능, 디자인을 갖추고 있는지를 분석하는 것이다. 기존에 출시된 휴대폰과 어떤 부분이 차별화되었고 특장점인지, 단점은 무엇인지를 분석해야 한다.

그리고 Price는 가격이다. 이러한 휴대폰을 얼마의 가격에 시장에 출시할 것인지를 결정해야 한다. 휴대폰이 기존 제품들과는 큰 장점이나 차별화된 요소가 없음에도 불구하고 가격이 비싸다면 그 누가 구입하겠는가?

Place는 이 휴대폰을 어디서 팔 것인가 하는 유통의 문제이다. 어떤 고객층을 대상으로 휴대폰 판매를 공략하고 그것에 맞춰서 어떤 장소에서 어떠한 유통망을 선택하는 것이 좋을지를 선택해야 한다.

마지막으로 Promotion은 판매 촉진 수단으로서 광고를 어떻게 하고 홍보는 어떻게 전개하며 판매 활성화를 위해 어떠한 이벤트와 가격할인을 할 것인지를 선택한다.
이렇게 새로 출시한 휴대폰에 맞는 4P를 적절히 결정해서 시장에 마케팅을 해야만 이슈를 판들면서 히트 상품의 반열에 낄 수 있다.

노동시장에서의 나 역시도 이러한 마케팅 믹스 전략에 의해서 마케팅을 해야 한다. 전략과 정책없이 무작정 일자리를 구하거나 입사지원을 한다면 그것은 아무 전략없이 새로 출시한 휴대폰을 마케팅하려 하는 것이나 다를바없다. 그렇다면 대표적인 마케팅 전략툴의 하나인 마케팅 믹스를 이용해서 나에 대한 마케팅 전략을 수립해보자.

우선 Product로서의 나를 분석한다. 내가 과연 유사한 프로필의 다른 구직자들과 비교해서 노동시장에서 상품으로서 어떠한 가치가 있는지 생각해보자. 갓 대학을 졸업한 같은 학교, 같은 학과의 동창들과 비교해 나의 장점은 무엇인가? 학점이 좋은가? 영어를 잘하는가? 학교 시절 다양한 사회 경험을 가졌는가? 그렇다면 좀 더 범위를 확대해서 나보다 좋은 학벌의 친구들과 비교해 어떤 특장점을 갖추고 있는지 분석해보자. 결국 기업이 구직자를 선택하는 것도 이러한 상품적 가치를 기준으로 한다. 상품으로서 내가 가진 장점과 차별화를 분석하고 정리해보자.

Price는 연봉이다. 결국 기업에서 구직자를 선택하고 채용해야 할 때에는 적절한 보상을 해줘야 한다. 그것이 바로 상품의 가격인 것이고 구직자로서는 연봉이다. 과연 내 자신의 연봉은 어느정도 수준이고 어떻게 협상을 해야 하는지 전략을 수립해야 한다. 시장에 출시된 제품들의 가격은 제품의 원가를 기반으로 유통비용 등을 계산하여 책정하기도 하지만 유사한 제품의 가격을 비교하여 결정하기도 한다. 연봉의 경우에는 천상 해당 회사의 연봉수준과 다른 유사한 업직종의 연봉수준 그리고 나와 같은 수준의 다른 구직자들의 연봉수준 등을 비교 검토하여 파악해야 할 것이다. 대개의 신입사원은 사실 연봉에 대한 협상권한이 자유롭지 않은 것이 사실이다. 그러므로 4P에 의해 나에 대한 마케팅 전략을 수립할 때에도 신입의 경우에는 Price에 대한 전략 수립은 사실 어려울 것이다. 하지만 경력자이거나 프로필이 상당히 뛰어난 신입이라면 Price에 대한 스스로의 전략을 수립할 수 있을 것이다.

Place는 나를 어떻게 진열하고 소개할 것인지에 대한 전략이다. 즉, 어떤 취업 사이트를 활용하고 어떠한 기업의 채용공고에 입사지원을 할 것인가 하는 것이다. 휴대폰을 시장 바닥에 진열하고 판매할 수 없듯이 나에 어울리는 업종, 직종 그리고 기업에 맞게 입사지원을 해야 할 것이다. 사실 신입 구직자에게 가장 중요한 것은 바로 이것이다. 첫 Place를 어떻게 선택해서 나를 판매하느냐가 평생을 좌우한다. 제대로 된 Place를 선택하려면 Product인 나를 잘 알아야 하고 이러한 상품을 구입하기 적합한 Place는 어디인지 스스로 고민하고 그것에 맞게 입사지원을 해야 하는 것이다.

마지막으로 Promotion은 나를 홍보하는 전략이다. 노동시장에서의 홍보는 결국 이력서와 자기소개서 그리고 면접이다. 이러한 3가지 요소를 활용해 어떻게 나를 포장하여 구매자(기업의 인사담당자)에게 판매촉진(채용)을 하느냐가 Promotion이다. 사실 어떤 구직자에게나 이 Promotion 전략이 가장 중요한 취업을 위한 마케팅 전략이다. 하지만 Product, Price, Place에 대한 파악과 인지를 통해서 Promotion에 대한 전략 수립이 가능한 것이다. 대부분의 구직자는 이러한 점을 망각한채 Promotion에만 집중하다보니 제대로 된 Promotion 전략이 수립될 수 없는 것이다.

마케팅의 고전적인 전략툴의 하나인 마케팅 믹스를 활용해 취업시장에서의 나 자신에 대한 전략을 수립해보자. 4P 전략으로 나를 효과적으로 마케팅하여 취업 성공에 한 걸음 다가가 보자.

기사 펌) http://job.edaily.co.kr/academy/rookie/column_view.asp?rid=235
반응형

'Everydays..' 카테고리의 다른 글

무소유의 삶과 침묵 중에서 ...  (0) 2007.07.15
Tistory 초대장 필요하신분 드려요..  (46) 2007.07.07
옷 벗으면 바로 죽음이닷....  (0) 2007.07.06
Posted by 따뜻한 세상
,